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Full-HD LCOS Panel의 Cell Gap의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Full-HD LCOS Panel Depending on Various Cell Ga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0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VA Mode LC를 사용하는 Full-HD급 LCOS 마이크로디스플레이에서 셀 상하 간격의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의 변화에 관하여 3차원 LC code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5가지의 다른 셀 상하 간격 (1.4 ㎛, 1.8 ㎛, 2.1 ㎛, 2.4 ㎛ 그리고 2.8 ㎛)의 변화에 따라 Reflectance-Voltage 특성, 반사광 및 반사율 분포, Optical Fill Factor 그리고 명암비를 비교하였다. Surface Anchoring 효과에 의해 상하 간격이 증가하면서 반사율은 증가하였으나 Optical Fill Factor와 명암비를 고려할 경우, 중간 수준의 간격인 2.1 ㎛ 의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는 0.7 인치 LCOS 패널을 제작하여 광학적 측정을 해 본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VA Mode LC를 사용하는 Full-HD급 LCOS 마이크로디스플레이에서 셀 상하 간격의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의 변화에 관하여 3차원 LC code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5가지의 다른 셀 상하 간격 (1.4 ...

      VA Mode LC를 사용하는 Full-HD급 LCOS 마이크로디스플레이에서 셀 상하 간격의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의 변화에 관하여 3차원 LC code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5가지의 다른 셀 상하 간격 (1.4 ㎛, 1.8 ㎛, 2.1 ㎛, 2.4 ㎛ 그리고 2.8 ㎛)의 변화에 따라 Reflectance-Voltage 특성, 반사광 및 반사율 분포, Optical Fill Factor 그리고 명암비를 비교하였다. Surface Anchoring 효과에 의해 상하 간격이 증가하면서 반사율은 증가하였으나 Optical Fill Factor와 명암비를 고려할 경우, 중간 수준의 간격인 2.1 ㎛ 의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는 0.7 인치 LCOS 패널을 제작하여 광학적 측정을 해 본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on Silicon (hereinafter “LCOS”) micro-display on vertically alignment (VA) mode were studied with 3-dimensional LC code. 5 different cell gaps, such as 1.4 ㎛, 1.8 ㎛, 2.1 ㎛, 2.4 ㎛ and 2.8 ㎛, were selected. The reflectance-voltage (R-V)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ance, optical fill factor and contrast ratio were calculated and investigated depending on various cell gaps. Due to the surface anchoring effect, higher cell gap showed higher reflectance. However, considering the optical fill factor and contrast ratio, middle-height 2.1 ㎛ showed the best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 0.7 inch Full-HD LCOS panels having same geometry and material property were fabricated. The reflected light intensity and contrast ratio were measured and the measured results were well-matched to the calculated results.
      번역하기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on Silicon (hereinafter “LCOS”) micro-display on vertically alignment (VA) mode were studied with 3-dimensional LC code. 5 different cell gaps, such as 1.4 ㎛, 1.8 ㎛, 2.1 ㎛, 2.4 ㎛ an...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on Silicon (hereinafter “LCOS”) micro-display on vertically alignment (VA) mode were studied with 3-dimensional LC code. 5 different cell gaps, such as 1.4 ㎛, 1.8 ㎛, 2.1 ㎛, 2.4 ㎛ and 2.8 ㎛, were selected. The reflectance-voltage (R-V)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ance, optical fill factor and contrast ratio were calculated and investigated depending on various cell gaps. Due to the surface anchoring effect, higher cell gap showed higher reflectance. However, considering the optical fill factor and contrast ratio, middle-height 2.1 ㎛ showed the best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 0.7 inch Full-HD LCOS panels having same geometry and material property were fabricated. The reflected light intensity and contrast ratio were measured and the measured results were well-matched to the calculated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시뮬레이션 조건
      • Ⅲ. 시뮬레이션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시뮬레이션 조건
      • Ⅲ. 시뮬레이션 결과
      • Ⅳ. 실험과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
      • Ⅴ.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완철, "프린지 필드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형 네마틱 액정 셀에서 러빙방향에 따른 전기광학 특성"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7 (17): 75-82, 2004

      2 정송희,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을 이용한 Fringe-Field Switching mode의 cell gap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 특성"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6 (16): 914-922, 2003

      3 강희진, "셀갭 변화에 따른 Flexible 기판 TN-LCD의 전기광학특성" 289-290, 2005

      4 권재홍,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정보통신연구진흥원 (1376) : 24-35, 2008

      5 강정원, "VA Mode의LCOS에서 Cell Gap의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7 (7): 41-44, 2008

      6 김강우, "Flexible 액정디스플레이의 셀갭 변화에 따른 응답 특성" 477-480, 2003

      7 Zhibing Ge, "A Single Cell-gap Transflective VA LCD using Positive Liquid Crystal Materials" SID 802-805, 2006

      1 김완철, "프린지 필드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형 네마틱 액정 셀에서 러빙방향에 따른 전기광학 특성"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7 (17): 75-82, 2004

      2 정송희,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을 이용한 Fringe-Field Switching mode의 cell gap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 특성"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6 (16): 914-922, 2003

      3 강희진, "셀갭 변화에 따른 Flexible 기판 TN-LCD의 전기광학특성" 289-290, 2005

      4 권재홍,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정보통신연구진흥원 (1376) : 24-35, 2008

      5 강정원, "VA Mode의LCOS에서 Cell Gap의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7 (7): 41-44, 2008

      6 김강우, "Flexible 액정디스플레이의 셀갭 변화에 따른 응답 특성" 477-480, 2003

      7 Zhibing Ge, "A Single Cell-gap Transflective VA LCD using Positive Liquid Crystal Materials" SID 802-805,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4-01-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2012-09-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10-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자공학회논문지 - SD</br>외국어명 : SemiconductorandDevic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