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갑오개혁 이후 조선 유학생의 일본 유학과 유학 분야 = The Study of Korean Students in Japan and their Field of Study after the Gabo Re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8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이후 대한제국기 조선인의 일본 유학에 대해 갑오개혁 이후 유학생 파견 정책의 변화와 일본 유학생들의 자치단체인 친목회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895년 갑오개혁 이후 관비유학생 파견은 주로 일본 게이오 의숙에 무려 195명 정도로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갑오개혁정부는 처음에는 독자적인 고등교육체계를 구상하고 있었지만, 일본의 압력하에 대학설립 구상이 포기된 채, 대규모 관비유학생 파견으로 전환하였다. 이에 후쿠자와 유키치의 게이오 의숙에 맡겨진 유학생들은 일본어 교육과 기초교과를 바탕으로 대학·전문학교 등 상급학교로 진학에 대비하였다. 또한 조선 유학생들은 자체적으로 친목회를 결성하여 주기적인 단체모임과 매달 정례 학술 모임을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선진 학문 수용과 여론 형성을 주도하였다. 이들의 주제 강연은 유학생 잡지인 『친목회 회보』(1~6회)에 수록되었는데, 유학생의 학업과 친목회 활동에 당부하는 글, 국민의 각성과 애국 논설, 국왕에 대한 절대적인 충군애국 강조, 전공 학문에 대한 소개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이들 조선 유학생들은 서구의 정치원리나 법적 체계를 비롯하여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 나름대로 논점을 제기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주목한 것은 친목회규칙에 수록된 특별찬성원들이었다. 이들은 유학생 관리를 맡은 후쿠자와 유키치 등 게이오 의숙 관련자들뿐만 아니라 일본 주요 대학의 학장들과 일본 의회 및 법률관계 종사자들을 망라하고 있다. 110명의 특별찬성원들은 조선유학생들이 각 대학의 전공분야를 선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다.
      대한제국기에 들어와서 한국정부는 유학생 파견과 관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데 실패했다. 관비 유학대상자의 축소와 학자금 지급 등이 지연되었다. 졸업 이후 귀국한 관비유학생들은 주로 정치·법률학 관료나 학자로서 나아갈 수도 있었으나 1904년 이전까지 제대로 그런 분야에 진출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 이후 조선 유학생들의 일본 파견과 학술활동을 전반적으로 분석하려고 하였다. 특히 친목회의 특별찬성원과의 연계망에 주목하여 유학생들의 전공 분야 선택의 관련성을 밝히려고 하였다. 그리고 졸업 후 조선유학생들의 관료 및 사회활동상을 개인별로 추적하여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이후 대한제국기 조선인의 일본 유학에 대해 갑오개혁 이후 유학생 파견 정책의 변화와 일본 유학생들의 자치단체인 친목회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895년 ...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이후 대한제국기 조선인의 일본 유학에 대해 갑오개혁 이후 유학생 파견 정책의 변화와 일본 유학생들의 자치단체인 친목회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895년 갑오개혁 이후 관비유학생 파견은 주로 일본 게이오 의숙에 무려 195명 정도로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갑오개혁정부는 처음에는 독자적인 고등교육체계를 구상하고 있었지만, 일본의 압력하에 대학설립 구상이 포기된 채, 대규모 관비유학생 파견으로 전환하였다. 이에 후쿠자와 유키치의 게이오 의숙에 맡겨진 유학생들은 일본어 교육과 기초교과를 바탕으로 대학·전문학교 등 상급학교로 진학에 대비하였다. 또한 조선 유학생들은 자체적으로 친목회를 결성하여 주기적인 단체모임과 매달 정례 학술 모임을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선진 학문 수용과 여론 형성을 주도하였다. 이들의 주제 강연은 유학생 잡지인 『친목회 회보』(1~6회)에 수록되었는데, 유학생의 학업과 친목회 활동에 당부하는 글, 국민의 각성과 애국 논설, 국왕에 대한 절대적인 충군애국 강조, 전공 학문에 대한 소개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이들 조선 유학생들은 서구의 정치원리나 법적 체계를 비롯하여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 나름대로 논점을 제기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주목한 것은 친목회규칙에 수록된 특별찬성원들이었다. 이들은 유학생 관리를 맡은 후쿠자와 유키치 등 게이오 의숙 관련자들뿐만 아니라 일본 주요 대학의 학장들과 일본 의회 및 법률관계 종사자들을 망라하고 있다. 110명의 특별찬성원들은 조선유학생들이 각 대학의 전공분야를 선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다.
      대한제국기에 들어와서 한국정부는 유학생 파견과 관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데 실패했다. 관비 유학대상자의 축소와 학자금 지급 등이 지연되었다. 졸업 이후 귀국한 관비유학생들은 주로 정치·법률학 관료나 학자로서 나아갈 수도 있었으나 1904년 이전까지 제대로 그런 분야에 진출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 이후 조선 유학생들의 일본 파견과 학술활동을 전반적으로 분석하려고 하였다. 특히 친목회의 특별찬성원과의 연계망에 주목하여 유학생들의 전공 분야 선택의 관련성을 밝히려고 하였다. 그리고 졸업 후 조선유학생들의 관료 및 사회활동상을 개인별로 추적하여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of Koreans studying in Japan during the Korean Empire after the Gabo Reformation, I considered the change in the policy of sending students to Japan after the Gabo Reform and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ous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The Government influenced by the Gabo reforms initially envisioned its own higher education system; however, under pressure from Japan, it abandoned the idea of establishing a university. As a result, large-scale government-funded students who were entrusted to Fukuzawa Yukichi, in Keio University(慶應義塾), were prepared for further study at higher schools, such as universities and vocational schools, based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basic subjects.
      In addition, Joseon students formed their own fraternity groups to strengthen their solidarity and lead the adoption of advanced studies and public opinion through regular group gatherings and monthly academic meetings. Their lecture topics were included in the Journal of the Friendship Society, a magazine for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the topics ranged from urging them to study, engaging in social activities, writing about awakening the patriotic spirit among people, an absolute emphasis on the King’s patriotic patriarchs, and other major studies. These Joseon students were introducing the latest trends, including Western political principles and legal systems, and were validating their own objectives.
      This article takes the special note of members of the Fellowship Rules. These include the heads of major Japanese universities, members of the Japanese parliament and legal workers, as well as Keio officials such as Fukuzawa Yukichi, who managed international students. These 110 special members would have played a decisive role in Joseon students’ choice of college majors.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failed to establish a syste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anaging and placing the students during the Korean Empire. There was a delay in bridging the gap in the numbers of students eligible for government grants and paying their tuition. After graduation, government-funded students who returned home were able to move forward mainly as political and legal officials or scholars; however, they were unable to enter the their field of employment until 1904.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analyze the dispatch of Joseon students to Japan and their academic activities in general after the Gabo Reform. In particular, it was my endeavor to reveal the relevance of overseas students’ choice of majors by paying attention to the association’s network of special support for the fraternity. Finally, I tracked the awards for official and social activities that were bestowed by private individuals on the overseas Joseon students after their graduation.
      번역하기

      In this study of Koreans studying in Japan during the Korean Empire after the Gabo Reformation, I considered the change in the policy of sending students to Japan after the Gabo Reform and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ous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

      In this study of Koreans studying in Japan during the Korean Empire after the Gabo Reformation, I considered the change in the policy of sending students to Japan after the Gabo Reform and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ous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The Government influenced by the Gabo reforms initially envisioned its own higher education system; however, under pressure from Japan, it abandoned the idea of establishing a university. As a result, large-scale government-funded students who were entrusted to Fukuzawa Yukichi, in Keio University(慶應義塾), were prepared for further study at higher schools, such as universities and vocational schools, based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basic subjects.
      In addition, Joseon students formed their own fraternity groups to strengthen their solidarity and lead the adoption of advanced studies and public opinion through regular group gatherings and monthly academic meetings. Their lecture topics were included in the Journal of the Friendship Society, a magazine for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the topics ranged from urging them to study, engaging in social activities, writing about awakening the patriotic spirit among people, an absolute emphasis on the King’s patriotic patriarchs, and other major studies. These Joseon students were introducing the latest trends, including Western political principles and legal systems, and were validating their own objectives.
      This article takes the special note of members of the Fellowship Rules. These include the heads of major Japanese universities, members of the Japanese parliament and legal workers, as well as Keio officials such as Fukuzawa Yukichi, who managed international students. These 110 special members would have played a decisive role in Joseon students’ choice of college majors.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failed to establish a syste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anaging and placing the students during the Korean Empire. There was a delay in bridging the gap in the numbers of students eligible for government grants and paying their tuition. After graduation, government-funded students who returned home were able to move forward mainly as political and legal officials or scholars; however, they were unable to enter the their field of employment until 1904.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analyze the dispatch of Joseon students to Japan and their academic activities in general after the Gabo Reform. In particular, it was my endeavor to reveal the relevance of overseas students’ choice of majors by paying attention to the association’s network of special support for the fraternity. Finally, I tracked the awards for official and social activities that were bestowed by private individuals on the overseas Joseon students after their grad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갑오개혁기 관비유학생의 파견과 게이오의숙
      • Ⅲ. 대한제국기 관비 조선유학생의 대학 진학과 졸업 후 활동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갑오개혁기 관비유학생의 파견과 게이오의숙
      • Ⅲ. 대한제국기 관비 조선유학생의 대학 진학과 졸업 후 활동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주, "한말 재일한국유학생의 민족운동" 느티나무 1993

      2 최덕수, "한말 일본유학생의 대외인식연구, 1905~1910" 22 : 1984

      3 최덕수, "한말 유학생단체 연구" 21 : 1983

      4 왕현종, "한국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역사비평사 2003

      5 "학부거래문"

      6 "친목회회보 (1~6호)"

      7 한시준,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정음문화사 1985

      8 김소영, "재일조선유학생들의 ‘국민론’과 ‘애국론’ -『親睦會會報』(1896~189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6) : 5-48, 2011

      9 김효전, "영국 헌법이론의 초기 수용(2)" 대한변호사협회 (335) : 185-207, 2004

      10 왕현종, "식민지 조선의 근대학문과 조선학연구" 선인 2015

      1 김기주, "한말 재일한국유학생의 민족운동" 느티나무 1993

      2 최덕수, "한말 일본유학생의 대외인식연구, 1905~1910" 22 : 1984

      3 최덕수, "한말 유학생단체 연구" 21 : 1983

      4 왕현종, "한국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역사비평사 2003

      5 "학부거래문"

      6 "친목회회보 (1~6호)"

      7 한시준,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정음문화사 1985

      8 김소영, "재일조선유학생들의 ‘국민론’과 ‘애국론’ -『親睦會會報』(1896~189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6) : 5-48, 2011

      9 김효전, "영국 헌법이론의 초기 수용(2)" 대한변호사협회 (335) : 185-207, 2004

      10 왕현종, "식민지 조선의 근대학문과 조선학연구" 선인 2015

      11 김효전, "서양 헌법이론의 초기수용" 철학과현실사 1996

      12 "대한제국관원이력서"

      13 박찬승, "근대 교류사의 상호인식 I" 2000

      14 차배근, "개화기일본유학생들의 언론출판활동연구(I)"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5 마스타니 유이치, "갑오개혁기 도일유학생 파견정책과 유학생 출신의 사회진출" 고려대학교 2012

      16 MASUTANI YUICHI, "갑오개혁기 도일유학생 파견 정책의 전개와 중단 과정" 고려사학회 (56) : 215-248, 2014

      17 유동훈, "韓末 渡日留學生의 文明開化論과 法思想 硏究" 22 : 2001

      18 박기환, "近代日韓文化交流史硏究 : 韓國人の日本留學" 大阪大學 1998

      19 西沢直子, "明治期慶應義塾への朝鮮留學生(一)" 31 : 2015

      20 阿部洋, "旧韓末日本留学(Ⅲ)-資料的考察" 3 (3): 1974

      21 阿部洋, "旧韓末日本留学(Ⅱ)-資料的考察" 3 (3): 1974

      22 阿部洋, "旧韓末日本留学(Ⅰ)-資料的考察" 3 (3): 1974

      23 "慶應義塾入社帳"

      24 "大朝鮮人日本留學生親睦會規則"

      25 김인택, "『친목회회보』의 再讀(1)" 5 : 2008

      26 김상기, "「慶應義塾入社帳」(한국유학생편) 해제" 4 : 1994

      27 전상숙, "East Asia's Acceptance of Modern Social Science and Moder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ocial Sciences ― with priority given to the reception of Bluntschli’s Political Thought ―" Ewha Historical Institutions null (null): 181-220, 2012

      28 이태훈,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Social Science’ Recipients in Korea, Seen through Character Investigati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22 (22): 7-55, 2012

      29 이태훈,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of ‘Modern Social Science’ by Intellectuals Studying in Japan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 A focus on the awareness of ‘politics’ and ‘constitutional government theory’ ―" Ewha Historical Institutions null (null): 63-93, 2012

      30 박찬승, "1890년대 후반 도일유학생의 현실인식-유학생 친목회를 중심으로" 31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