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교육현장에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활용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교육주체인 유아와 교사를 중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35257
2011
-
375.05
KCI등재
학술저널
253-276(24쪽)
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치원 교육현장에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활용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교육주체인 유아와 교사를 중심...
유치원 교육현장에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활용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교육주체인 유아와 교사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의 교사 2명과, 연구 참여 교사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의 유아 44명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면담과 현장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와 유아의 지능형 서비스로봇에 대한 인식과 상호작용적 의미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먼저 교사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대해 초기에는 부정적 인식이 강하였으나 호기심과 관심을 갖는 탐색기를 거쳐 로봇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또 하나의 부가되는 업무로서 부담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는 로봇을 경험하면서 초기에 긍정적인 반응과 호기심을 나타내며, 교사들보다 적극적인 태도로서 로봇을 하나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였으며, 적응과정을 겪으면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로봇과 친밀감을 형성하였다. 또한 정서적으로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유아들의 경우 일반 유아들 보다 더욱 친밀감을 가지면서 극적인 경험을 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lligent service robot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kindergarten education.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initial and later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in classes using such robot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pedagogical efficac...
Intelligent service robot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kindergarten education.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initial and later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in classes using such robot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pedagogical efficacy in terms of cognition and emo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two teachers and 44 preschoolers in their classes in the city of 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scertain both the teachers' and the children's awareness and feelings regarding intelligent service robots before and after their experiences with them. Analyses of the data obtained reveals that the teachers took a dismal view of intelligent service robots in the beginning, and then, in what may be noted as a natural period of exploration, they became more interested and curious. Finally, they came to view the robots favorably yet they felt they were under pressure at the same time since using the robots was an added teaching responsibility and duty. The you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were immediately curious and responded positively at first sight of the robots, and they came to regard the robots as one of their organizational members more actively thandid their teachers. The children quickly adapted to the robotsand interacted with them in diverse ways. Specifically, children in need of special emotional support appeared to establishintimate ties with the robots and their narrated and observed experiences with the robots were more dramatic than those of the other children.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경, "초등학교 학생들의 E-learning 활용 실태분석 및 개선 방안"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6
2 김옥진, "초등교육용 로봇 얼굴 설계를 위한 인지적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Creswell, W,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05
4 정혜남, "유치원에서 적용한 R-learning" 7 (7): 22-26, 2010
5 강정원, "유치원 종일반의 질적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65-385, 2008
6 김은영,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303-324, 2006
7 현은자, "유아의 교육용 로봇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9-205, 2010
8 현은자, "유아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정서와 역할인식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71-186, 2010
9 남궁선혜, "유아교육을 위한 미디어로서 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9 : 193-204, 2002
10 윤현민,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1 정재경, "초등학교 학생들의 E-learning 활용 실태분석 및 개선 방안"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6
2 김옥진, "초등교육용 로봇 얼굴 설계를 위한 인지적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Creswell, W,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05
4 정혜남, "유치원에서 적용한 R-learning" 7 (7): 22-26, 2010
5 강정원, "유치원 종일반의 질적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65-385, 2008
6 김은영,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303-324, 2006
7 현은자, "유아의 교육용 로봇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9-205, 2010
8 현은자, "유아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정서와 역할인식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71-186, 2010
9 남궁선혜, "유아교육을 위한 미디어로서 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9 : 193-204, 2002
10 윤현민,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11 현은자, "유아교육에서의 R-learning" 7 (7): 9-15, 2010
12 현은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서비스 로봇의 콘텐츠 개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19-142, 2009
13 현은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로봇에 대한 유아의 경험과 인식" 한국아동학회 31 (31): 267-282, 2010
14 김경철, "유아교육과 과학기술의 만남: R-러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선진화와 과학기술의 만남" 599-614, 2010
15 현은자,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9 (9): 482-491, 2009
16 신나민, "아동-로봇 친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97-111, 2008
17 남궁윤재, "미취학 아동을 위한 Network Educaton Wearable Robot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아동심리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8 신나민, "로봇과 학습의 관계 맺기: 초ㆍ중ㆍ고등학생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79-99, 2007
19 홍정선, "뇌발달 연구모임을 통한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성장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20 라동철, "기술과 기술이 만나 마술이 된다 -기술의 대융합(2010. 03. 04)"
21 정지현,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과 이미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30, 2010
22 김경철, "교사보조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5-42, 2010
23 한정혜,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한국정보교육학회 10 (10): 155-162, 2006
24 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미래비전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0
25 김유경, "‘로봇 선생님’ 2012년 초등학교로 발령"
26 한정혜, "r-Learning에서의 로봇보조학습" 한국정보교육학회 13 (13): 497-508, 2009
27 Ruvolo P, "Tuning Optimizers for Time-Constrained Problem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2008
28 조광수, "R-러닝을 위한 로봇 안면 정서표현과 유아의 인식. 유아교육의 학제간 접근" 321-323, 2010
29 김경철, "R-러닝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R-러닝 수용에 대한 인식 연구: 콘텐츠와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249-269, 2010
30 Spradley, J. P, "Participant obseva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0
31 Klassner, F, "LEGO MindStorms: Not just for K-12 anymore" 2003
32 Kanda, T, "Interactive robots as social partners and peer tutors for children: A field trial" 19 (19): 61-48, 2004
33 Buckleitner, W, "Getting started with computers and children" 101 : 21-24, 1995
34 Chang, C. W,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Humanoid Robots as Instructional Tools for Teaching a Second Language in Primary School" 13 (13): 13-24, 2010
35 Marti, P, "Experiencing the flow: design issues in human-robot interaction" 69-74, 2004
36 Leite, I, "Are emotional robots more fun to play with" 77-82, 2008
37 Ito, T., NEC, "Analysis on Children's Images of Robots in terms of Clinical Psychology-How Children Perceive Robots Changes in Children;s Images of Robots after their Interaction with Robots" whiter paper of NEC 2001
38 Ito, T, "A storytelling support system using robots and handheld projectors" 113-116, 2008
39 Kozima, H, "A robot in a playroom with preschool children: Longitudinal field practice" 599-604, 2007
유아교육실습 시 e-멘토링에 참여한 실습지도교수와 실습생의 경험 및 관계
유아 바깥놀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복합놀이기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72 | 2.72 | 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74 | 2.67 | 3.087 | 0.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