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육과정에서 ‘가족’ 내용을 교육과정 구성 원리에 기초해 분석하고 사회과에서 가족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2015 개정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육과정에서 ‘가족’ 내용을 교육과정 구성 원리에 기초해 분석하고 사회과에서 가족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2015 개정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육과정에서 ‘가족’ 내용을 교육과정 구성 원리에 기초해 분석하고
사회과에서 가족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족’은 계열성과 계속성은 확보되었으나 내용 요소의 의미 있는 계열성을 갖추고 있지
않았다. 둘째, 교과 간 연계성과 통합성이 고려되지 않았으며, 사회 교과 내 영역과 통합적으로
구성되지 않았다. 셋째, 학습자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내용 선정과 배열의 적정화의 원리가
적용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과 가족 관련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먼저 사회과에서 다룰 가족 내용의 초점을 명확히 하여 학습 내용을 조직한다. 또한, 가족
내용에 대하여 교과 간 통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하며, 가족을 단원으로 조직하지 않고
사회과의 제 영역들인 정치, 경제, 사회·문화, 장소와 지역, 사회·경제사 내용선정의 배경으로
분산한다. 학습자 적정성을 고려하여, 교과 간 통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기를 맞추어 가족
내용을 배치한다. 이러한 시도는 사회과에서 다른 교과와 가족 내용이 중복되거나 가족이 정형화된
개념이 아닌 가족생활 자체를 교과 내용으로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with the arrangement of ‘family’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n seek ways to solve them. To this e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iculum by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with the arrangement of ‘family’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n seek ways to solve them. To this e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iculum by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composition,
such as sequence, integration, and learner adequacy are as follows. The‘family’ has
secured sequence and continuity, however, the content elements did not have a
meaningful sequence. It was not integrated not only between subjects but also within
social studie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learners who learned family in social studies and learners
who learned family in integrated curriculum. It did not conform to the principle of
learner adequacy. In this study, we propose as follows. First, differentiate the ‘family’
content in social studies from other subjects. Second, arrange the timing and contents
appropriately to enable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Third, the contents of ‘family’ are
distributed through integration within the curriculum, do not organize it as a un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Bobbitt, F,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학지사 2019
2 교육부, "통합교과교육과정"
3 송현순, "초등학교 실과 6 교사용지도서" 비상교육 2020
4 교육부, "초등학교 (통합교과, 사회 3, 도덕 3)교사용지도서"
5 서재천, "초등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 내용의 변천 고찰" 17 (17): 3-25, 2005
6 박윤경, "초등사회과 ‘가족’ 단원에 대한 내용 분석: 가족 다양성의 관점에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51-84, 2005
7 은지용,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73-217, 2012
8 박순경, "초등 저학년 교육과정에서의 교육 내용 중복과 교과 통합 방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19-140, 2009
9 은지용,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원리의 복합적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자전적 성찰 경험에 기반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7 (57): 59-80, 2018
10 이양락, "제7차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교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종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 Bobbitt, F,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학지사 2019
2 교육부, "통합교과교육과정"
3 송현순, "초등학교 실과 6 교사용지도서" 비상교육 2020
4 교육부, "초등학교 (통합교과, 사회 3, 도덕 3)교사용지도서"
5 서재천, "초등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 내용의 변천 고찰" 17 (17): 3-25, 2005
6 박윤경, "초등사회과 ‘가족’ 단원에 대한 내용 분석: 가족 다양성의 관점에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51-84, 2005
7 은지용,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73-217, 2012
8 박순경, "초등 저학년 교육과정에서의 교육 내용 중복과 교과 통합 방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19-140, 2009
9 은지용,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원리의 복합적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자전적 성찰 경험에 기반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7 (57): 59-80, 2018
10 이양락, "제7차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교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종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1 김병국,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271-295, 2011
12 이환기, "열린교육과 교육내용 조직 원리로서의 교과 통합" 한국초등교육학회 14 (14): 5-22, 2000
13 교육부, "실과교육과정"
14 설규주, "사회과와 도덕과의 교육과정 내용 중복성에 대한 분석과 대응"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5-86, 2011
15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16 최용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016
17 유종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농촌사회의 인구와 가족 문제에 대한 적합성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75-110, 2006
18 교육부, "도덕과교육과정"
19 황철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가족’ 내용분석: 지식, 기능, 인성 요소의 연계"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59-82, 2018
20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세계교육과정 홈페이지"
21 황규호, "교육내용의 적정화 기준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25, 2004
22 홍후조,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2002
23 박민자, "가족과 한국사회" 경문사 1995
24 The Ontario Curriculum, "Social Studies, Grades 1-6; History and Geography, Grades 7-8"
25 Hanna, P., "Peter’s family" Foresman and Company 1935
26 Sowell, E. J., "Curriculum: An integrative introduction" Prentice-Hall, Inc 2000
27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28 조상연,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내용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1-2학년군 교과-성취기준의 연계성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297-326, 2020
29 성경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 과목의 내용 연계성 분석 -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일반사회 영역을 대상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70 : 59-82, 2017
학습 플랫폼의 원격 학습에의 적용: COVID-19 미국 캘리포니아의 교육청 사례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학생과 교사의 피드백 경험 예측요인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