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 척도개발 = Development of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Prio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8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priorities by modifying Oh's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life-styles(Oh, 2013)” to be utilized easier and more applicatively i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24 items were drawn from Oh's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life-styles” and “Allen’s Assessing the Adlerian Personality Priorities(Allen, 2005)”, what is more, Schoenaker’s theoretical descriptions of Adlerian personality priorities(Schoenaker, 2011). 5 elementary teachers, who were specialized in counseling psychology, discussed and agreed whether each item was in accord with the Adlerian concepts of personality priorities and 30 elementary students were asked whether these items were be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 The subjects were 418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inally 16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were classified by 4 factors: comfort, pleasing, self-control, and outdoing.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in the scales was deemed appropriate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GFI=.915, TLI=.875, CFI=.905, RMSEA=.062). The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concurrent validity with Oh(2013)'s “Life-Style Scales” and Kim & kim(2003)’s “K-PPS”.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each concurrent validity of the aforementioned scales was acceptable and valid(Oh(2013)'s concurrent validity=.45~.75, K-PPS(2003)'s concurrent validity=.35~.57). Also, studies were found to be reliable(Cronbach α=.70~.71, test-retest reliability=.70~.77). Therefore, this study's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priorities were valid and reliabl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priorities by modifying Oh's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life-styles(Oh, 2013)” to be utilized easier and more applicatively in elementary s...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priorities by modifying Oh's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life-styles(Oh, 2013)” to be utilized easier and more applicatively i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24 items were drawn from Oh's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life-styles” and “Allen’s Assessing the Adlerian Personality Priorities(Allen, 2005)”, what is more, Schoenaker’s theoretical descriptions of Adlerian personality priorities(Schoenaker, 2011). 5 elementary teachers, who were specialized in counseling psychology, discussed and agreed whether each item was in accord with the Adlerian concepts of personality priorities and 30 elementary students were asked whether these items were be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 The subjects were 418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inally 16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were classified by 4 factors: comfort, pleasing, self-control, and outdoing.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in the scales was deemed appropriate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GFI=.915, TLI=.875, CFI=.905, RMSEA=.062). The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concurrent validity with Oh(2013)'s “Life-Style Scales” and Kim & kim(2003)’s “K-PPS”.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each concurrent validity of the aforementioned scales was acceptable and valid(Oh(2013)'s concurrent validity=.45~.75, K-PPS(2003)'s concurrent validity=.35~.57). Also, studies were found to be reliable(Cronbach α=.70~.71, test-retest reliability=.70~.77). Therefore, this study's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priorities were valid and relia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를 보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보다 간편하게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뿐만 아니라 Allen(2005)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 Schoenaker(2011)의 이론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24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담심리를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 5명이 각 문항들이 성격우선순위 개념과 초등학생 수준에 적합한 지에 대해 합의하였고, 초등학생 30명에게 문항을 이해했는지 개별 면담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418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16개의 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은 편안함, 기쁘게하기, 자기통제, 뛰어나기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한 척도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GFI=.915, TLI=.875, CFI=.905, RMSEA=.062).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 및 김난예ㆍ김춘경(2003)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내적일관성,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와의 공인타당도 계수는 .45~.75, 김난예ㆍ김춘경(2003)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의 공인타당도 계수는 .35~.57이었고, 문항내적일관성지수(α)는 .70~ .71,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0~.77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를 보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보다 간편하게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익수(2013...

      본 연구는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를 보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보다 간편하게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뿐만 아니라 Allen(2005)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 Schoenaker(2011)의 이론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24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담심리를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 5명이 각 문항들이 성격우선순위 개념과 초등학생 수준에 적합한 지에 대해 합의하였고, 초등학생 30명에게 문항을 이해했는지 개별 면담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418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16개의 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은 편안함, 기쁘게하기, 자기통제, 뛰어나기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한 척도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GFI=.915, TLI=.875, CFI=.905, RMSEA=.062).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 및 김난예ㆍ김춘경(2003)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내적일관성,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와의 공인타당도 계수는 .45~.75, 김난예ㆍ김춘경(2003)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의 공인타당도 계수는 .35~.57이었고, 문항내적일관성지수(α)는 .70~ .71,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0~.77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익수, "초등학생 생활양식 평가 척도개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2 (12): 289-303, 2013

      2 정민,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7 (7): 1023-1038, 2006

      3 김난예, "성격 우선순위검사(K-PPS)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4 (4): 615-629, 2003

      4 정민, "사회적 관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2571-2583, 2013

      5 Ashby, J. S.,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priorities and affect, depression self-efficacy, and fear of intimacy" 56 (56): 172-183, 2000

      6 Pew, W., "The number-one priority. Paper presented at Munich"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Individual Psychology 1976

      7 Kefir, N, "Priorities: A different approach to lifestyle and neurosis" 1971

      8 Brown, J. K.,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personality priorities: A guide for counselors" B & F Associates 1976

      9 Langenfeld, S. D., "Personality priorities: A factor analytic study" University of Dakota 1981

      10 Langenfeld, S. D., "Personality priorities: A factor analytic study" 39 : 40-51, 1983

      1 오익수, "초등학생 생활양식 평가 척도개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2 (12): 289-303, 2013

      2 정민,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7 (7): 1023-1038, 2006

      3 김난예, "성격 우선순위검사(K-PPS)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4 (4): 615-629, 2003

      4 정민, "사회적 관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2571-2583, 2013

      5 Ashby, J. S.,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priorities and affect, depression self-efficacy, and fear of intimacy" 56 (56): 172-183, 2000

      6 Pew, W., "The number-one priority. Paper presented at Munich"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Individual Psychology 1976

      7 Kefir, N, "Priorities: A different approach to lifestyle and neurosis" 1971

      8 Brown, J. K.,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personality priorities: A guide for counselors" B & F Associates 1976

      9 Langenfeld, S. D., "Personality priorities: A factor analytic study" University of Dakota 1981

      10 Langenfeld, S. D., "Personality priorities: A factor analytic study" 39 : 40-51, 1983

      11 Schoenaker, T., "Encouragement makes good things happen" Routledge 2011

      12 Kefir, N., "Dispositional sets : A contribution to typology" 30 (30): 163-178, 1974

      13 Dinkmeyer, D.,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 integrated, individual psychology approach" Prentice-Hall 2000

      14 Allen, E. G., "Assessing the Adlerian personality priorities: A formal instrument for therapeutic practice" University of North Texas 2005

      15 Lundin, R. W., "Alfred Adler’s basic concepts and implication" Accelerated Development 1989

      16 Ashby, J. S., "Adlerian personality priorities : Psychological and attitudinal differences" 76 : 467-474, 1998

      17 Sweeney, T. J., "Adleria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outledge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