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린이집 운영 관련 판례 분석 = A study of court preceden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child care cen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816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린이집 운영과 관련된 판례 현황을 살펴보고, 판례의 내용과 판결사항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대법원 홈페이지 종합법률 정보’와 ‘법...

      본 연구는 어린이집 운영과 관련된 판례 현황을 살펴보고, 판례의 내용과 판결사항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대법원 홈페이지 종합법률 정보’와 ‘법원 도서관 판례 검색’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 공개된 어린이집 운영 관련 판례 53건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운영 관련 판례는 연평균 5.8건으로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10건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사건유형은 아동학대, 안전, 행정관리, 교직원 4가지로 분석되었으며, 이중 아동학대 관련 판례가 22건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재판 유형별로는 형사재판이 29건으로 민사재판 21건과 행정재판 3건에 비하여 많았다. 넷째, 판결사항으로는 사건의 사안에 따라 「형법」, 「아동복지법」, 「영유아보육법」 등의 형벌적 책임을 지기도 하였고, 잘못된 행정처분에 대한 취소나 변경 차원에서의 판결이 내려지기도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어린이집 운영에 있어서 보육종사자들의 책임의식을 각인시키고, 보다 합법적인 어린이집 운영과 지원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court preceden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child care centers and analyze the case contents and rulings. For this, 53 court precedents involving child care centers, which are open to the public through the w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court preceden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child care centers and analyze the case contents and rulings. For this, 53 court precedents involving child care centers, which are open to the public through the websites of ‘Supreme Court General Law Information’ and ‘Court Library Case Search’, were observed for the period from 2011 to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urt precedents involving child care centers reached 5.8 on a yearly basis with the highest amounting to 10 in 2014 and 2015, respectively. Second, the cases were analyzed into four types: child abuse, safety,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teaching staff. Among them, child abuse had the largest number of court precedents. Third, in terms of trial types, there were 29 criminal trials followed by 21 civil trials and three administrative trials. Fourth, from the point of ruling, punishment was imposed according to the Criminal Act, the Child Welfare Act,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Infant Care Act. Ruling were also made as a cancellation or change on a prior improper administrative disposition.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encouraging childcare workers to take more responsibility, exploring more options for legitimate operation, and providing further support of for child care cent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수, "헌법재판소의 교육관련 판례의 경향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2 장완수, "한국유아교육 판례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3 김태완, "학교안전사고에 따른 교원의 책임범위와 교권침해" 대한교육법학회 16 (16): 27-54, 2004

      4 김혜민, "판례를 활용한 법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신소정, "유치원 행정업무담당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O시 중심으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8 (8): 203-213, 2015

      6 최선옥, "유치원 교실 내 CCTV 설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셉테드학회 8 (8): 217-244, 2017

      7 구자정, "유아교육기관 아동학대 판례의 현황 및 법적 책임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65-86, 2018

      8 박은영, "유아교육기관 관련 판례 분석: 2000년부터 2011년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61-282, 2013

      9 이대균, "유아교육 및 보육의 공공성과 책무성 확립방안" 22 : 111-130, 2005

      10 이일세, "영유아보육법상 보조금의 부정수령 및 유용에 관한 판례분석" 안암법학회 (54) : 107-166, 2017

      1 이지수, "헌법재판소의 교육관련 판례의 경향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2 장완수, "한국유아교육 판례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3 김태완, "학교안전사고에 따른 교원의 책임범위와 교권침해" 대한교육법학회 16 (16): 27-54, 2004

      4 김혜민, "판례를 활용한 법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신소정, "유치원 행정업무담당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O시 중심으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8 (8): 203-213, 2015

      6 최선옥, "유치원 교실 내 CCTV 설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셉테드학회 8 (8): 217-244, 2017

      7 구자정, "유아교육기관 아동학대 판례의 현황 및 법적 책임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65-86, 2018

      8 박은영, "유아교육기관 관련 판례 분석: 2000년부터 2011년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61-282, 2013

      9 이대균, "유아교육 및 보육의 공공성과 책무성 확립방안" 22 : 111-130, 2005

      10 이일세, "영유아보육법상 보조금의 부정수령 및 유용에 관한 판례분석" 안암법학회 (54) : 107-166, 2017

      11 국지윤,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 모형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219-248, 2017

      12 이성훈, "어린이집 안전사고 판례 분석을 통한 법적 책임 고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13 이동건, "어린이집 안전사고 민사판례 분석을 통한 법적 책임 고찰: 사망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231-257, 2016

      14 전병주,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의 판례분석과 시사점: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09-218, 2017

      15 고현, "사립유치원 교원의 행정업무 부담과 개선방안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111-136, 2016

      16 한상미, "보육료 지원방식 변경에 따른 공공성 평가" 11 : 109-137, 2006

      17 "법원 도서관"

      18 박성준, "대한민국 응급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의료분쟁 판례의 동향 및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19 "대법원 홈페이지 종합법률 정보"

      20 조한대, "김포 보육교사 극단적 선택… 그 뒤엔 권력 된 ‘맘카페’" 중앙일보

      21 윤기혁, "국내 어린이집의 아동학대 판례 분석 연구 : 정서적 학대 유형, 쟁점 사안 및 예방대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157-167, 2017

      22 조현욱, "교사의 체벌과 정당행위의 성립여부 - 대법원 2004.6.10. 선고 2001도5380 판결 -" 법학연구소 11 (11): 407-427, 2010

      23 Stefanie Kemme, "Experience of Parental Corporal Punishm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ts Effect on Punitivenes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9 (29): 129-142, 2014

      24 Adam J. Zolotor, "Corporal punishment and physical abuse: population-based trends for three-to-11-year-old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Wiley 20 (20): 57-66, 2011

      25 보건복지부, "2019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