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동 소장 고문헌을 주제별, 판종별 특징과 중요자료 약 8종에 대하여 서지사항과 자료의 가치 등을 살펴보았다. 주제별로 살펴본 결과 경부 62종 444책(8%), 사부 147종 640책(20%), 자부 157종 605...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52133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89-222(34쪽)
0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태동 소장 고문헌을 주제별, 판종별 특징과 중요자료 약 8종에 대하여 서지사항과 자료의 가치 등을 살펴보았다. 주제별로 살펴본 결과 경부 62종 444책(8%), 사부 147종 640책(20%), 자부 157종 605...
태동 소장 고문헌을 주제별, 판종별 특징과 중요자료 약 8종에 대하여 서지사항과 자료의 가치 등을 살펴보았다. 주제별로 살펴본 결과 경부 62종 444책(8%), 사부 147종 640책(20%), 자부 157종 605책(21%), 집부 374종 1,738책(51%)으로 절반이 집부인 문집류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종별로 살펴보면, 목판본이 236종(32%), 필사본 142종(19%), 석판본 105종(14%), 신연활자본 103종(14%), 영인본 64종(9%), 금속활자본 48종(7%), 목활자본 24종(3%) 등으로 나타났다. 금속활자본은 무신자, 교서관인서체자, 전사자 등 13종류의 활자가 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요자료 8종은 현존 수량이 적고, 기존의 비공개 자료로 연구 가치가 높아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3,248 books of 740 species owned by the TAEDONG CENTER FOR EASTERN CLASSICS. According to each topic, the book was divided into 62 books of 444 books (8 percent), 147 books of 640 books (20 percent), 157 books of self...
This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3,248 books of 740 species owned by the TAEDONG CENTER FOR EASTERN CLASSICS. According to each topic, the book was divided into 62 books of 444 books (8 percent), 147 books of 640 books (20 percent), 157 books of self-esteem 605 books (21 percent), and 374 books of 1,738 books (51 percent) According to the edition, 236 woodblock prints (32%), 142 manuscripts (19%), 105 stone tablets (14%), 103 new printed capital (14%), 64 metal types (9%), and 24 wood-printed capital (3%). It is estimated that 13 types of metal type were mainly used, including those of no believers, those of the royal library, and those who died in war dead. According to the study of eight important materials indcluding “sohakjibseol”, various types of type and old woodblock prints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can help research on the types and documen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existing amount is very small, making them more valuable. This is Lim Chang-soon's personal library, which also provides insight into his bibliographic views and academic tendencies. Unfortunately, it is true that some of the materials are severely damaged and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is poor, making it difficult to avoid further damage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it is imperative to provide national policy support for our records and cultural heritage along with the interest of the collection agency. In addition, I hope that the author's low insight will only mention the roughness of the data, reveal that there may be errors in classification and judgment identification, and that it can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rough further research. It is also hoped that this cleanup project and the ongoing project to build the original text image will lead to active research in related fields of study by the TAEDONG CENTER FOR EASTERN CLASSIC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화, "「皇華集」의 編纂과 版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천혜봉, "한국금속활자본" 범우사 1998
4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5 "청주고인쇄박물관"
6 김상호, "조선의 각수연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2013
7 정호훈, "조선 후기 『小學』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고려사학회 (31) : 111-143, 2008
8 "바이두"
9 천혜봉, "고서분류목록법(上)" 한국도서관협회 1970
10 임창순, "韓國의 印本과 書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4 : 1983
1 김기화, "「皇華集」의 編纂과 版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천혜봉, "한국금속활자본" 범우사 1998
4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5 "청주고인쇄박물관"
6 김상호, "조선의 각수연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2013
7 정호훈, "조선 후기 『小學』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고려사학회 (31) : 111-143, 2008
8 "바이두"
9 천혜봉, "고서분류목록법(上)" 한국도서관협회 1970
10 임창순, "韓國의 印本과 書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4 : 1983
11 윤병태, "朝鮮後記 活字와 冊" 범우사 1992
12 "宣祖實錄"
13 "均役廳事目"
14 "四庫全書總目. 卷九十九"
15 이이화, "(나의 학문 나의 인생) 임창순: 4⋅25교수데모에 앞장선 한학⋅금석문의 대가" 역사문제연구소 1992
근현대 ‘위성(衛聖)’ 공동체의 등장과 지역 사회 변동 - 전주향교(全州鄕校)를 중심으로(1920~1960)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8-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태동고전연구 제24집 -> 태동고전연구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6 | 1.754 | 0 |
Sources of Wisdom: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K-MOOC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송재윤(Jaeyoon Song)Sources of Wisdom: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K-MOOC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송재윤(Jaeyoon Song)Sources of Wisdom: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K-MOOC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송재윤(Jaeyoon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