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스티븐 차르녹(Stephen Charnock, 1628-1680)의 신적 전능과 주권에 대한 이해 ―지성사(intellectual history)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1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octrine of divine power and sovereignty is the important subject as the core of the Reformed theology since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it has been the theological subject especially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voluntas Dei.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y and late medieval thought in their ideas of the power and sovereignty of God in its intellectual context. This study would also help to understand Calvin's idea of the sovereignty and the power of God more enrichingly. Especially we have see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ir works, that William Perkins and Stephen Charnock, the two representative figures of later Reformed theology after Calvin, had firmly inherited the trinitarian doctrine of God and soteriology based upon the Calvinistic tradition.
      Charnock and Perkins were also the two great theologians of the English Puritanism. They substantiated the Puritan doctrine of God in terms of the theology and piety, theory and practice, and the divine sovereignty and human responsibility in order to defend the Triunity of God and the divine simplicity, which are the crucial foundation of traditional orthodox theology. The knowledge of God was the key subject in this effort. The content of the Reformed doctrine of God from Perkins to Charnock was de facto the continuous one. Nevertheless, Charnock's idea of the sovereignty and power of God was the result of the pursuit of more solid trinitarian or covenantal theological system, regardless of the formal or structural development due to the change of the historical or intellectual context.
      번역하기

      The doctrine of divine power and sovereignty is the important subject as the core of the Reformed theology since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it has been the theological subject especially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volunt...

      The doctrine of divine power and sovereignty is the important subject as the core of the Reformed theology since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it has been the theological subject especially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voluntas Dei.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y and late medieval thought in their ideas of the power and sovereignty of God in its intellectual context. This study would also help to understand Calvin's idea of the sovereignty and the power of God more enrichingly. Especially we have see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ir works, that William Perkins and Stephen Charnock, the two representative figures of later Reformed theology after Calvin, had firmly inherited the trinitarian doctrine of God and soteriology based upon the Calvinistic tradition.
      Charnock and Perkins were also the two great theologians of the English Puritanism. They substantiated the Puritan doctrine of God in terms of the theology and piety, theory and practice, and the divine sovereignty and human responsibility in order to defend the Triunity of God and the divine simplicity, which are the crucial foundation of traditional orthodox theology. The knowledge of God was the key subject in this effort. The content of the Reformed doctrine of God from Perkins to Charnock was de facto the continuous one. Nevertheless, Charnock's idea of the sovereignty and power of God was the result of the pursuit of more solid trinitarian or covenantal theological system, regardless of the formal or structural development due to the change of the historical or intellectual contex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는 종교개혁전통, 특히 개혁주의 전통에 있어 핵심적 표어로 제시되고 있는 커다란 주제이자 사상적 틀이다. 이는 하나님의 뜻 혹은 의지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석과 맞물려 교리사적으로 그동안 논의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 신학과 중세 혹은 중세후기적 연관성 및 칼빈 이후의 개혁파 정통주의의 견해를 함께 파악해보는 것이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정통신학의 계승과 연속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종교개혁자 칼빈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는 하나님의 주권교리의 의미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보다 풍성한 논의에도 유익을 줄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자 했다. 특히 칼빈 이후 개혁주의전통의 삼위일체적 신론 및 구원론의 계승의 차원에서의 대표적 인물인 초기 정통주의의 윌리엄 퍼킨스와 전성기 정통주의의 스티븐 차르녹의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를 살펴봄을 통해 우리는 이를 확인했다.
      아울러 차르녹과 퍼킨스는 영국 청교도 전통 하에서 신론을 정립한 대표적 인물들로서도 신학과 경건 및 이론과 실천, 하나님의 주권 및 능력과 인간의 책임을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단순성 교리라는 양보할 수 없는 정통신학의 전제 하에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라는 통합적 주제로서 성공적으로 변호했음을 보았다. 한편 하나님의 전능과 주권론에 있어 퍼킨스에서 차르녹의 발전과 변천에 있어서는 역사적 맥락의 변화로 인한 논의 구조의 세밀화와 복잡화 및 확대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개혁주의 신론의 내용상 본질은 변함이 없었으며, 특히 차르녹의 하나님의 전능 및 주권론, 즉 나아가 그의 하나님의 속성에 관한 논의는 초기 정통신학에서 후기 정통주의기 신학으로 나아가는 신학 장르적 발전이자 내용적 풍성함을 더욱 보여주는 대표적 증거였다. 아울러 이는 중세후기 신학 및 종교개혁의 개혁주의전통을 주로 연속선상에서 목회적 및 경건의 실제적 유익을 위해 총괄적으로 결합시킨 개혁주의 신학의 절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번역하기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는 종교개혁전통, 특히 개혁주의 전통에 있어 핵심적 표어로 제시되고 있는 커다란 주제이자 사상적 틀이다. 이는 하나님의 뜻 혹은 의지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석...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는 종교개혁전통, 특히 개혁주의 전통에 있어 핵심적 표어로 제시되고 있는 커다란 주제이자 사상적 틀이다. 이는 하나님의 뜻 혹은 의지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석과 맞물려 교리사적으로 그동안 논의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 신학과 중세 혹은 중세후기적 연관성 및 칼빈 이후의 개혁파 정통주의의 견해를 함께 파악해보는 것이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정통신학의 계승과 연속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종교개혁자 칼빈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는 하나님의 주권교리의 의미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보다 풍성한 논의에도 유익을 줄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자 했다. 특히 칼빈 이후 개혁주의전통의 삼위일체적 신론 및 구원론의 계승의 차원에서의 대표적 인물인 초기 정통주의의 윌리엄 퍼킨스와 전성기 정통주의의 스티븐 차르녹의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를 살펴봄을 통해 우리는 이를 확인했다.
      아울러 차르녹과 퍼킨스는 영국 청교도 전통 하에서 신론을 정립한 대표적 인물들로서도 신학과 경건 및 이론과 실천, 하나님의 주권 및 능력과 인간의 책임을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단순성 교리라는 양보할 수 없는 정통신학의 전제 하에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라는 통합적 주제로서 성공적으로 변호했음을 보았다. 한편 하나님의 전능과 주권론에 있어 퍼킨스에서 차르녹의 발전과 변천에 있어서는 역사적 맥락의 변화로 인한 논의 구조의 세밀화와 복잡화 및 확대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개혁주의 신론의 내용상 본질은 변함이 없었으며, 특히 차르녹의 하나님의 전능 및 주권론, 즉 나아가 그의 하나님의 속성에 관한 논의는 초기 정통신학에서 후기 정통주의기 신학으로 나아가는 신학 장르적 발전이자 내용적 풍성함을 더욱 보여주는 대표적 증거였다. 아울러 이는 중세후기 신학 및 종교개혁의 개혁주의전통을 주로 연속선상에서 목회적 및 경건의 실제적 유익을 위해 총괄적으로 결합시킨 개혁주의 신학의 절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berman, Heiko, "Via Antiqua and Via Moderna: Late Medieval Prolegomena to Early Reformation Thought" (48) : 23-40, 1987

      2 Lee, Hansang, "Trinitarian Theology and Piety: The Attributes of God in the Thought of Stephen Charnock (1628-1680) and William Perkins(1558-1602)" University of Edinburgh 2009

      3 Leigh, Edward, "Treatise of Divinity" London 1646

      4 Charnock, Stephen, "The Works of the late learned Divine Stephen Charnock. 2 Vols" 1684

      5 Perkins, William, "The Workes of William Perkins. 3 Vols" 1612

      6 Brodie, Alexander, "The Shadow of Scotus: Philosophy and Faith in Pre-Reformation Scotland" T & T Clark 1995

      7 Miller, Perry, "The New England Mind: Seventeenth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54

      8 Ames, William, "The Marrow of Theology" Labyrinth Press 1983

      9 Oberman, Heiko, "The Harvest of Medieval The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1963

      10 Van Asselt, Willem, "The Federal Theology of Johannes Cocceius" Brill 2001

      1 Oberman, Heiko, "Via Antiqua and Via Moderna: Late Medieval Prolegomena to Early Reformation Thought" (48) : 23-40, 1987

      2 Lee, Hansang, "Trinitarian Theology and Piety: The Attributes of God in the Thought of Stephen Charnock (1628-1680) and William Perkins(1558-1602)" University of Edinburgh 2009

      3 Leigh, Edward, "Treatise of Divinity" London 1646

      4 Charnock, Stephen, "The Works of the late learned Divine Stephen Charnock. 2 Vols" 1684

      5 Perkins, William, "The Workes of William Perkins. 3 Vols" 1612

      6 Brodie, Alexander, "The Shadow of Scotus: Philosophy and Faith in Pre-Reformation Scotland" T & T Clark 1995

      7 Miller, Perry, "The New England Mind: Seventeenth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54

      8 Ames, William, "The Marrow of Theology" Labyrinth Press 1983

      9 Oberman, Heiko, "The Harvest of Medieval The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1963

      10 Van Asselt, Willem, "The Federal Theology of Johannes Cocceius" Brill 2001

      11 Oberman, Heiko, "The Dawn of the Reformation" T & T Clark 1986

      12 Charnock, Stephen, "The Complete Works of Stephen Charnock, 5 Vols" Sovereign Grace Publishers 1864-1865, 2001

      13 Oakley, F, "The Absolute and Ordained Power of God in Sixteenth and Seventeenth-century Theology" 59 (59): 437-61, 1998

      14 Oberman, Heiko, "Some Notes on the Theology of Nominalism: with Attention to its Relation to the Renaissance" (53) : 47-76, 1960

      15 Charnock, Stephen, "Several Discourses upon the Existence and Attributes of God" 1682

      16 Heppe, Heinrich, "Reformed Dogmatics" George Allen & Unwin 1950

      17 Muller, Richard,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in: Vol. III: The Divine Essence and Attributes" Baker Academic 2003

      18 Courtenay, William, "Nominalism and Late Medieval Religion. in: The Pursuit of Holiness in Late Medieval and Renaissance Religion" E.J. Brill 26-59, 1974

      19 Steinmetz, David, "Misercordia Dei: The Theology of Johannes Von Staupitz in its Late Medieval Setting" Brill 1968

      20 Oberman, Heiko, "Iustitia Christi’ and Iustitia Dei : Luther and the Scholastic Doctrines of Justification" (59) : 1-26, 1966

      21 Turretin, Francis,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P & R 3 : 1992

      22 Muller, Richard, "God, Predestination, and the Integrity of the Created Order: A Note on Patterns in Arminius’ Theology. in: Later Calvinism" Sixteenth Century Journal Publishers 431-446, 1994

      23 Muller,Richard, "God, Creation, and Providence in the Thought of Jacob Arminius" Baker Academic 1993

      24 Schreiner, Susan, "Exegesis and Double Justice in Calvin's Sermons on Job" 58 (58): 322-338, 1989

      25 Cross,Richard, "Duns Scotu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6 Muller, Richard, "Dictionary of Latin and Greek Theological Terms" Baker Book 1985

      27 Muller, Richard, "Christ and the Decree: Christology and Predestination in Reformed Theology from Calvin to Perkins" Labyrinth Press 1988

      28 Steinmetz, David, "Calvin in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29 Trueman, Carl, "Calvin and Calvinism. in: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Edited by Donald McKi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5-244, 2004

      30 Owen, John, "A Display of Arminianism. in: The Works of John Owen" The Banner of Truth 16 : 19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Reformed Theology Societ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5 0.5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