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계 한반도 해역(동해, 서해, 남해 및 동중국해)의 하위영양단계 먹이망 구조 :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활용 = Food-Web Structures in the Lower Trophic Levels of the Korean Seas (East Sea, West Sea, South Sea, and East China Sea) during the Summer Season: Using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1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9년 8월 한반도 주변해역(동해, 서해, 남해, 동중국해)에서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활용하여 하위영양 단계에서의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였다. 입자성 유기물(POM)의 &#x...

      본 연구는 2019년 8월 한반도 주변해역(동해, 서해, 남해, 동중국해)에서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활용하여 하위영양 단계에서의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였다. 입자성 유기물(POM)의 δ<sup>13</sup>C 범위는 -26.18 ~ 20.61 ‰, δ<sup>15</sup>N 범위는 5.36 ~ 15.20 ‰의 넓은 범위를 보였다. POM과 각 생물별 개체군 사이의 δ<sup>13</sup>C 분별작용의 결과는 대부분 micro-POM을 섭식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해역 간 차이를 보였다. 각 생물별 영양단계는 chaetognaths (3.40±0.61)가 가장 높은 영양단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위원소 혼합모델을 적용한 결과에서 chaetognaths의 먹이원으로 copepods (13 ~ 48 %)와 euphausiids (20 ~ 51 %)가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각 해역별 먹이원의 제한적 공급 및 다양성의 차이가 먹이망 구조 및 각 생물별 동위원소 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od web structures in the lower trophic levels of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re investigated in August 2019 using stable isotopes. There were variable ratios of the carbon (-26.18 ~ -20.61 ‰) and nitrogen stable (5.36 ~ 15.20 ...

      Food web structures in the lower trophic levels of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re investigated in August 2019 using stable isotopes. There were variable ratios of the carbon (-26.18 ~ -20.61 ‰) and nitrogen stable (5.36 ~ 15.20 ‰) isotopes in the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Most of the organisms ingested micro-POM as a major food source, but this varied spatially. The chaetognaths (3.40 ± 0.61) occupied the highest trophic level. The isotope mixing model showed that the proportions (13 ~ 51 %) of some organisms (i.e., copepods and euphausiids) reflected the relative contributions as major food sources for chaetognaths at each si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선, "한국 근해의 난바다곤쟁이 Euphausia pacifica의 지방 조성에 의한 섭식 생태 비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2 (32): 165-175, 2010

      2 갈종구,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탐진강 수생태계 먹이망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5 (45): 242-251, 2012

      3 주세종, "지방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북서태평양에서 요각류(Euchaeta sp. and Pleuromamma spp.)의 서식 위도별 영양상태 및 먹이원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33): 349-358, 2011

      4 윤현진, "위 내용물 및 지방산 구성을 통한 황해 모악류(Sagitta crassa와 S. nagae)의 먹이 섭식 특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8 (38): 35-46, 2016

      5 김민섭, "안정동위원소비 분석 기법의 이해: 시료의 전처리, 분석 및 자료의 해석과 적용" 한국하천호수학회 46 (46): 471-487, 2013

      6 장광현, "메소코즘을 이용한 지각류, 요각류 및 패충류의 섭식 성향 분석;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의 믹싱모델(R package SIAR)을 이용한 정량 분석"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279-288, 2016

      7 이병관, "동해남부해역과 울릉분지의 퇴적상과 퇴적작용" 한국수산과학회 40 (40): 160-166, 2007

      8 엄기혁, "기후변화에 따른 한국 연근해 어업생산량 변화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46 (46): 31-41, 2015

      9 강윤호, "기후변화로 인한 신지도 근해 해양먹이망 변동예측"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4 (34): 239-251, 2012

      10 McCutchan, J. H, "Variation in trophic shift for stable isotope ratios of carbon, nitrogen, and sulfur" 102 : 378-390, 2003

      1 김혜선, "한국 근해의 난바다곤쟁이 Euphausia pacifica의 지방 조성에 의한 섭식 생태 비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2 (32): 165-175, 2010

      2 갈종구,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탐진강 수생태계 먹이망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5 (45): 242-251, 2012

      3 주세종, "지방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북서태평양에서 요각류(Euchaeta sp. and Pleuromamma spp.)의 서식 위도별 영양상태 및 먹이원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33): 349-358, 2011

      4 윤현진, "위 내용물 및 지방산 구성을 통한 황해 모악류(Sagitta crassa와 S. nagae)의 먹이 섭식 특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8 (38): 35-46, 2016

      5 김민섭, "안정동위원소비 분석 기법의 이해: 시료의 전처리, 분석 및 자료의 해석과 적용" 한국하천호수학회 46 (46): 471-487, 2013

      6 장광현, "메소코즘을 이용한 지각류, 요각류 및 패충류의 섭식 성향 분석;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의 믹싱모델(R package SIAR)을 이용한 정량 분석"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279-288, 2016

      7 이병관, "동해남부해역과 울릉분지의 퇴적상과 퇴적작용" 한국수산과학회 40 (40): 160-166, 2007

      8 엄기혁, "기후변화에 따른 한국 연근해 어업생산량 변화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46 (46): 31-41, 2015

      9 강윤호, "기후변화로 인한 신지도 근해 해양먹이망 변동예측"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4 (34): 239-251, 2012

      10 McCutchan, J. H, "Variation in trophic shift for stable isotope ratios of carbon, nitrogen, and sulfur" 102 : 378-390, 2003

      11 Fry, B., "Using stable isotopes to monitor watershed influences on aquatic trophodynamics" 56 : 2167-2171, 1999

      12 Post, D. M., "Using stable isotopes to estimate trophic position : models, methods, and assumptions" 83 : 703-718, 2002

      13 Ha, S. Y., "Trophic importance of meiofauna to polychaetes in a seagrass (Zostera marina) bed as traced by stable isotopes" 94 (94): 121-127, 2014

      14 Frank, K., "Trophic cascades in a formerly cod-dominated ecosystem" 308 : 1621-1623, 2005

      15 Post, D. M, "The long and short of food-chain length" 17 : 269-277, 2002

      16 Choo, H. S., "The effect of variations in the Tsushima warm currents on the egg and larval transport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31 (31): 226-244, 1998

      17 Feigenbaum, D. L., "The biology of terrestrial molluscs" Oxford University Press 259-288, 1991

      18 Mauchline, J., "The biology of calanoid copepods" 33 : 1-710, 1998

      19 Sato, T., "Temporal variability of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ic composition of size-fractionat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hypertrophic Sumida River estuary of Tokyo Bay, Japan" 68 : 245-258, 2006

      20 Minagawa, M., "Stepwise enrichment of 15N along food chains : further evid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δ15N and animal age" 48 : 1135-1140, 1984

      21 Cifuentes, L. A.,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biogeochemistry in the Delaware estuary" 33 : 1102-1115, 1988

      22 Michener, R. H., "Stable Isotopes in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Wiley-Blackwell 238-282, 2007

      23 Parnell, A., "Source partitioning using stable isotopes: coping with too much variation" 5 : e9672-, 2010

      24 Krumins, J. A., "Soil and freshwater and marine sediment food webs: their structure and function" 63 (63): 35-42, 2013

      25 Thayer, G. W., "Role of larger herbivores in seagrass communities" 7 : 351-376, 1984

      26 Yoon, J. H., "Review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surface circulation in the Japan/East Sea" 78 (78): 197-211, 2009

      27 Kline, T. C. Jr., "Pacific salmon (Oncorhynchus spp.) early marine feeding patterns based on 15N/14N and 13C/12C in Prince William Sound, Alaska" 59 : 1626-1638, 2002

      28 Meyers, P. A., "Organic geochemical proxies" 27 : 213-250, 1997

      29 Im, D. H., "Ontogenetic feeding migration of the euphausiid Euphausia pacifica in the East Sea (Japan Sea) in autumn: a stable isotope approach" 38 (38): 904-914, 2016

      30 Park, J. I., "Ontogenetic diet shift in the euphausiid Euphausia pacifica quantified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429 : 103-109, 2011

      31 Ohman, M. D., "Omnivory by Euphausia pacifica : the role of copepod prey" 19 : 125-131, 1984

      32 DeNiro, M. J., "Mechanism of carbon isotope fractionation associated with lipid synthesis" 197 : 261-263, 1977

      33 Nybakken J. W., "Marine biology:An Ecological Approach" Benjamin Cummings 151-152, 2005

      34 Schückel, U., "Linking long-term changes in trophic structure and function of an intertidal macrobenthic system to eutrophication and climate change using ecological network analysis" 526 : 25-38, 2015

      35 Dickman, E. M., "Light, nutrients, and food-chain length constrain planktonic energy transfer efficiency across multiple trophic levels" 105 (105): 18408-18412, 2008

      36 Tang, Q., "Large marine ecosystems of the world-trends in exploit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Elsevier BV 121-144, 2003

      37 Harris, R., "ICES zooplankton methodology manual" Academic Press 684-, 2000

      38 Hopkins, T. L., "Food web of an Antarctic midwater ecosystem" 89 : 197-212, 1985

      39 Zhang, B., "Feeding competition of the major fish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51 (51): 616-623, 2005

      40 임동훈, "Evidence for Ontogenetic Feeding Strategies in Four Calanoid Copepods in the East Sea (Japan Sea) in Summer, Revealed by Stable Isotope Analysis" 한국해양과학기술원 50 (50): 481-490, 2015

      41 Sweeting, C. J., "Effects of chemical lipid extraction and arithmetic lipid correction on stable isotope ratios of fish tissues" 20 : 595-601, 2006

      42 Choi, K. H.,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Japan) Sea" 91 (91): 281-290, 2008

      43 Kim, H. J., "Diet source of Euphausia pacifica revealed using carbon- and nitrogen-stable isotopes in the Yellow Sea Cold Water Mass in summer" 75 (75): 51-59, 2019

      44 Vargas, C. A., "Contrasting trophic interactions of microbial and copepod communities in a fjord ecosystem, Chilean Patagonia" 53 : 227-242, 2008

      45 Suh, H. L.,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feeding basket of five species of Euphausia (Crustacea, Euphausiacea)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with some ecological consideration" 385 : 107-112, 1998

      46 Kortsch, S., "Climate change alters the structure of arctic marine food webs due to poleward shifts of boreal generalists" 282 : 20151546-, 2015

      47 Lu, H. J., "Changes in the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zones of the Kuroshio Current and China Coastal Current during periods of climate change:Observations from the set-net fishery (1993-2011)" 155 : 103-113, 2014

      48 김상현, "2001년 7월과 11월의 한국남해 서부해역에서의 멸치(Anchovy, Engraulis japonica) 어란과 자 · 치어의 분포 및 수송 특성" 한국수산과학회 38 (38): 331-341, 2005

      49 Rau, G. H., "13C/12C and 15N/14N variations among size-fractionated marine particles : implications for their origin and trophic relationships" 59 : 33-38,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59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