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전문 인력 양성 현황과 과제 =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양성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26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법무부가 시행하는 사회통합프로그램1)에서 한국사회 이해 과정을 담당할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양성과정에 대해 진단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하는 데 ...

      본 논문의 목적은 법무부가 시행하는 사회통합프로그램1)에서 한국사회 이해 과정을 담당할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양성과정에 대해 진단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법무부의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체계와 교육과정, 전문인력 양성의 한계와 그에 따른 대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 인력의 수요ㆍ공급, 활용연계에 대한 진단이 요청된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강사진 구성에 대한 제고가 요구된다. 셋째,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에 있어 체계적인 양질의 보수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법무부ㆍABT대학ㆍ자치단체ㆍ민간단체 등의 협력체제 구축 및 지역적 특성의 제고 속에서 시민교육 또한 담당할 수 있는 다문화사회전문가로 양성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다문화전문 인력의 활동과 연계된 심화과정으로서의 대학 혹은 대학원 과정에 다문화관련 전공 개설 등의 중장기적 로드맵을 제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다문화관련 전문 학위 과정 신설 및 인증제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apid increase of migrants in the korean society, professionals of multicultural society are very important workforce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o that immigrants have no difficulty in integrating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With the rapid increase of migrants in the korean society, professionals of multicultural society are very important workforce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o that immigrants have no difficulty in integrating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By serving migrants as multicultural professionals, new immigrants may easily settle in korea, and the multicultural professionals may contribute to the social integration by understanding their potential participation in the korean society as korean citizens.
      As a result, the number of professionals and training programs for those professionals are rapidly increasing but the quality of the workforce and programs is not improving as much as it is necessary to fellow up with the increase of migrants.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se multicultural professional’s and program training to provide an effective mecha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force.
      First, the professional training has to start depending on demand, supply, and employment. Many of professional expert job opportunities right after training, but failed to find one to satisfy their expectations.
      Second, As a consequence, the programs didn’t provide useful skills and capabilities for them to develop their expertise. For training of good progressional needs enough research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book and teacher.
      Third, for training of good professional needs supplementary lessons of systematic and fine quality.
      Fourth, the Ministry of JusticeㆍActive Brain Towerㆍa Local Community maintain a close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nd implement a educational system for citizens in the current multicultural experts education.
      Fifth, we have to demand a high level of program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counselling skills to fully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finds them remaining at the medium level without further opportunities to upgrade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 현황과 교육과정
      • 4.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의 한계에 따른 제언
      • 국문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 현황과 교육과정
      • 4.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의 한계에 따른 제언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한국이민정책의 동향과 미래의 대응방향" 2009

      2 은숙리 자엘펠더, "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 양서원 2007

      3 황규호, "한국 다문화교육 내용선정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57-85, 2008

      4 외국인정책위원회, "중앙부처 시행계획" 법무부 2010

      5 고토우 미끼, "일본의 다문화 프로그램과 다문화 사회복지사의 역할" 2008

      6 황정미,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현황과 증진방안" 한국 여성정책연구원 2009

      7 이성순, "이민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제 도입에 관한 고찰" 1 : 2008

      8 이성순, "이민자 사회통합정책의 현황과 과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1 (21): 165-187, 2010

      9 차용호,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향" 2008

      10 설동훈,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출신국가와 거주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09-134, 2008

      1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한국이민정책의 동향과 미래의 대응방향" 2009

      2 은숙리 자엘펠더, "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 양서원 2007

      3 황규호, "한국 다문화교육 내용선정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57-85, 2008

      4 외국인정책위원회, "중앙부처 시행계획" 법무부 2010

      5 고토우 미끼, "일본의 다문화 프로그램과 다문화 사회복지사의 역할" 2008

      6 황정미,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현황과 증진방안" 한국 여성정책연구원 2009

      7 이성순, "이민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제 도입에 관한 고찰" 1 : 2008

      8 이성순, "이민자 사회통합정책의 현황과 과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1 (21): 165-187, 2010

      9 차용호,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향" 2008

      10 설동훈,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출신국가와 거주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09-134, 2008

      11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이주노동자, 화교, 혼혈인" 후마니타스 2008

      12 김현미, "생활세계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및 적용방안" 한국 여성정책연구원 2008

      1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래 다문화사회 전망과 교육적 대응" 2008

      14 최현미,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학지사 2009

      15 장미혜,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16 홍기원, "다문화정책의 방향과 문화적 지원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17 김유경, "다문화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8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다문화사회의 외국인 정책과 지역 간 협력방안 모색" 2008

      19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한국의 과제" 2007

      20 박은미, "다문화사회와 지역사회적응" 한국정부학회 21 (21): 407-429, 2009

      21 김범수, "다문화사회복지론" 평택대학교다문화가족센터 2008

      22 박천응, "다문화교육의 탄생" 국경 없는 마을 2010

      23 주성훈,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0

      24 보건복지부, "다문화가족 사회통합지원" 2008

      25 민무숙, "다문화 전문 인력 양성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26 설동훈, "결혼이민자 가족실태 및 중장기 지원정책 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6

      27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ABT대학 양성 다문화사회전문가 2급 제1 회 역량강화 보수교육, 교육자료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