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율체육활동 활성화 정책 실현을 위한 운영시스템 구축 방안 = Development of Operating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Autonomous Physical Activity Activation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65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operating system by restructuring self - motiva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presented in a list form by looking at the policy for activating physical activities of general students as a whole. For this purpose, government policy documents related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best case studies related to autonomous sports activ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autonomous physical education activity policy is based on the premise of 'One Person 1 Movement', '7560+', 'Community Linkage and Student Autonomy' and 'Parents and Schools' ,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uctured operating system by operating an 'integrated linkage of various programs'. In order to do this, we discussed the need for 'effort from the policy operation of the mosaic policy to integration', 'bold policy diligence', and 'policy support for student autonomy and community linkage'. In the future,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master plan' and 'changing policies for field practice' so that autonomous physical activity can lead to lifelong physical activ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operating system by restructuring self - motiva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presented in a list form by looking at the policy for activating physical activities of general students as a whole.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operating system by restructuring self - motiva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presented in a list form by looking at the policy for activating physical activities of general students as a whole. For this purpose, government policy documents related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best case studies related to autonomous sports activ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autonomous physical education activity policy is based on the premise of 'One Person 1 Movement', '7560+', 'Community Linkage and Student Autonomy' and 'Parents and Schools' ,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uctured operating system by operating an 'integrated linkage of various programs'. In order to do this, we discussed the need for 'effort from the policy operation of the mosaic policy to integration', 'bold policy diligence', and 'policy support for student autonomy and community linkage'. In the future,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master plan' and 'changing policies for field practice' so that autonomous physical activity can lead to lifelong physical a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기철, "「학교체육 진흥법」 실천 과제로서의 일반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방안" 24 (24): 205-215, 2013

      2 허현미, "학교체육활성화학교 사업성과의 지속화와 일반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체육학회 54 (54): 141-151, 2015

      3 국가법령정보센터, "학교체육진흥법"

      4 정현우, "학교체육정책 실행과정에서 교사의 목소리: 체육교사의 정책실행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4 (24): 35-60, 2017

      5 이규일, "학교체육의 건강교육 방향 탐색: 북미 학교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이 주는 시사점"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4 (24): 1-34, 2017

      6 안민석,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체육의 연계활성화 방안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999

      7 류태호, "학교체육 정책에 관한 제도개선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8 경기도교육청, "학교체육 업무매뉴얼"

      9 김선희,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 (33) : 347-364, 2008

      10 김선희, "학교스포츠클럽에서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으로의 발전 과정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169-190, 2012

      1 신기철, "「학교체육 진흥법」 실천 과제로서의 일반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방안" 24 (24): 205-215, 2013

      2 허현미, "학교체육활성화학교 사업성과의 지속화와 일반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체육학회 54 (54): 141-151, 2015

      3 국가법령정보센터, "학교체육진흥법"

      4 정현우, "학교체육정책 실행과정에서 교사의 목소리: 체육교사의 정책실행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4 (24): 35-60, 2017

      5 이규일, "학교체육의 건강교육 방향 탐색: 북미 학교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이 주는 시사점"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4 (24): 1-34, 2017

      6 안민석,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체육의 연계활성화 방안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999

      7 류태호, "학교체육 정책에 관한 제도개선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8 경기도교육청, "학교체육 업무매뉴얼"

      9 김선희,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 (33) : 347-364, 2008

      10 김선희, "학교스포츠클럽에서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으로의 발전 과정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169-190, 2012

      11 임영택,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의 경험적 의미 탐색: 티볼에 참여한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0 (50): 345-361, 2011

      12 권민정,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의 전개과정 분석 및 교육적 담론" 한국체육학회 51 (51): 321-333, 2012

      13 진연경,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5 (25): 41-63, 2018

      14 이승미, "학교 체육·예술교육의 지엮 연셰 활성화 방안 -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5 김선희, "학교 스포츠클럽 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에 대한 토론" 3 : 87-92, 2009

      16 권민혁, "청소년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방과후 학교스포츠프로그램활성화 정책 방안" 한국체육학회 52 (52): 207-221, 2013

      17 최성호,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한국질적탐구학회 2 (2): 127-155, 2016

      18 이남미, "지역사회체육 연계를 위한 복합화 학교체육시설의 네트워크화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29) : 165-176, 2007

      19 임성철, "자문화기술지를 통한 고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경험 분석"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6 (16): 41-62, 2012

      20 홍은아, "영국의 학교체육 정책 및 지역사회체육 정책 고찰" 한국체육학회 52 (52): 421-430, 2013

      21 이의재, "여학생 체육활성화 선도학교 운영 경험에 관한 셀프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5 (25): 25-51, 2018

      22 김동식, "여학생 체육활성화 담론의 전개 과정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2 (22): 1-19, 2015

      23 진연경,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학교체육 정책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89-103, 2016

      24 김경숙, "아동 및 청소년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학교체육과 지역사회체육의 연계모형개발(Ⅴ)" 한국사회체육학회 20 (20): 29-54, 2003

      25 김기철, "스포츠교육 생태계 재구축의 길 1:성찰과 담론 공유" 65-91, 2018

      26 서정기, "비만아 건강 및 체력 증진을 위한 학교내 체육프로그램" 113-122, 2010

      27 윤현수, "두 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 야구리그 운영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7-26, 2012

      28 진연경, "국가수준 학교체육정책의 내용과 성과 고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343-372, 2015

      29 홍은숙, "교육의 개념 :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교육과학사 2007

      30 정현우,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위한 학교체육의 방향 및 역할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 22 (22): 1-16, 2017

      31 정현우, "「학교체육진흥법」개정에 따른 여학생 체육활성화 위한 법과 정책의 방향 탐색" 한국체육정책학회 14 (14): 199-215, 2016

      32 Elo, 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62 (62): 107-115, 2008

      33 서울특별시교육청, "2018학년도 학교체육업무 매뉴얼(서울교육 2018-21)"

      34 교육부, "2018년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기본계획" 교육부 체육예술교육지원팀 2018

      35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18년 학교체육 활성화 기본계획"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학생생활안전과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0.72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