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운전행동 결정요인을 이용한 위험운전자의 판별 = Discriminating Risky Drivers Using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 of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such as drivers’ personality and attitude that may induce risky driving behavior and to develop a valid method for discriminating risky drivers using the determinants. In the results of surveying 534 adult drivers, 5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avoidance of problems, benefit/stimulus seeking, interpersonal anxiety, interpersonal anger, and aggress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rivers’ various risky driving behaviors. Using these factors, drivers were grouped according to risk levels (normal drivers, unintentionally risky drivers, and intentionally risky drivers). This result suggests that drivers’ dangerous behavior level can be predicted using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heir personality and attitude. Accordingly, if the driving behavior determinant model and the base score system used in this study are improved through further research, the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edicting drivers’ recklessness in advance, identifying problems, and providing differentiated safe driving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 of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such as drivers’ personality and attitude that may induce risky driving behavior and to develop a valid method for discriminating risky drivers using the determ...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 of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such as drivers’ personality and attitude that may induce risky driving behavior and to develop a valid method for discriminating risky drivers using the determinants. In the results of surveying 534 adult drivers, 5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avoidance of problems, benefit/stimulus seeking, interpersonal anxiety, interpersonal anger, and aggress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rivers’ various risky driving behaviors. Using these factors, drivers were grouped according to risk levels (normal drivers, unintentionally risky drivers, and intentionally risky drivers). This result suggests that drivers’ dangerous behavior level can be predicted using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heir personality and attitude. Accordingly, if the driving behavior determinant model and the base score system used in this study are improved through further research, the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edicting drivers’ recklessness in advance, identifying problems, and providing differentiated safe driving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위험한 운전행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요인, 즉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이들 요인을 통해 위험운전자를 판별해낼 수 있는 타당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성인 운전자 5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섯 가지의 운전행동 결정요인들(문제회피성향, 이익/자극 추구, 대인불안, 대인분노, 공격성)은 운전자의 다양한 위험운전행동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요인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을 위험도에 따라 별개의 집단(일반운전자, 비의도적 위험운전자, 의도적 위험운전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와 같은 심리적 요인들을 통해 운전자의 위험행동 수준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룬 운전행동 결정요인 모델과 그 기준 점수 체계를 보완한다면, 운전자의 위험성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차별적 안전운전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위험한 운전행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요인, 즉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이들 요인을 통해 위험운전자를 판별해낼 수 있는 타당한 방법을 개발하...

      본 연구는 위험한 운전행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요인, 즉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이들 요인을 통해 위험운전자를 판별해낼 수 있는 타당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성인 운전자 5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섯 가지의 운전행동 결정요인들(문제회피성향, 이익/자극 추구, 대인불안, 대인분노, 공격성)은 운전자의 다양한 위험운전행동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요인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을 위험도에 따라 별개의 집단(일반운전자, 비의도적 위험운전자, 의도적 위험운전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와 같은 심리적 요인들을 통해 운전자의 위험행동 수준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룬 운전행동 결정요인 모델과 그 기준 점수 체계를 보완한다면, 운전자의 위험성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차별적 안전운전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혜수, "차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행동 연구 (운전분노 및 교통정체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3 (23): 1-13, 2005

      2 도로교통안전협회, "자동차 운전적성검사 개선을 위한 검사지 개발 연구" 도로교통안전협회 1998

      3 최문희, "음주운전 수강명령 교육 대상자들의 MMPI 프로파일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455-470, 2004

      4 이순철, "운전행동결정요인이 위험운전, 주의행동 및 피로대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395-414, 2007

      5 김종회, "운전행동결정요인이 위반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9 (19): 349-369, 2006

      6 이순철, "운전행동결정요인과 직무만족이 택시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2 (22): 71-86, 2009

      7 오주석,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구성과 위험운전행동과의 관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7 (17): 175-197, 2011

      8 박정희, "운전자 변인에 따른 사고경향성 분석" 3 : 143-157, 1997

      9 채규만, "성격, 인지, 사회적 환경 및 음주행동과 음주운전간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763-789, 2002

      10 오주석,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 특성이 위험행동 및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연구" 대한교통학회 25 (25): 95-105, 2007

      1 송혜수, "차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행동 연구 (운전분노 및 교통정체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3 (23): 1-13, 2005

      2 도로교통안전협회, "자동차 운전적성검사 개선을 위한 검사지 개발 연구" 도로교통안전협회 1998

      3 최문희, "음주운전 수강명령 교육 대상자들의 MMPI 프로파일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455-470, 2004

      4 이순철, "운전행동결정요인이 위험운전, 주의행동 및 피로대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395-414, 2007

      5 김종회, "운전행동결정요인이 위반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9 (19): 349-369, 2006

      6 이순철, "운전행동결정요인과 직무만족이 택시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2 (22): 71-86, 2009

      7 오주석,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구성과 위험운전행동과의 관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7 (17): 175-197, 2011

      8 박정희, "운전자 변인에 따른 사고경향성 분석" 3 : 143-157, 1997

      9 채규만, "성격, 인지, 사회적 환경 및 음주행동과 음주운전간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763-789, 2002

      10 오주석,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 특성이 위험행동 및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연구" 대한교통학회 25 (25): 95-105, 2007

      11 이순철, "교통심리학" 학지사 2000

      12 이순철,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의 관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81-102, 2006

      13 이순철, "The Effects of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on Dangerous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 A path analysis study"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631-2644, 2007

      14 Vingilis, 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cohol-involved and nonalcohol-involved seriously injured drivers" 26 : 195-206, 1994

      15 Iversen, H., "Personality, risky driving and accident involvement among Norwegian drivers" 33 : 1251-1263, 2002

      16 Ulleberg, P., "Personality,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as predictors of risky driving behaviour among young drivers" 41 : 427-443, 2003

      17 Parker, D., "Behavioural characteristics and involvement in different types of traffic accidents" 27 : 571-581,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