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바울의 법정적인 칭의개념 - 종교개혁적 관점과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 = Paul's Concept of the Juridical Justification (in Comparison between Reformational Perspective and 'the New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1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is to clarify the juridical meaning of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truth of Christian faith by the theologians of Reformation tradition.
      Reformation theologians, whose representatives can be considered Luther and Calvin, understood justification in terms of the juristic category. According to their interpretation about Paul’s phrase “being justified”, the sinners were being declared righteous by God's grace before the tribunal of God even though they were still as sinners. For them, justification is not the real transformation of sinners which medieval theologians considered as the meaning of the justification, but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Rom. 4:5), namely regarding the sinners as the righteous on the ground of the substitutionary death of Christ. Also they were assured that the sinners declared to be righteous by faith could enter the eternal life at the final judgement only by the faith in Jesus Christ. For them, the issue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s not only the present redemption but also the future one. However, Sanders, who has begun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nsisted against Reformation theologians that Paul's concept of justifi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juristic category, but rather in terms of participatory category in which the unity of the believers with Christ is regarded as the key of divine salvation. Sanders suggested that justifi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juristic terms by appealing to the fact that ‘repentance’ and ‘forgiveness,’ the two key terms for juristic soteriology in Judaism do not appear in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Also he claimed that the issue of 'justification by faith' could not be on the salvation at the last judgement in the future, but on the entrance into the people of God at present.
      My thesis is that Paul's texts on the justification support the Reformational perspective which understood the justification in terms of juristic category. It is assured that 'to be justified(dikaiwqh/nai)' was used in juridical context in Rom. 1:18-5:21. Futhermore, it is evident in Rom. 5:9 that justification by faith at present was meant not only entrance into the immediate redemption and the guarantee of the salvation in the future as well, as Reformation theologians had understood it. So Sanders' thesis that justification is related only to present entrance into the people of God but not to last judgement appears to be unavailable. And it is obvious that when Paul said of the cross of Christ as the ground of justification, he thought it in juristic terms, for the term, 'to give up(paradoqh/nai)' which was used to refer to Christ's death should be understood as juristic concept. The fact that Paul thought of the cross in terms of juristic category invalidates Sanders' argument that Paul was supposed not to think justification in juristic terms, since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lacks a discussion of repentance and forgiveness. We can conclude that Reformational perspective which thought Paul's justification in juristic terms can reveal the real meaning of justification more appropriately than the new perspective which tried to remove the juristic meaning in Paul's soteriology.
      번역하기

      This essay is to clarify the juridical meaning of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truth of Christian faith by the theologians of Reformation tradition. Reformation th...

      This essay is to clarify the juridical meaning of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truth of Christian faith by the theologians of Reformation tradition.
      Reformation theologians, whose representatives can be considered Luther and Calvin, understood justification in terms of the juristic category. According to their interpretation about Paul’s phrase “being justified”, the sinners were being declared righteous by God's grace before the tribunal of God even though they were still as sinners. For them, justification is not the real transformation of sinners which medieval theologians considered as the meaning of the justification, but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Rom. 4:5), namely regarding the sinners as the righteous on the ground of the substitutionary death of Christ. Also they were assured that the sinners declared to be righteous by faith could enter the eternal life at the final judgement only by the faith in Jesus Christ. For them, the issue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s not only the present redemption but also the future one. However, Sanders, who has begun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nsisted against Reformation theologians that Paul's concept of justifi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juristic category, but rather in terms of participatory category in which the unity of the believers with Christ is regarded as the key of divine salvation. Sanders suggested that justifi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juristic terms by appealing to the fact that ‘repentance’ and ‘forgiveness,’ the two key terms for juristic soteriology in Judaism do not appear in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Also he claimed that the issue of 'justification by faith' could not be on the salvation at the last judgement in the future, but on the entrance into the people of God at present.
      My thesis is that Paul's texts on the justification support the Reformational perspective which understood the justification in terms of juristic category. It is assured that 'to be justified(dikaiwqh/nai)' was used in juridical context in Rom. 1:18-5:21. Futhermore, it is evident in Rom. 5:9 that justification by faith at present was meant not only entrance into the immediate redemption and the guarantee of the salvation in the future as well, as Reformation theologians had understood it. So Sanders' thesis that justification is related only to present entrance into the people of God but not to last judgement appears to be unavailable. And it is obvious that when Paul said of the cross of Christ as the ground of justification, he thought it in juristic terms, for the term, 'to give up(paradoqh/nai)' which was used to refer to Christ's death should be understood as juristic concept. The fact that Paul thought of the cross in terms of juristic category invalidates Sanders' argument that Paul was supposed not to think justification in juristic terms, since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lacks a discussion of repentance and forgiveness. We can conclude that Reformational perspective which thought Paul's justification in juristic terms can reveal the real meaning of justification more appropriately than the new perspective which tried to remove the juristic meaning in Paul's soteri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의도는 종교개혁자들에 의해서 기독교 신앙의 기본진리로 이해되어 온 ‘믿음에 의한 칭의’교리 중 칭의개념의 법정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루터와 칼빈으로 대표되는 종교개혁자들은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했다. 그들은 바울의 “믿음에 의한 칭의”를 죄인들이, 비록 여전히 죄인일지라도 하나님의 법정 앞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의롭다고 선언됨이라고 이해했다. 그들에게 칭의는 중세신학자들이 이해한 것처럼 죄인의 실제적인 변화가 아니라, ‘의의 전가’(롬 4:5), 즉 하나님이 죄인들을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에 근거하여 의인으로 간주하심이다. 또한 그들은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은 죄인들이 마지막 심판에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만으로 영원한 생명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들에게 칭의교리의 이슈는 단지 현재의 구속만이 아니라 미래적인 구속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시작한 샌더스는 종교개혁자들에 대항하여, 바울의 칭의개념은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신자들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하나님의 구원의 핵심이라고 간주하는 참여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칭의가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자신의 주장에 대한 결정적인 논거로 샌더스는 유대교의 법정적인 구원론에서 핵심적인 ‘회개’와 ‘용서’라는 용어가 바울의 칭의론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들었다. 또한 그는 ‘믿음에 의한 칭의’는 미래의 마지막 심판에 있어서의 구원에 관한 것이 아니라 현재 하나님의 백성 안으로 들어감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필자의 논지는 바울의 칭의에 관한 본문들이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에서 이해한 종교개혁적인 입장을 지지한다는 것이다. ‘의롭다 함을 얻음(dikaiwqh/nai)’은 롬 1:18-5:21에서 법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롬 5:9에서 현재적인 칭의는 단지 즉각적인 구원에로의 들어감만이 아니라 종교개혁자들이 주장한 대로 미래에 있어서의 구원의 보장도 의미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래서 칭의가 현재의 하나님의 백성 안으로 들어감과만 관련된다는 샌더스의 논제는 성립하기 어렵다. 그리고 바울이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칭의의 근거로 말할 때 그는 법정적인 견지에서 생각했음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칭의의 근거로서 그리스도의 죽음을 말하기 위해서 사용된 ‘내어줌(paradoqh/nai)’이란 용어(갈 2:20-21)는 법정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바울이 법정적인 범주로 십자가를 이해했다는 사실은 바울의 칭의교리가 회개나 용서라는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울은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로 생각했을 리가 없다는 샌더스의 주장을 결정적으로 무력화시킨다. 필자의 결론은 바울의 칭의교리를 법정적인 범주에서 생각한 종교개혁적인 관점이 바울의 구원론에서 법정적인 의미를 제거하려 한 새 관점보다 더 적절하게 칭의의 실제적인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의 의도는 종교개혁자들에 의해서 기독교 신앙의 기본진리로 이해되어 온 ‘믿음에 의한 칭의’교리 중 칭의개념의 법정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루터와 칼빈으로 대표되는 종교개혁...

      본고의 의도는 종교개혁자들에 의해서 기독교 신앙의 기본진리로 이해되어 온 ‘믿음에 의한 칭의’교리 중 칭의개념의 법정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루터와 칼빈으로 대표되는 종교개혁자들은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했다. 그들은 바울의 “믿음에 의한 칭의”를 죄인들이, 비록 여전히 죄인일지라도 하나님의 법정 앞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의롭다고 선언됨이라고 이해했다. 그들에게 칭의는 중세신학자들이 이해한 것처럼 죄인의 실제적인 변화가 아니라, ‘의의 전가’(롬 4:5), 즉 하나님이 죄인들을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에 근거하여 의인으로 간주하심이다. 또한 그들은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은 죄인들이 마지막 심판에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만으로 영원한 생명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들에게 칭의교리의 이슈는 단지 현재의 구속만이 아니라 미래적인 구속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시작한 샌더스는 종교개혁자들에 대항하여, 바울의 칭의개념은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신자들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하나님의 구원의 핵심이라고 간주하는 참여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칭의가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자신의 주장에 대한 결정적인 논거로 샌더스는 유대교의 법정적인 구원론에서 핵심적인 ‘회개’와 ‘용서’라는 용어가 바울의 칭의론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들었다. 또한 그는 ‘믿음에 의한 칭의’는 미래의 마지막 심판에 있어서의 구원에 관한 것이 아니라 현재 하나님의 백성 안으로 들어감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필자의 논지는 바울의 칭의에 관한 본문들이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에서 이해한 종교개혁적인 입장을 지지한다는 것이다. ‘의롭다 함을 얻음(dikaiwqh/nai)’은 롬 1:18-5:21에서 법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롬 5:9에서 현재적인 칭의는 단지 즉각적인 구원에로의 들어감만이 아니라 종교개혁자들이 주장한 대로 미래에 있어서의 구원의 보장도 의미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래서 칭의가 현재의 하나님의 백성 안으로 들어감과만 관련된다는 샌더스의 논제는 성립하기 어렵다. 그리고 바울이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칭의의 근거로 말할 때 그는 법정적인 견지에서 생각했음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칭의의 근거로서 그리스도의 죽음을 말하기 위해서 사용된 ‘내어줌(paradoqh/nai)’이란 용어(갈 2:20-21)는 법정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바울이 법정적인 범주로 십자가를 이해했다는 사실은 바울의 칭의교리가 회개나 용서라는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울은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로 생각했을 리가 없다는 샌더스의 주장을 결정적으로 무력화시킨다. 필자의 결론은 바울의 칭의교리를 법정적인 범주에서 생각한 종교개혁적인 관점이 바울의 구원론에서 법정적인 의미를 제거하려 한 새 관점보다 더 적절하게 칭의의 실제적인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한수, "언약신학에서 본 복음과 율법" 생명의말씀사 2007

      2 Chae, Issaac, "어거스틴의 칭의개념 연구(A study of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in Augustin of Hippo)" 13 : 295-326, 2002

      3 Ladd, G. E, "신약신학" 대한기독교출판사 1998

      4 이한수, "복음은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한수 교수의 로마서 주석" 이레서원 2008

      5 Kim, Seyoon, "바울신학과 새 관점: 바울 복음의 기원에 대한 재고" 두란노서원 2006

      6 Sanders, E. P, "the Law, and the Jewish People" Fortress Press 1983

      7 Dunn, James, "The Theology of Paul the Apostle" Eerdmans 1998

      8 Kim,Seyoon, "The Origin of Paul`s Gospel" Edrdmans 1981

      9 Dunn, James, "The New perspective on Paul" Erdmans 2008

      10 Piper, John, "The Future of Justification: A Response to N. T. Wright" Crossway Books 2007

      1 이한수, "언약신학에서 본 복음과 율법" 생명의말씀사 2007

      2 Chae, Issaac, "어거스틴의 칭의개념 연구(A study of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in Augustin of Hippo)" 13 : 295-326, 2002

      3 Ladd, G. E, "신약신학" 대한기독교출판사 1998

      4 이한수, "복음은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한수 교수의 로마서 주석" 이레서원 2008

      5 Kim, Seyoon, "바울신학과 새 관점: 바울 복음의 기원에 대한 재고" 두란노서원 2006

      6 Sanders, E. P, "the Law, and the Jewish People" Fortress Press 1983

      7 Dunn, James, "The Theology of Paul the Apostle" Eerdmans 1998

      8 Kim,Seyoon, "The Origin of Paul`s Gospel" Edrdmans 1981

      9 Dunn, James, "The New perspective on Paul" Erdmans 2008

      10 Piper, John, "The Future of Justification: A Response to N. T. Wright" Crossway Books 2007

      11 Calvin, John, "The Epistles of Paul the Apostle to the Romans and to the Thessalonians" Eerdmans 1973

      12 Sanders, E. P,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 A Comparison of Patterns of Religion" Fortress Press 1977

      13 Bultmann, Rudolf, "New Testament and Mythology and Other Basic Writings" Fortress Press 1984

      14 McGrath, Alister E, "Luther's Theology of the Cross : Martin Luther's Theological Breakthrough" B. Blackwell 1985

      15 Luther, Martin, "Lectures on Romans" S.C.M. Press 1961

      16 Wright, N. T, "Justification, God's Plan and Paul's Vision" IVP 2009

      17 McGrath, Alister, "Iustitia Dei : a History of the Christian Doctrine of Justifi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8 Westerholm, Stephen, "Israel's Law and the Church's Faith: Paul and His Recent Interpreters" Eerdmans 1988

      19 Calvin, Joh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vol. 1" Westminster Press 1960

      20 Moltmann, Juergen, "Der gekreuzigte Gott: Das Kreuz Christi als Grund und Kritik Christlicher Theologie" Chr. Kaiser Verlag 1972

      21 Luther, Martin, "Commentary on Galatians" Fleming H. Revell 1988

      22 Ridderbos, Herman. Paul, "An Outline of His Theology. Trans. by John Richard De Witt" Eerdmans 1975

      23 Augustine, "A Treatise on the Spirit and the Letter. in: A Select Library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of the Christian Church" Eerdmans 83-114,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Reformed Theology Societ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5 0.5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