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와 문화경관 = Heritage value and Cultural Landscape of Woljeong Temple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paradigm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s have shifted to conserving the values of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areal perspective. The traditional temples in Korea, as living religious heritage, have forests with a good ecological state, valuable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landscapes. To maintain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traditional temple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diverse values associated with religious, cultural, and natural resources in temple areas and to establish the value-based management plans.
      This study introduces the value-based management model of traditional temples and the assessment indicators. Also, the two kinds of value assessments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landscape valu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and visitor perceptions. The landscape assessment was performed in terms of space composition and access system, entry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stream landscape. Visitor assessment was focused on the 12 values of the Woljeong temple, the importanc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and economic assess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ndscap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maintained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 harmony with nature and that visitors evaluated the 12 values highl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Woljeong temple area should be registered as mixe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 If registered as mixe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value-based management plan which restores the religious value and at the same time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other values. Also it is possible for the Woljeong temple to participate in both preparing and implementing the management plan. In order to maintain such a cultural landscape, endeavors to correspond with the identity of the Woljeong temple are needed.
      번역하기

      Currently, the paradigm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s have shifted to conserving the values of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areal perspective. The traditional temples in Korea, as living religious heritage, have forests with a ...

      Currently, the paradigm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s have shifted to conserving the values of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areal perspective. The traditional temples in Korea, as living religious heritage, have forests with a good ecological state, valuable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landscapes. To maintain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traditional temple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diverse values associated with religious, cultural, and natural resources in temple areas and to establish the value-based management plans.
      This study introduces the value-based management model of traditional temples and the assessment indicators. Also, the two kinds of value assessments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landscape valu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and visitor perceptions. The landscape assessment was performed in terms of space composition and access system, entry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stream landscape. Visitor assessment was focused on the 12 values of the Woljeong temple, the importanc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and economic assess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ndscap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maintained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 harmony with nature and that visitors evaluated the 12 values highl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Woljeong temple area should be registered as mixe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 If registered as mixe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value-based management plan which restores the religious value and at the same time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other values. Also it is possible for the Woljeong temple to participate in both preparing and implementing the management plan. In order to maintain such a cultural landscape, endeavors to correspond with the identity of the Woljeong temple ar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래에는 문화유산을 면(面)적 관점에서 관리하고 유산의 가치를 보존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사찰은 살아있는 종교유산으로서 생태가 양호한 산림과 문화자원이 있으며 독특한 문화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전통사찰을 바람직하게관리하기 위해서는 종교, 문화, 자연자원으로부터 창출되는 다양한 가치를 도출하고 가치중심 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찰보존지의 가치중심 관리모델과 가치평가 지표를 소개하고, 월정사 보존지에 대한 경관가치 평가와 일반인의 가치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 보존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관가치 평가는 공간구성 및 진입체계, 진입경관, 문화경관, 하천경관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방문객581명을 대상으로 12가지 가치에 대한 중요도 평가, 오대산 국립공원에서 월정사 보존지가 차지하는 중요도와 기여도 평가, 월정사 보존지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를 보면 월정사 보존지의 경관은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자연과 조화되고 있으며, 방문객들은 월정사 보존지의 다양한 가치들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복합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등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등재되면 다양한 가치를 중심으로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종교가치를 향상시키고 다른 가치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월정사가 보존지 관리에 동등한 파트너로서 참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종교유산으로서 월정사의 장소성과 정체성에 부합되는 문화경관이 유지되도록 경관적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근래에는 문화유산을 면(面)적 관점에서 관리하고 유산의 가치를 보존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사찰은 살아있는 종교유산으로서 생태가 양호한 산림과 문화자원이 있으며 독특...

      근래에는 문화유산을 면(面)적 관점에서 관리하고 유산의 가치를 보존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사찰은 살아있는 종교유산으로서 생태가 양호한 산림과 문화자원이 있으며 독특한 문화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전통사찰을 바람직하게관리하기 위해서는 종교, 문화, 자연자원으로부터 창출되는 다양한 가치를 도출하고 가치중심 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찰보존지의 가치중심 관리모델과 가치평가 지표를 소개하고, 월정사 보존지에 대한 경관가치 평가와 일반인의 가치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 보존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관가치 평가는 공간구성 및 진입체계, 진입경관, 문화경관, 하천경관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방문객581명을 대상으로 12가지 가치에 대한 중요도 평가, 오대산 국립공원에서 월정사 보존지가 차지하는 중요도와 기여도 평가, 월정사 보존지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를 보면 월정사 보존지의 경관은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자연과 조화되고 있으며, 방문객들은 월정사 보존지의 다양한 가치들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복합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등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등재되면 다양한 가치를 중심으로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종교가치를 향상시키고 다른 가치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월정사가 보존지 관리에 동등한 파트너로서 참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종교유산으로서 월정사의 장소성과 정체성에 부합되는 문화경관이 유지되도록 경관적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메이주오, "중국 오대산 문화경관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2019

      2 이영경, "전통사찰 보존지의 가치 및 평가지표 도출 - 심층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쌍체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35 (35): 14-28, 2017

      3 이영경, "전통 사찰의 이용 및 보전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 설악산 신흥사와 가야산 해인사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4 (34): 84-99, 2006

      4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문화재청 2018

      5 정주연, "문화경관으로 등재된 세계유산의 비교 - 아시아 논농사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6 (26): 87-106, 2016

      6 이영경, "국립공원내 전통사찰의 자원 가치 평가" 20 (20): 37-45, 2002

      7 이영경, "국립공원 내 공원문화유산지구의 공익적 가치평가 연구 보고서" 국립공원 관리공단 2015

      8 이영경, "공원문화유산지구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2017

      9 UNESCO,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A Handbook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World heritage convention 2009

      10 Clark, K., "Values-Based heritage management and the heritage lottery fund in the UK" 45 : 2-3, 2014

      1 장메이주오, "중국 오대산 문화경관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2019

      2 이영경, "전통사찰 보존지의 가치 및 평가지표 도출 - 심층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쌍체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35 (35): 14-28, 2017

      3 이영경, "전통 사찰의 이용 및 보전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 설악산 신흥사와 가야산 해인사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4 (34): 84-99, 2006

      4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문화재청 2018

      5 정주연, "문화경관으로 등재된 세계유산의 비교 - 아시아 논농사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6 (26): 87-106, 2016

      6 이영경, "국립공원내 전통사찰의 자원 가치 평가" 20 (20): 37-45, 2002

      7 이영경, "국립공원 내 공원문화유산지구의 공익적 가치평가 연구 보고서" 국립공원 관리공단 2015

      8 이영경, "공원문화유산지구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2017

      9 UNESCO,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A Handbook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World heritage convention 2009

      10 Clark, K., "Values-Based heritage management and the heritage lottery fund in the UK" 45 : 2-3, 2014

      11 Lipe, "Values and meaning in cultural resources in C Henry(ed) Approaches to the Archaeological Heritage: a Comparative Study of World Cultural Resource Management Systems" Cambridge Univeriy Press 1-11, 1984

      12 Avrami, E. Mason, R., "Values and Heritage Conservatio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2000

      13 Jokilehto, J, "The World Heritage List: Filling the gaps-An action plan for the future"

      14 English Heritage, "Sustaining the Historic Environment : New Perspectives on the Future Heritage Discussion Document" English Heritage 1997

      15 ICOMOS, "Quebec declaration on the preservation of the spirit of place"

      16 Kyiv Statement, "Kyiv Statement on Protection of Religious Properti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17 ICOMOS, "Filling the action plan for the future" Conseil International des Monuments et des Sites 2004

      18 Parks Canada, "Cultural Resource Management Policy"

      19 Rossler, "Cultural Landscapes: the Challenges of Conservation" 10-15, 2002

      20 Tamma, M, "Cultural Heritage" Scenarios 2017

      21 English, Heritage., "Conservation principles, policies and guidance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historic environment" English Heritage 2008

      22 Stovel, H, "Conservation of Living Religious Heritages" 2005

      23 Burra, Charter, "Burra Charter Archival Docum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74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