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Thriller as a Genre and Its Korean Particularity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31480
2006
-
KCI등재
학술저널
331-352(22쪽)
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y Thriller as a Genre and Its Korean Particularity
History Thriller as a Genre and Its Korean Particularity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새로 등장한 역사추리소설은 역사물이 추리물이라는 탐색서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혼종 장르이다. 역사추리 장르의 출현은 실증주의적인 근대 역사학이 붕괴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
최근 새로 등장한 역사추리소설은 역사물이 추리물이라는 탐색서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혼종 장르이다. 역사추리 장르의 출현은 실증주의적인 근대 역사학이 붕괴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언어로의 전환(the linguistic turn)’이나 신문화사(the new cultural history) 등과 같은 새로운 역사학에서 사료는 ‘전거(典據)’ 개념으로부터 ‘단서’ 개념으로 그 위상이 변화한다. 파편과도 같은 불완전한 조각들인 사료들을 가지고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하기 위해서 역사가는 상상적 추론의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 때 역사가는 마치 수사관이나 탐정과도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역사적 사실을 추리의 대상으로 끌어들이는 역사추리 장르의 발생은 우리 시대에 일어난 역사관의 이 같은 변화를 징후적으로 보여주는 문화 현상이라 하겠다.한편 흔히 역사추리소설이라는 명칭과 동의어처럼 사용되는 팩션(faction)이라는 용어는 새로운 역사학의 한 극단인 포스트모던한 역사관을 반영한다. 포스트모던한 역사관에서 역사가는 지금 우리에게 부재하는 과거(원본)를 실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시뮬라시옹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구분이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며, 역사적 진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구성되는가 하는 문제가 논점으로 부각된다. 한국 역사추리소설들은 대체로 좁은 의미의 역사추리소설(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함)이면서 넓은 의미의 팩션(허구와 실재를 과감하게 뒤섞어 결과적으로 리얼리티에 혼란을 초래함)에 속한다. 이는 서구의 ‘팩션-역사추리물’들이 주로 좁은 의미의 팩션(리얼리티 개념 자체를 회의하고 진실의 위상을 전복함)이자 넓은 의미의 역사추리소설(역사적 소재를 다룬 현재적인 스릴러를 포함함)에 해당하는 것과는 성격을 달리한다.≪방각본 살인사건≫(김탁환), ≪정약용 살인사건≫(김상현), ≪뿌리 깊은 나무≫(이정명) 등의 한국 역사추리소설들은 또한 개혁의 정당성과 역사의 진보에 대한 믿음을 토대로하여, 근대적인 사상과 사회경제적 질서의 도입, 근대 민족주의적 과제의 달성 등에 관심을 집중한다. 이처럼 한국 역사추리소설은 근대적인 담론을 생산하고 그 영향력 안에서 작동한다. 팩션으로서의 포스트모던한 기본 조건과 역사물로서의 근대적인 가치관이 혼재하는 양상은 한국 역사추리소설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비롯한 근대적 패러다임과 자본주의적인 사회경제구조의 문제점들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고 있는 오늘날, 이 같은 특수성은 한국 역사추리소설의 한계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문화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54-94, 2006
2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56-230, 2006
3 "팩션시대, 영화와 역사를 중매하다" 프로네시스 31-75, 2006
4 "우리는 왜 팩션에 열광하는가?" (겨울호) : 217-232, 2005
5 "우리 역사소설은 이론과 논쟁이 필요하다" 책세상 51-143, 2000
6 "역사서술의 문학성과 역사소설의 새로운 경향" 141집 : 83-105, 2005.12
7 "뮤즈들에 둘러싸인 클리오" (봄호) : 192-211, 2005
8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책세상 21-99, 2000
9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79-80, 1999
10 "남과 북의 새로운 역사감각들" (여름호) : 48-67, 2004
1 "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문화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54-94, 2006
2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56-230, 2006
3 "팩션시대, 영화와 역사를 중매하다" 프로네시스 31-75, 2006
4 "우리는 왜 팩션에 열광하는가?" (겨울호) : 217-232, 2005
5 "우리 역사소설은 이론과 논쟁이 필요하다" 책세상 51-143, 2000
6 "역사서술의 문학성과 역사소설의 새로운 경향" 141집 : 83-105, 2005.12
7 "뮤즈들에 둘러싸인 클리오" (봄호) : 192-211, 2005
8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책세상 21-99, 2000
9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79-80, 1999
10 "남과 북의 새로운 역사감각들" (여름호) : 48-67, 2004
11 "Writing History as a Prophet Postmodernist Innovations of the Historical Novel" 27-115, 1991
12 "The Sign of Three" Indiana Univ 81-118, 1988
13 "The Historical Imagination in 19th Century Europe" Th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1973
14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푸른역사 53-56, 2000
15 "'언어로의 전환'에 대한 재평가" 푸른 역사 9집 : 151-166, 2004.1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3 | 1.017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