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플립러닝 사례연구 : 협업을 바탕으로 한 수업설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3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1세기 들어 미국에서 시작되어 2010년대에 한국에 도입된 교수학습법인 플립러닝을 협업으로 실시한 수업의 온라인 콘텐츠 제작, 수업구성 및 만족도 조사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과학기술 문명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격변하는 사회에서 대학교육방법의 새로운 학습방법의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가 차별성을 갖는 것은 지난 13학기동안 동일한 교과목에 적용한 플립러닝 사례를 대면수업의 경우와 비대면 수업의 경우로 나누어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진행은 동일과목 담당 교수들 간 협업으로 제작한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개발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사전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설계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결과물로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플랫폼 활용을 통한 학습의 학습자 인식을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협업으로 제작한 콘텐츠를 대면과 비대면 상황 모두에서 사전학습에 사용했으며, 치밀하고 자세한 수업설계 덕분에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호기심을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그 효과 또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1세기 들어 미국에서 시작되어 2010년대에 한국에 도입된 교수학습법인 플립러닝을 협업으로 실시한 수업의 온라인 콘텐츠 제작, 수업구성 및 만족도 조사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

      본 연구는 21세기 들어 미국에서 시작되어 2010년대에 한국에 도입된 교수학습법인 플립러닝을 협업으로 실시한 수업의 온라인 콘텐츠 제작, 수업구성 및 만족도 조사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과학기술 문명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격변하는 사회에서 대학교육방법의 새로운 학습방법의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가 차별성을 갖는 것은 지난 13학기동안 동일한 교과목에 적용한 플립러닝 사례를 대면수업의 경우와 비대면 수업의 경우로 나누어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진행은 동일과목 담당 교수들 간 협업으로 제작한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개발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사전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설계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결과물로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플랫폼 활용을 통한 학습의 학습자 인식을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협업으로 제작한 콘텐츠를 대면과 비대면 상황 모두에서 사전학습에 사용했으며, 치밀하고 자세한 수업설계 덕분에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호기심을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그 효과 또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ctual class examples on online contents production, class composition & satisfaction, which are conducted collaboratively with Flipped Learn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21st century and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2010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guidelines for a new learning method of college education in a society tha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rapidly evolving technology and COVID-19.
      The progress of the study explained in detail the process of developing online video contents produced by collaboration between professors in charge of the same subject and presented the composition of class design using pre-learning contents. As a result, we discuss learners" perception of learning through online platform utilization based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lecture evaluation results.
      Through this study, I used collaboratively produced content for pre-learning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thanks to its meticulous and detailed lesson design, it was able to increase students" curiosity about learning and its effectiveness was satisfy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ctual class examples on online contents production, class composition & satisfaction, which are conducted collaboratively with Flipped Learn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in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ctual class examples on online contents production, class composition & satisfaction, which are conducted collaboratively with Flipped Learn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21st century and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2010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guidelines for a new learning method of college education in a society tha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rapidly evolving technology and COVID-19.
      The progress of the study explained in detail the process of developing online video contents produced by collaboration between professors in charge of the same subject and presented the composition of class design using pre-learning contents. As a result, we discuss learners" perception of learning through online platform utilization based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lecture evaluation results.
      Through this study, I used collaboratively produced content for pre-learning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thanks to its meticulous and detailed lesson design, it was able to increase students" curiosity about learning and its effectiveness was satisfy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플립러닝 수업설계 및 만족도
      • 4. 결론 및 시사점
      • 국문초록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플립러닝 수업설계 및 만족도
      • 4.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희, "혼합형 초등 영어학습의 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습자의 외향성, 온라인학습 참여도, 언어불안 간의 경로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131-150, 2015

      2 김규미, "한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 신장을 위한 모바일기반 플립 러닝 모델의 적용과 효과"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8 (18): 95-115, 2019

      3 임은하, "학부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 수업의 플립러닝 사례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1 : 141-174, 2018

      4 황요한, "플립러닝을 활용한 학습자중심수업 실현: 대학 교양영어 수업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9-75, 2019

      5 서정목,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과목의 융복합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 스크린영어, SNS영어 및 TED영어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93-214, 2015

      6 고준석, "플립러닝과 학습유인물을 활용한 대학영어 수업모형" 21세기영어영문학회 28 (28): 247-271, 2015

      7 김백희,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역할 교체식 토의 수업 방안 연구" 우리말학회 (37) : 141-166, 2014

      8 도숙진, "플립 러닝을 기반으로 한 토익영어(ETP) 수업의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49-167, 2018

      9 박중열,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관한 고찰" 대한기계학회 60 (60): 2020

      10 BBC NEWS-코리아, "코로나19는 ‘마지막 팬데믹’이 아니다"

      1 강명희, "혼합형 초등 영어학습의 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습자의 외향성, 온라인학습 참여도, 언어불안 간의 경로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131-150, 2015

      2 김규미, "한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 신장을 위한 모바일기반 플립 러닝 모델의 적용과 효과"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8 (18): 95-115, 2019

      3 임은하, "학부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 수업의 플립러닝 사례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1 : 141-174, 2018

      4 황요한, "플립러닝을 활용한 학습자중심수업 실현: 대학 교양영어 수업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9-75, 2019

      5 서정목,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과목의 융복합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 스크린영어, SNS영어 및 TED영어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93-214, 2015

      6 고준석, "플립러닝과 학습유인물을 활용한 대학영어 수업모형" 21세기영어영문학회 28 (28): 247-271, 2015

      7 김백희,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역할 교체식 토의 수업 방안 연구" 우리말학회 (37) : 141-166, 2014

      8 도숙진, "플립 러닝을 기반으로 한 토익영어(ETP) 수업의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49-167, 2018

      9 박중열,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관한 고찰" 대한기계학회 60 (60): 2020

      10 BBC NEWS-코리아, "코로나19는 ‘마지막 팬데믹’이 아니다"

      11 김문주, "코로나 시대에 동영상 강의를 활용한 온라인 인문교양 수업의 실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25-144, 2021

      12 김덕수, "온라인 영어 다독프로그램이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활용한 영어 수업 모형"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5 (15): 21-43, 2016

      13 곽면선, "온라인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독해력 향상과 영어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현대언어학회 33 (33): 319-338, 2017

      14 김태영, "온-오프라인 결합 교양영어 수강 대학생들의 학습동기 유형과 변화" 현대영어교육학회 12 (12): 126-156, 2011

      15 황요한, "블렌디드 러닝이 토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 신입생 교양영어 수업 분석을 통해"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8 (18): 233-248, 2019

      16 지순정, "블랜디드 러닝과 전통 영어 학습에서 심리 유형과 동기유형간 상관관계 비교 연구" 언어과학회 (83) : 401-429, 2017

      17 남정미,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 사례 연구: 교양영어 교과목으로 온라인 토익수업의 학습효과"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277-301, 2009

      18 홍민지,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척도 개발 및 검증" 고려대학교세종경영연구소 38 (38): 2018

      19 임정훈,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2 (32): 165-199, 2016

      20 김문주, "대학 인문교양 수업의 플립러닝 사례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521-545, 2019

      21 김영학, "대학 <사고와 표현> 교과에 대한 플립 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72) : 149-181, 2016

      22 조보람, "국내 플립러닝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59-73, 2018

      23 김문주, "고전희곡(古典戲曲)을 활용한 인문교양 수업의 실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59-174, 2020

      24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81-207, 2014

      25 피수영,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65-71, 2017

      26 Lage, M. J., "Inverting the Classroom: A Gateway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30 (30): 2000

      27 Davies, R. S., "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61 : 2013

      28 이종연,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13-323, 2014

      29 송지연, "Flipped Learning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영어 듣기・읽기능력과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30 Bergmann, J.,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양교육연구소 ->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 Da Vinci Mirae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