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폐장애유아 = The Teachers’ Perspective on Young Children with Aut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4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폐장애 유아에 대해 교사들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현장에서 자폐장애가 있는 유아와 그렇지 않은 유아를 함께 지도한 교사들을 심층 면담하여 이들이 자폐장애 유아들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 대부분은 자폐장애의 진단적 특징으로 알려진 의사소통에서의 결손, 상호작용에서의 결손이라는 측면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두드러지게 인식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자폐장애 유아들이 눈치가 빠르다고 하였으며, 교사들의 경력이나 성별에 따라 상호작용에서 반응을 달리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학습 속도 면에서 처음에는 느린 반응을 보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폭발적인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고 하였다. 자폐장애 유아에 대한 교사들의 관점은 이들이 자폐장애 유아를 장기적으로 관찰하고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했기 때문에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의학적 특성과는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위와 같은 교사들의 관점은 의학적 관점이 보지 못하는 자폐장애 유아들의 장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폐장애 유아에 대해 교사들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현장에서 자폐장애가 있는 유아와 그렇지 않은 유아를 함께 지도한 교사들을 심...

      본 연구는 자폐장애 유아에 대해 교사들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현장에서 자폐장애가 있는 유아와 그렇지 않은 유아를 함께 지도한 교사들을 심층 면담하여 이들이 자폐장애 유아들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 대부분은 자폐장애의 진단적 특징으로 알려진 의사소통에서의 결손, 상호작용에서의 결손이라는 측면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두드러지게 인식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자폐장애 유아들이 눈치가 빠르다고 하였으며, 교사들의 경력이나 성별에 따라 상호작용에서 반응을 달리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학습 속도 면에서 처음에는 느린 반응을 보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폭발적인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고 하였다. 자폐장애 유아에 대한 교사들의 관점은 이들이 자폐장애 유아를 장기적으로 관찰하고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했기 때문에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의학적 특성과는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위와 같은 교사들의 관점은 의학적 관점이 보지 못하는 자폐장애 유아들의 장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how educator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view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possess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Most of the teachers indicated that, since they interacted frequently with young children with autism, they were able to interpret the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of the children with others.
      Furthermore, young children with autism have a tendency to respond according to the type of teacher. They learn more slowly than their peers, but as time passes, their speed increa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regard to the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it is important to take note of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provided by the teacher’s perspective from the medical perspective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how educator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view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possess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Most of the teachers indicated that, since they inte...

      This study explored how educator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view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possess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Most of the teachers indicated that, since they interacted frequently with young children with autism, they were able to interpret the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of the children with others.
      Furthermore, young children with autism have a tendency to respond according to the type of teacher. They learn more slowly than their peers, but as time passes, their speed increa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regard to the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it is important to take note of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provided by the teacher’s perspective from the medical perspec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2
      • Ⅱ연구 방법 3
      • 1. 연구 설계 3
      • 2. 자료 수집 및 분석 4
      • 1) 연구현장 4
      • Ⅰ서론 2
      • Ⅱ연구 방법 3
      • 1. 연구 설계 3
      • 2. 자료 수집 및 분석 4
      • 1) 연구현장 4
      • 2) 연구 참여자 5
      • 3) 심층면담 5
      • 4) 자료분석 6
      • 3. 연구의 진실성 6
      • Ⅲ 결과 7
      • 1. 두드러지게 인식되지 않는 진단적 특징 7
      • 2. 눈치와 질투 보임 10
      • 3. 교사들을 차별해서 반응 11
      • 4. 늦은 반응과 때론 폭발적 변화 13
      • Ⅳ 논의 및 결론 1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미순, "초등학교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이미지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327-355, 2013

      2 Mattew B., Mihael, "질적자료분석론" 학지사 2009

      3 Saldana, J, "질적연구자를 위한 부호화 지침서" 신정 2012

      4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5 박혜준,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6 김귀분, "질적연구방법론" 현문사 2005

      7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8 최종혁, "질적 연구 방법론" 도서출판 신정 2011

      9 김진숙, "장애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병리적 관점과 사회체제결함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4 (14): 57-75, 2010

      10 김건희, "자폐장애 학습자의 중재전략 연구의 최근 동향: 2006년-2010년"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 (27): 337-370, 2011

      1 장미순, "초등학교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이미지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327-355, 2013

      2 Mattew B., Mihael, "질적자료분석론" 학지사 2009

      3 Saldana, J, "질적연구자를 위한 부호화 지침서" 신정 2012

      4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5 박혜준,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6 김귀분, "질적연구방법론" 현문사 2005

      7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8 최종혁, "질적 연구 방법론" 도서출판 신정 2011

      9 김진숙, "장애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병리적 관점과 사회체제결함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4 (14): 57-75, 2010

      10 김건희, "자폐장애 학습자의 중재전략 연구의 최근 동향: 2006년-2010년"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 (27): 337-370, 2011

      11 송종근,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초기 발달의 특징과 임상양상에 대한 연구" 13 (13): 220-231, 2005

      12 김건희, "자폐를 가진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20, 2010

      13 김건희, "자폐를 가진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접근법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20, 2010

      14 김건희, "발달장애학생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용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321-339, 2013

      15 Bogdan, R, "교육의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의 기초" 경문사 2010

      16 Kluth, P., "You’re going to love this kid : Teaching students with autism in the inclusive classroom" Brookes 2003

      17 Barron, J., "There’s a boy in here" Simon & Schuster 1992

      18 Bogdan, R., "The social meaning of mental rdation: two lifestories: a revised edition of “inside out” with a new postscript" Teachers College Press 1994

      19 Berger, P.,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Doubleday & Company 1966

      20 Oliver, M., "The Politics of disablement : A sociological approach" The MacMillan Press 1990

      21 Blumer, H.,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and method" Prentice-Hall 1969

      22 Kliewer, C, "Schooling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oward an understanding of possibility" Teacher’s College Press 1998

      23 Rubin, S., "Independence, participation, and the meaning of intellectual ability" 6 (6): 415-429, 2001

      24 Jackson, L., "Freaks, geeks & Asperger Syndrom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2

      25 Thomson, G., "Extraordinary bodies: Figuring physical disability in American culture and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26 Grandin, T., "Emergence labeled autistic" Arena Press 1986

      2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Text Revision." Author 2000

      28 김건희, "Construstions and Reconstructions of Autism: Teachers' Perspectives at Selected American and South Korean Inclusive Education Sites" 시라큐스대학교 2008

      29 김건희, "Constructing Learning by Students Labeled with Autism and Students Who are not Classified as Disabled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s: Teachers in South Korea and in the United States"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189-212, 2009

      30 Shore, S., "Beyond the wall" APC 2001

      31 Kanner, L., "Autistic Disturbances of Affective Contact, In Classic Reasongs in Autism" Teachers College Press 1988

      32 Biklen, D., "Autism and the myth of the person alon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5

      33 정영숙, "ADHD 아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긍정심리학 관점의 대안적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5-48, 2012

      34 Goode, D., "A world without words : The social construction of children born deaf and blind" Temple University Press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