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파상처리와 지베렐린을 이용한 무늬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Variegatum’)의 휴면타파 = Scarification and Gibberellic Acid Affecting to Dormancy Breaking of Variegated Solomon’s Seal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Variegat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7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무늬 둥굴레는 화훼장식의 절엽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봄과 여름 시기에만 생산되는 제한적인 시장성을 가지고 있다. 무늬 둥굴레의 연중생산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시간과 공간...

      무늬 둥굴레는 화훼장식의 절엽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봄과 여름 시기에만 생산되는 제한적인 시장성을 가지고 있다. 무늬 둥굴레의 연중생산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시간과 공간을 필요로 하는 저온처리를 대신하는 무늬둥굴레의 휴면타파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베렐린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무늬둥굴레의 휴면을 타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휴면 상태의 무늬둥굴레 근경에 지베렐린을 두상관주 하였을 때에는 휴면타파가 이루어 지지않았다. 하지만 지베렐린을 처리하기 전에 면 도칼로 무늬둥굴레의 표피에 상처를 내어 지베렐린을 관주하거나 주사로 지베렐린을 직접 주입하였을 때에는 1년차 실험에서는 GA3 400㎎ㆍL<SUP>-1</SUP>를 처리했을 때 각각 100, 83.3%의 휴면타파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면도날이나 주사기를 사용했을 경우 무늬둥굴레에 물리적인 피해가 나타나 NaOCl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를 사용해 보았다. 솜에 묻힌 4%의 NaOCl을 6시간 또는 24시간 처리한 이후에 GA3 400㎎ㆍL<SUP>-1</SUP>를 처리했을 때 휴면 상태의 무늬둥굴레에서 각각 70%와 86.7%의 휴면타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대조구나 지베렐린의 관주처리에 비하여 물리적인 처리 이후 지베렐린을 처리했을 때 엽수가 더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베렐린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면 무늬둥굴레의 휴면을 효율적으로 타파시켜서 절엽의 주년생산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liage of variegated Solomon’s seal is excellent in cut flower arrangements. However, it has a restricted marketing period because the harvesting is limited in spring and summer. The increased interest requires the year-round production, thus t...

      The foliage of variegated Solomon’s seal is excellent in cut flower arrangements. However, it has a restricted marketing period because the harvesting is limited in spring and summer. The increased interest requires the year-round production, thus techniques for dormancy breaking and forcing without low temperature treatment is needed. Therefo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gibberellic acid (GA) could b reak dormancy in variegated Solomon’s seal. The sprouting of dormant bud did not occur throughout the experiment when GA₃ 400 ㎎ㆍL<SUP>-1</SUP> was applied to dormant rhizomes as a soil drench. However, when plants were treated with a GA drench after scratch with razor blade or were given direct injection of GA, percent sprouting was increased up to 100 or 83.3%, respectively. However, because treatments with razor or syringe may damage internal organs, we tested another method, scarifying the rhizomes with sodium hypochlorite (NaOCl). Rhizome scarification with 4% NaOCl for 6 or 24 hours followed by drench of GA3 400 ㎎ㆍL<SUP>-1</SUP> increased the dormancy breaking percentage to 70 or 86.7%, respectively. Moreover, scarified and GA-treated rhizomes produced more leaves than untreated or GA-soil drenched plants in the glasshouse. These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year-round production of variegated Solomon’s seal foliage with rhizome scarification and GA treat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하, "무늬둥굴레 연중생산을 위한 생장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한국화훼학회 21 (21): 23-26, 2013

      2 유주현,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도되는 농약의 엽면 침투성 연구 현황" 한국농약과학회 6 (6): 3-24, 2002

      3 Jeffrey, C., "The genus Polygonatum (Liliaceae) in Eastern Asia" 34 : 435-471, 1980

      4 Rudnicki, R., "The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sprouting and flowering of some tulip cultivars" 4 : 387-397, 1976

      5 Taiz, L., "Plant physiology. 4th ed" Sinauer Associates, Inc., Publishers 2006

      6 Wada, S., "Optimized scarification protocols improve germination of diverse Rubus germplasm" 130 : 660-664, 2011

      7 Lee, J.H., "Korean agriculture: Don’t be timid" 142 : 1-19, 2012

      8 Armitage, A.M., "Herbaceous perennial plants: A treatise on their identification, culture, and garden attributes" Varsity Press 1989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ing cultivation techniques of highland" RDA 461-, 2001

      10 Halevy, A, "Evaluation of methods for flowering advancement of herbaceous peonies" 37 : 885-889, 2002

      1 이용하, "무늬둥굴레 연중생산을 위한 생장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한국화훼학회 21 (21): 23-26, 2013

      2 유주현,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도되는 농약의 엽면 침투성 연구 현황" 한국농약과학회 6 (6): 3-24, 2002

      3 Jeffrey, C., "The genus Polygonatum (Liliaceae) in Eastern Asia" 34 : 435-471, 1980

      4 Rudnicki, R., "The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sprouting and flowering of some tulip cultivars" 4 : 387-397, 1976

      5 Taiz, L., "Plant physiology. 4th ed" Sinauer Associates, Inc., Publishers 2006

      6 Wada, S., "Optimized scarification protocols improve germination of diverse Rubus germplasm" 130 : 660-664, 2011

      7 Lee, J.H., "Korean agriculture: Don’t be timid" 142 : 1-19, 2012

      8 Armitage, A.M., "Herbaceous perennial plants: A treatise on their identification, culture, and garden attributes" Varsity Press 1989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ing cultivation techniques of highland" RDA 461-, 2001

      10 Halevy, A, "Evaluation of methods for flowering advancement of herbaceous peonies" 37 : 885-889, 2002

      11 Kim, J.K., "Effects of chilling duration, GA3 and GA4+7 treatment on breaking dormancy in Lilium oriental hybrid bulblets cultured in virto" 13 : 292-293, 1995

      12 여수미, "Dormancy Release and Flowering of Paeonia lactiflora ‘Taebaek’ by Natural Cumulative Chilling and GA3 Treatment" 한국원예학회 53 (53): 263-270, 2012

      13 윤나영, "Chilling Requirement for Dormancy Release of Variegated Solomon’s Seal" 한국원예학회 52 (52): 553-558, 2011

      14 Hosoki, T., "Breaking bud dormancy on corms and trees with sulfide compounds in garlic and horseradish" 21 : 114-116, 1986

      15 Yeh, D.M., "A thermal time model for predicting time to aerial shoot elongation in variegated Solomon's seal" 136 : 69-7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74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1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