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조석 유입구에서의 단면통과 유량 및 조량 산정을 목적으로 목포해역 내 조석 유입구에서 ADCP를 이용한 단면 유속관측이 수행되었다. 우선, 원시 관측자료는 지배적인 유속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87736
2016
Korean
ADCP ; 단면 유속관측 ; 조석 유입구 ; 단면통과 유량 ; 조량 ; bottom tracking ; tidal entrance ; net flux of water mass ; tidal prism
KCI등재
학술저널
160-170(1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조석 유입구에서의 단면통과 유량 및 조량 산정을 목적으로 목포해역 내 조석 유입구에서 ADCP를 이용한 단면 유속관측이 수행되었다. 우선, 원시 관측자료는 지배적인 유속성...
본 연구에서는 조석 유입구에서의 단면통과 유량 및 조량 산정을 목적으로 목포해역 내 조석 유입구에서 ADCP를 이용한 단면 유속관측이 수행되었다. 우선, 원시 관측자료는 지배적인 유속성분 도출을 위하여 단면의 회전정도를 고려한 좌표회전이 수행되었으며, 정규화를 통하여 수평/수직방향 Sigma 좌표로 변환되었다. 또한, 관측이 이루어지지 않는 저면과 수면 근처의 Blank zone 데이터는 von-Karman 유속분포식을 이용하여 보간되었다. 보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단면통과 유량이 정량적으로 산정되었는데, 조석에 따른 단면통과 유량의 변화양상 뿐만 아니라 목포해역의 낙조우세적 조석특성이 잘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과거 연구들에서 제시되는 조량 산정자료의 조석조건을 보완하여 현장 관측자료에 기반한 조량산정 방법의 조건이 재정립되었으며, 새로운 정의에 근거하여 조석 유입구에서의 단면 유속관측 자료를 이용한 조량의 정량적 산정이 국내 최초로 수행되었다. 조량 산정결과는 과거 연구들로부터 도출된 조량과 조석 유입구 흐름 단면적의 상관관계 결과와 비교·분석되었으며, 산정된 결과는 과거 연구결과들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bottom tracking observation in the tidal entrance within Mokpo coast is performed using ADCP in order to estimate net flux of water mass and tidal prism. First of all, observed rawdata was conducted coordinate rotation considering r...
In this study, the bottom tracking observation in the tidal entrance within Mokpo coast is performed using ADCP in order to estimate net flux of water mass and tidal prism. First of all, observed rawdata was conducted coordinate rotation considering rotation of the cross-section in order to derive the predominant velocity component. And observed rawdata is converted into Sigma coordinate with normalization and blank zone data near the water surface and bottom is interpolated using von-Karman equation. Net flux of water mass is calculated quantitively from the interpolated data, calculated results show that these represent well characteristic of ebb superiority at Mokpo coast as well as change of net flux of water mass with tide. Also, by complementing the definition of tidal prism proposed in past studies, the definition of tidal prism including tidal condition was re-established. Based on the new definition, tidal prism at a tidal entrance using bottom tracking data with ADCP is estimated quantitively for the first time domestically.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for results of previous study, calculated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Rakhorst, R.D,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2007
2 윤병일,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조석·조류 비대칭과 창·낙조 우세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5 (45): 915-928, 2012
3 정의택, "준 폐만 점착성 퇴적물의 퇴적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4 (24): 159-165, 2012
4 서승원, "조석수동역학 모의에서 조간대 침수 - 노출 고려효과 비교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5 (15): 97-107, 2003
5 정태성, "목포해력 낙조류 우세현상의 수치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 (22): 333-343, 2010
6 이동환, "단면 관측을 통한 경기만 염하수로의 대조기 평수시와 홍수시 유출입량 변화특성 조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4 (24): 16-25, 2012
7 Jarrett, J.T, "Tidal prism-inlet area relationships" Coast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76
8 Van de Kreeke, J, "Stability of Estuary Mouths in the Rhine-Meuse Delta" ASCE Press 2627-2639, 1980
9 Marcel J.F. Stive, "Review of co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inlet cross-section and tidal prism" (23) : 2008
10 Preisendorfer, R.W,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Elsevier 425-, 1988
1 Rakhorst, R.D,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2007
2 윤병일,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조석·조류 비대칭과 창·낙조 우세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5 (45): 915-928, 2012
3 정의택, "준 폐만 점착성 퇴적물의 퇴적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4 (24): 159-165, 2012
4 서승원, "조석수동역학 모의에서 조간대 침수 - 노출 고려효과 비교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5 (15): 97-107, 2003
5 정태성, "목포해력 낙조류 우세현상의 수치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 (22): 333-343, 2010
6 이동환, "단면 관측을 통한 경기만 염하수로의 대조기 평수시와 홍수시 유출입량 변화특성 조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4 (24): 16-25, 2012
7 Jarrett, J.T, "Tidal prism-inlet area relationships" Coast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76
8 Van de Kreeke, J, "Stability of Estuary Mouths in the Rhine-Meuse Delta" ASCE Press 2627-2639, 1980
9 Marcel J.F. Stive, "Review of co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inlet cross-section and tidal prism" (23) : 2008
10 Preisendorfer, R.W,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Elsevier 425-, 1988
11 Kim, Y.G, "Port Glossary" Imagefile Publishing Co 2000
12 Yi, S.-U, "On the Tides, Tidal Currents and Tidal Prisms at Inchoen Harbor" 7 (7): 86-97, 1972
13 Robins, P.E, "Morphological controls in sandy estuaries: the influence of tidal flats and bathymetry on sediment transport" Springerlink 60 (60): 503-517, 2010
14 M.A. Powell, "Morphodynamic relataionships for ebb and flood delta volumes at Florida’s entrances" 56 : 295-307, 2006
15 Kraus, N.C, "Inlet cross-section area calculated by processbased model" ASCE 3265-3278, 1998
16 O’Brien, M.P, "Equilibrium flow areas of inlets on sandy coasts" 95 (95): 43-52, 1969
17 US Army Corps of Engineers, "Coastal Engineering manual Part II, EM 1110-2-1100" 2006
18 Eysink, W.D, "Coastal Engineering 1990 Proc" ASCE 1948-1961, 1990
19 Kang, J.W, "Analysis of ebb-dominant tidal currents characteristics at Mokpo coastal zone" 18 (18): 185-193, 1998
20 김동수, "ADCP 자료의 공간평균을 이용한 평균유속장 산정에 대한 검증" 한국환경과학회 20 (20): 107-1118, 2011
21 Kim, Y.-M, "A Numerical Study on Net Flux of Water and Suspended Sediment in Mokpo Coas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5
비중 차이에 따른 테트라포드 안정계수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상흐름 하에서 스포일러 부착형 해저파이프라인의 자가매설 기구에 관한 수치해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2-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7 | 0.608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