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운전분노에 대한 운전확신과 감각추구 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운전자의 연령대별 비교 = Interactive Effects of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on Driving Anger: Focused on Driver’s Age-Related Diffe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확신 수준과 감각추구 성향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면접방식에 기초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방법, 그리고 변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운전분노 수준이 높았고, 감각추구 성향과 운전분노 수준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반면 연령과 운전경력은 운전분노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운전확신 수준이 운전자의 연령대에 따라 운전분노 수준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쳐 40대 이상의 운전자 집단에서는 운전확신이 높을수록 운전분노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20-30대 운전자 집단에서는 운전확신 수준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셋째, 이와는 대조적으로 운전자의 감각추구 성향은 운전자의 연령대와 상관없이 운전자의 분노수준이 강한 예측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운전자의 연령대와 운전확신 수준, 그리고 감각추구 성향을 모두 고려하여 운전분노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20-39세 연령층과 6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운전확신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감각추구 성향에서의 차이가 운전분노의 차이에 반영되었지만, 40-59세 연령층의 운전자들에게서는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은 대신 운전확신 수준과 감각추구 성향이 가산적으로 운전분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확신 수준과 감각추구 성향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면접방식에 기초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확신 수준과 감각추구 성향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면접방식에 기초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방법, 그리고 변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운전분노 수준이 높았고, 감각추구 성향과 운전분노 수준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반면 연령과 운전경력은 운전분노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운전확신 수준이 운전자의 연령대에 따라 운전분노 수준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쳐 40대 이상의 운전자 집단에서는 운전확신이 높을수록 운전분노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20-30대 운전자 집단에서는 운전확신 수준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셋째, 이와는 대조적으로 운전자의 감각추구 성향은 운전자의 연령대와 상관없이 운전자의 분노수준이 강한 예측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운전자의 연령대와 운전확신 수준, 그리고 감각추구 성향을 모두 고려하여 운전분노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20-39세 연령층과 6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운전확신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감각추구 성향에서의 차이가 운전분노의 차이에 반영되었지만, 40-59세 연령층의 운전자들에게서는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은 대신 운전확신 수준과 감각추구 성향이 가산적으로 운전분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interactive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on driving anger among different age groups,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ANOVAs for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dministrated in a form of face-to-face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males tended to show higher level in driving anger than females. Second, whereas sensation-seek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riving anger, age and driving exper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ving anger, respectively. Thir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anger among the drivers aged under 40 years, the drivers aged over 40 years showed higher level of driving anger as their driving confidence increased. Forth, level of sensation-seeking wa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driving anger in all age groups. Fifth,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appeared to affect the level of driving anger interactively among drivers aged under 40 years or over 65 years, resulting in higher driving anger only when both the levels of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were high. In contrast,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affected driving anger independently among the drivers aged 30-49 years. Implication and sugges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interactive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on driving anger among different age groups,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ANOVAs for the data 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interactive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on driving anger among different age groups,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ANOVAs for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dministrated in a form of face-to-face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males tended to show higher level in driving anger than females. Second, whereas sensation-seek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riving anger, age and driving exper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ving anger, respectively. Thir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anger among the drivers aged under 40 years, the drivers aged over 40 years showed higher level of driving anger as their driving confidence increased. Forth, level of sensation-seeking wa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driving anger in all age groups. Fifth,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appeared to affect the level of driving anger interactively among drivers aged under 40 years or over 65 years, resulting in higher driving anger only when both the levels of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were high. In contrast,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affected driving anger independently among the drivers aged 30-49 years. Implication and sugges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혜, "특성분노와 의도-모호성이 타인비난과 운전분노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713-728, 2004

      2 박윤창, "자극추구동기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2 (2): 53-64, 1995

      3 이순열, "운전확신수준의 변화가 연령별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23-47, 2006

      4 오주석,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구성과 위험운전행동과의 관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7 (17): 175-197, 2011

      5 신용균, "운전분노척도에 의한 과속운전 행동의 예측"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59-173, 2009

      6 성우일, "시간압력 스트레스와 유도된 분노가 운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운전 시뮬레이션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547-563, 2009

      7 이순철,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의 관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81-102, 2006

      8 Hole, G. J., "The psychology of driving" Lawrence Erlbaum 2007

      9 Ellison-Potter, P., "The effects of trait driving anger, anonymity and aggressive stimuli on aggressive driving behaviour" 2 : 431-443, 2001

      10 Job, S. R. F., "The application of learning theory to driving confidence : The effect of age and the impact of random breath testing" 22 : 97-107, 1990

      1 윤지혜, "특성분노와 의도-모호성이 타인비난과 운전분노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713-728, 2004

      2 박윤창, "자극추구동기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2 (2): 53-64, 1995

      3 이순열, "운전확신수준의 변화가 연령별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23-47, 2006

      4 오주석,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구성과 위험운전행동과의 관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7 (17): 175-197, 2011

      5 신용균, "운전분노척도에 의한 과속운전 행동의 예측"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59-173, 2009

      6 성우일, "시간압력 스트레스와 유도된 분노가 운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운전 시뮬레이션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547-563, 2009

      7 이순철,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의 관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81-102, 2006

      8 Hole, G. J., "The psychology of driving" Lawrence Erlbaum 2007

      9 Ellison-Potter, P., "The effects of trait driving anger, anonymity and aggressive stimuli on aggressive driving behaviour" 2 : 431-443, 2001

      10 Job, S. R. F., "The application of learning theory to driving confidence : The effect of age and the impact of random breath testing" 22 : 97-107, 1990

      11 Dahlen, E. R., "The Big Five factors, sensation seeking, and driving anger in the prediction of unsafe driving" 41 : 903-915, 2006

      12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13 Arnett, J. J., "Sensation seeking, aggressiveness, and adolescent reckless behavior" 20 (20): 693-702, 1996

      14 Zuckerman, M., "Sensation seeking in England and America : Cross-cultural, age, and sex comparisons" 46 : 139-149, 1978

      15 Jonah, B. A., "Sensation seeking and risky driving :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29 : 651-665, 1997

      16 Brown, I. D., "Risk perception and decision taking during the transition between novice and experienced drivers status" 31 : 585-597, 1988

      17 Arnett, J. J., "Reckless driving in adolescence: ‘state’ and ‘trait’ factors" 29 : 57-63, 1997

      18 Iversen, H., "Personality, risky driving and accident involvement among Norwegian drivers" 33 : 1251-1263, 2002

      19 Hoyle, R. H., "Personality processes and problem behaviors" 68 : 953-966, 2000

      20 Trimpop, R., "Personality predictors of driving accidents" 23 : 147-152, 1997

      21 Forsyth, G., "Personality and situation as determinants of desire to drink in young adults" 22 (22): 653-669, 1987

      22 Rimmö, P-A., "On the distinction between violations and errors : sensation seeking associations" 2 : 151-166, 1999

      23 Ranney, T. A., "Models of driving behavior : a review of their evolution" 26 : 733-750, 1994

      24 DePasquale, J. P., "Measuring road rage : development of the propensity for angry driving scale" 32 : 1-16, 2001

      25 Gidron, Y., "Internal locus of control moderates the effects of road-hostility on recalled driving behavior" 6 : 109-116, 2003

      26 Maxwell, J. P., "Further validation of the propensity for angry driving scale in British drivers" 38 : 213-224, 2005

      27 Miller, G., "Driving styles among young novice drivers-The contribution of parental driving styl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42 : 558-570, 2010

      28 Dahlen, E. R., "Driving anger, sensation seeking, impulsiveness, and boredom proneness in the prediction of unsafe driving" 37 : 341-348, 2005

      29 Deffenbacher, J. L., "Driving anger : correlates and a test of state-trait theory" 31 : 1321-1331, 2001

      30 Horswill, M. S., "Drivers’ ratings of different components of their own driving skill : a greater illusion of superiority for skills that relate to accident involvement" 34 (34): 177-195, 2004

      31 Katila, A., "Does increased confidence among novice drivers imply a decrease in safety? The effects of skid training on slippery road accidents" 36 : 543-550, 2004

      32 Deffenbacher, J. L., "Development of a driving anger scale" 74 : 83-91, 1994

      33 Dula, C. 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easure of dangerous, aggressive, negative emotional, and risky driving" 33 (33): 263-282, 2003

      34 Marottoli,R. A., "Confidence in, and self-rating of, driving ability among older drivers" 30 : 331-336, 1998

      35 Hakamies-Blomqvist, L., "Cohort effects in older drivers' accident type distribution: are older drivers as old as they used to be?" 131-138, 1999

      36 Deffenbacher, J. L.,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of angry drivers" 50 : 123-132, 2003

      37 Deffenbacher, J. 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high-anger drivers" 47 : 5-17, 2000

      38 Zuckerman, M., "Behavioral expressions and biosoci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9 Groeger, J. A., "Assessing one’s own and others’ driving ability : influences of sex, age, and experience" 21 (21): 155-168, 1989

      40 Svenson, O., "Are we all less risky and more skillful than our fellow drivers?" 47 (47): 143-148, 1981

      41 Lajunen, T., "Are aggressive people aggressive driver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general aggressiveness, driver anger and aggressive driving" 33 : 243-255, 2001

      42 Underwood, G., "Anger while driving" 2 : 55-68, 1999

      43 American Automobile Association, "Aggressive driving: Three studies" American Automobile Association Foundation for Traffic Safety 1997

      44 Neighbors, C., "A motivational model of driving anger and aggression" 28 : 324-335, 2002

      45 Palamara, P G.,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speeding offences among young motor car drivers" Injury Research Center: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