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중반 이태중(李台重)의 정치 활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7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세기 조선 사회의 정치적 특징은 탕평 정치로 말해진다. 국왕 주도하에 탕평책이 추진되면서 당대의 정치세력들은 탕평의 방법이나 정치적 현안을 둘러싸고 입장 차이를 보였다. 영조대의 정치사에 대한 규명을 위해서는 갈래가 많고 복잡한 정치세력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태중의 정치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이태중을 둘러싸고 있는 인적, 학문적 배경은, 그가 철저하게 서인-노론계의 입장을 견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그의 외가이자 사제 간으로 연결된 연안이씨의 정치적이고 학문적 입장은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 그의 외가인 박태상 가계가 정치적으로 소론 세력이라는 점은 이태중이 소론 세력에 대해서도 유화적인 입장을 가졌을 것이다. 이태중은 정치 활동 전반부 시기, 신임옥사 때 화를 당한 인물들의 신원을 요구하거나, 그동안 미루어졌던 임인옥사 당시 역모인이라 지목된 인물의 신원과 소론의 토죄를 요구하였다. 이태중의 주장은 노론 세력의 의리를 표명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영조가 추진하는 탕평에 불만의 표시였다. 이후 이태중은 몇 차례 유배를 경험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국왕이 그의 문제 제기를 당론으로 치부하였기 때문이다. 이태중은 생애 후반부에는 관직에 나아가 관찰사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였다. 그동안 관직에 나오지 않았던 이태중의 삶이 변화한 것이다. 이런 변화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었다. 먼저, 신유대훈으로 인해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의리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진 점과 이태중이 가지고 있던 출처관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영조가 이태중에 대해 과도한 대응을 후회한 사실도 그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이태중의 정치 활동은, 18세기 중반 노론계 준론 세력 일부의 동향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례 연구가 축적되어 이를 종합한다면 이 시기 정치사를 보다 동태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18세기 조선 사회의 정치적 특징은 탕평 정치로 말해진다. 국왕 주도하에 탕평책이 추진되면서 당대의 정치세력들은 탕평의 방법이나 정치적 현안을 둘러싸고 입장 차이를 보였다. 영조대의...

      18세기 조선 사회의 정치적 특징은 탕평 정치로 말해진다. 국왕 주도하에 탕평책이 추진되면서 당대의 정치세력들은 탕평의 방법이나 정치적 현안을 둘러싸고 입장 차이를 보였다. 영조대의 정치사에 대한 규명을 위해서는 갈래가 많고 복잡한 정치세력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태중의 정치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이태중을 둘러싸고 있는 인적, 학문적 배경은, 그가 철저하게 서인-노론계의 입장을 견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그의 외가이자 사제 간으로 연결된 연안이씨의 정치적이고 학문적 입장은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 그의 외가인 박태상 가계가 정치적으로 소론 세력이라는 점은 이태중이 소론 세력에 대해서도 유화적인 입장을 가졌을 것이다. 이태중은 정치 활동 전반부 시기, 신임옥사 때 화를 당한 인물들의 신원을 요구하거나, 그동안 미루어졌던 임인옥사 당시 역모인이라 지목된 인물의 신원과 소론의 토죄를 요구하였다. 이태중의 주장은 노론 세력의 의리를 표명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영조가 추진하는 탕평에 불만의 표시였다. 이후 이태중은 몇 차례 유배를 경험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국왕이 그의 문제 제기를 당론으로 치부하였기 때문이다. 이태중은 생애 후반부에는 관직에 나아가 관찰사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였다. 그동안 관직에 나오지 않았던 이태중의 삶이 변화한 것이다. 이런 변화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었다. 먼저, 신유대훈으로 인해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의리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진 점과 이태중이 가지고 있던 출처관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영조가 이태중에 대해 과도한 대응을 후회한 사실도 그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이태중의 정치 활동은, 18세기 중반 노론계 준론 세력 일부의 동향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례 연구가 축적되어 이를 종합한다면 이 시기 정치사를 보다 동태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are said to be Tangpyeong politics. While Tangpyeong was being pursu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ing, political forces of the time differed over the method of Tangpyeong and political issues. In order to find out the history of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trends of diverse and complex political forces. Based on this sense of problem, this article examines Lee Tae-jung"s political activities. The human and academic background surrounding Lee Tae-jung shows that he had no choice but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Seoin-Norin community.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his relative and academically connected Yeonan-Yi Clan"s political and academic posi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However, it was judged that Lee Tae-jung also had a conciliatory stance on Soron"s forces due to his maternal family, Park Tae-sang"s family, being politically a member of Soron"s family.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political activities, Lee Tae-jung demanded the reinstatement of those who were upset during Sinimoksa. He also called for reinstatement of figures named a plot of treason during Iminoksa, and for Soron"s punishment. Lee Tae-jung"s argument expressed the loyalty of Noron forces, but as a result, it was a sig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Tangpyeong promoted by King Yeongjo. Afterwards, Lee Tae-jung experienced exile several times because the king considered raising his issue as a discussion of the factions. Later in his life, Lee Tae-jung went on to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and served as Gwanchalsa. Lee Tae-jung"s life, which has not been in office in the past, has changed. There were several factors in this change. First of all, Sinyudaehun is not satisfied but has made adjustments to loyalty, and the rule of conduct in life that Lee Tae-jung had. And the fact that King Yeongjo regretted excessive response to Lee Tae-jung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background. Lee Tae-jung"s political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are a trend of some of the Noron-Junron forces in the mid-18th century. If a number of case studies are accumulated and put together, the political history of this period will be more dynamic.
      번역하기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are said to be Tangpyeong politics. While Tangpyeong was being pursu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ing, political forces of the time differed over the method of Tangpyeong and politi...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are said to be Tangpyeong politics. While Tangpyeong was being pursu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ing, political forces of the time differed over the method of Tangpyeong and political issues. In order to find out the history of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trends of diverse and complex political forces. Based on this sense of problem, this article examines Lee Tae-jung"s political activities. The human and academic background surrounding Lee Tae-jung shows that he had no choice but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Seoin-Norin community.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his relative and academically connected Yeonan-Yi Clan"s political and academic posi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However, it was judged that Lee Tae-jung also had a conciliatory stance on Soron"s forces due to his maternal family, Park Tae-sang"s family, being politically a member of Soron"s family.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political activities, Lee Tae-jung demanded the reinstatement of those who were upset during Sinimoksa. He also called for reinstatement of figures named a plot of treason during Iminoksa, and for Soron"s punishment. Lee Tae-jung"s argument expressed the loyalty of Noron forces, but as a result, it was a sig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Tangpyeong promoted by King Yeongjo. Afterwards, Lee Tae-jung experienced exile several times because the king considered raising his issue as a discussion of the factions. Later in his life, Lee Tae-jung went on to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and served as Gwanchalsa. Lee Tae-jung"s life, which has not been in office in the past, has changed. There were several factors in this change. First of all, Sinyudaehun is not satisfied but has made adjustments to loyalty, and the rule of conduct in life that Lee Tae-jung had. And the fact that King Yeongjo regretted excessive response to Lee Tae-jung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background. Lee Tae-jung"s political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are a trend of some of the Noron-Junron forces in the mid-18th century. If a number of case studies are accumulated and put together, the political history of this period will be more dynam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정치 활동의 학적·인적 배경
      • Ⅲ. 신임의리(辛壬義理)의 천명과 소론 징토
      • Ⅳ. 노론탕평 정국의 조성과 출사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정치 활동의 학적·인적 배경
      • Ⅲ. 신임의리(辛壬義理)의 천명과 소론 징토
      • Ⅳ. 노론탕평 정국의 조성과 출사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