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양체육 교수자의 가치정향에 따른 성취요인 우선순위 탐색 = Instructors’ Hierarchical Value Orientation in Physical Education-Related Elective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4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nstructors’ hierarchy of value orientation when they teach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in college. What should be emphasized, no matter what value orientation one pursues, is that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embrace the principle of holistic education. Curricular activities and instructions, however, c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instructor’s value orientation, societal demands, participants’ needs, and others. This study utilized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 (AHP) to find out what physical education electives instructors consider important to teach. As results, the participants who have bee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in this study consider the value of ‘Self-actualization (0.362)’ the most important. while they regard ‘Ecological integration (0.054)’ as the least importance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electives. ‘Discipline mastery (0.303)’ takes the second position. ‘Social reconstruction (0.175)’ and ‘Learning process (0.107)’ are placed on the 3rd and the 4th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put their efforts to help their students experience pleasure and easiness of stress, both of which are sub-components of ‘Self-actualization.’ They emphasize skill and knowledge acquisition by putting ‘Discipline mastery’ on 2nd in the hierarchical order. Physical education electives need to help learners experience pleasure with achievement in safe circumstances under mutually respectful atmosphere since hierarchy implies perspectives rather than what is worth or worthl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nstructors’ hierarchy of value orientation when they teach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in college. What should be emphasized, no matter what value orientation one pursues, is that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nstructors’ hierarchy of value orientation when they teach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in college. What should be emphasized, no matter what value orientation one pursues, is that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embrace the principle of holistic education. Curricular activities and instructions, however, c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instructor’s value orientation, societal demands, participants’ needs, and others. This study utilized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 (AHP) to find out what physical education electives instructors consider important to teach. As results, the participants who have bee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in this study consider the value of ‘Self-actualization (0.362)’ the most important. while they regard ‘Ecological integration (0.054)’ as the least importance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electives. ‘Discipline mastery (0.303)’ takes the second position. ‘Social reconstruction (0.175)’ and ‘Learning process (0.107)’ are placed on the 3rd and the 4th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put their efforts to help their students experience pleasure and easiness of stress, both of which are sub-components of ‘Self-actualization.’ They emphasize skill and knowledge acquisition by putting ‘Discipline mastery’ on 2nd in the hierarchical order. Physical education electives need to help learners experience pleasure with achievement in safe circumstances under mutually respectful atmosphere since hierarchy implies perspectives rather than what is worth or worthl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남기, "후기 산업사회에서의 대학교양체육 교과과정 구성과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철학회 17 (17): 181-195, 2009

      2 최종철,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교훈" 1 (1): 151-172, 2007

      3 서남수,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과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18, 2010

      4 장은주, "학제간 융합교육을 위한 인문적 교양 교육의 새로운 활로 찾기" 2 (2): 2008-, 2008

      5 성창훈, "청소년 운동선수의 스포츠 참가 동기 심층 분석" 7 (7): 153-171, 1996

      6 신민혜, "진로확대를 위한 역량중심의무용학과 교과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7 장미옥,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 283-294, 2004

      8 최의창, "인문적 체육과 하나로 수업 : 대학에서의 체육지도를 위한 한 가지 접근" 8 (8): 45-64, 2001

      9 손동현, "융복합 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3 (3): 21-32, 2009

      10 유정애, "우리나라 대학생의 교양 체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한국체육학회 52 (52): 183-195, 2013

      1 조남기, "후기 산업사회에서의 대학교양체육 교과과정 구성과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철학회 17 (17): 181-195, 2009

      2 최종철,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교훈" 1 (1): 151-172, 2007

      3 서남수,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과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18, 2010

      4 장은주, "학제간 융합교육을 위한 인문적 교양 교육의 새로운 활로 찾기" 2 (2): 2008-, 2008

      5 성창훈, "청소년 운동선수의 스포츠 참가 동기 심층 분석" 7 (7): 153-171, 1996

      6 신민혜, "진로확대를 위한 역량중심의무용학과 교과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7 장미옥,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 283-294, 2004

      8 최의창, "인문적 체육과 하나로 수업 : 대학에서의 체육지도를 위한 한 가지 접근" 8 (8): 45-64, 2001

      9 손동현, "융복합 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3 (3): 21-32, 2009

      10 유정애, "우리나라 대학생의 교양 체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한국체육학회 52 (52): 183-195, 2013

      11 유정애, "우리나라 대학 교양 체육의 교육력 및 경쟁력 비평" 한국체육학회 52 (52): 205-216, 2013

      12 이상일, "여자대학교 교양체육 인식도 및 만족도 조사" 한국체육교육학회 7 (7): 34-45, 2002

      13 허현미, "여대 교양체육의 만족도 및 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17 (17): 163-176, 2003

      14 조남기, "여가 스포츠 참여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고찰: 태도, 동기, 목적유래, 자아효능감, 귀인이론을 바탕으로 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45 (45): 435-444, 2006

      15 김선희, "안목의 습득을 위한 대학교양체육: 수업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1 (11): 105-120, 2004

      16 송용호, "수상스키수업(교양과목)중 대기시간에 장난을 하다가 사망한 사례"

      17 박승억, "세계화와 인문 교양 교육" 1 : 91-106, 2007

      18 한국대학신문, "서울대 교양체육 ‘비교과’ 검토 강사들 반발"

      19 송유진, "새로운 미래사회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의 혁신" 한국교육철학회 (43) : 131-160, 2011

      20 하병학, "보편적 학문이론과 교양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현상학회 (31) : 171-198, 2006

      21 백성일, "대학의 교양체육 이대로 좋은가" 201 : 62-64, 1985

      22 이종호, "대학생의 생활체육수업 수강에 따른 참여동기와 여가몰입경험과의 관계" 40 (40): 115-125, 2001

      23 임진선,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만족, 심리적 웰빙과 지속의도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0 (50): 275-283, 2011

      24 양대승, "대학생들의 교양 체육 참여동기와 여가만족 및 여가지속 의도와의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 (35): 17-27, 2011

      25 김정묵, "대학교양체육 재미요인과 체육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319-330, 2010

      26 배금수, "대학 교양체육의 활성화에 관한 고찰" 13 (13): 169-178, 1998

      27 황향희, "대학 교양체육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학회 11 (11): 101-111, 2013

      28 이춘수, "대학 교양체육의 필요성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31 : 343-384, 2001

      29 정찬수, "대학 교양체육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찾기" 한국사회체육학회 (22) : 129-142, 2004

      30 조성원, "대학 교양체육의 역할과 개선방안" 한국체육과학회 22 (22): 489-501, 2013

      31 윤대현, "대학 교양체육의 성찰과 지향점 탐색"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03-511, 2014

      32 최웅재, "대학 교양체육의 만족요인에관한 연구-스키, 스노보드캠프를 중심으로" 16 (16): 23-34, 2006

      33 김영구, "대학 교양체육 활성화 방안에관한 연구" 37 (37): 499-511, 1998

      34 김영미, "대학 교양체육 이대로 좋은가:마지막회 활성화 개선방안 설문에 집약된 교양체육" 205 : 33-37, 1985

      35 이철원, "교양체육의 내실화 방안 모색" 37 (37): 452-467, 1998

      36 김재우, "교양체육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 7 (7): 287-301, 2003

      37 윤병열, "교양체육 내실화를 위한 대학생 의식조사 연구" 7 (7): 381-391, 1996

      38 손동현,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균형과 수렴에 관해"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9-27, 2010

      39 이종철, "교양 체육수업의 참여동기와 몰입경험 및 수업만족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7 (17): 211-222, 2008

      40 손동현, "교양 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강화 방책" 3 (3): 5-22, 2009

      41 Mulcahy, D. G., "What should it mean to have a liber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39 (39): 465-486, 2009

      42 Mondello, M., "The organization administration, and operational procedures of and elective program at a research on university" 57 (57): 77-82, 2004

      43 Jewett, A. E., "The curriculum process in physical education" Brown & Benchmark 1995

      44 Scanlan, T. K., "Sources of enjoyment for youth sport athletes" 5 : 275-285, 1993

      45 Wind, Y., "Marketing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7 : 641-659, 1980

      46 Wankel, L. M., "Factors underlying enjoyment of youth sports : Sport and age group comparisons" 7 : 51-64, 1985

      47 Saaty, T. L.,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s" 15 (15): 234-281,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