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의 무용 및 스포츠 참가가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Dance and Sports Participation on Resilience and Self-Efficacy among the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6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on in dance and sports clubs on their resilience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5-6 grade students (males: N=209, females: N=210) at ten elementary schools in S City and G Province who were active in after-school sports and dance club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of the dance group children increased, showing higher sociality and self-positivity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at a significant level. That is,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dancing in a month increased, the higher their sociality and self-positivity went up. Secondly, the sports group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ilience in sociality and self-positivity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This indicate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the sports activities they participated in a month, the higher their resilience in sociality, self-positivity, and control over colony went up. Thirdly, the dance group children were found to attain significantly higher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In other words, the mo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dancing in a month, their self-confidence and task-challenge preference increased. Fourthly, the sports group children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elf-confidence and task-challenge preference, indicating that the mor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in a month, their self-confidence and task-challenge preference increas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on in dance and sports clubs on their resilience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5-6 grade students (males: N=209, females: N=210) at ten elementary schools in S City and G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on in dance and sports clubs on their resilience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5-6 grade students (males: N=209, females: N=210) at ten elementary schools in S City and G Province who were active in after-school sports and dance club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of the dance group children increased, showing higher sociality and self-positivity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at a significant level. That is,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dancing in a month increased, the higher their sociality and self-positivity went up. Secondly, the sports group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ilience in sociality and self-positivity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This indicate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the sports activities they participated in a month, the higher their resilience in sociality, self-positivity, and control over colony went up. Thirdly, the dance group children were found to attain significantly higher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In other words, the mo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dancing in a month, their self-confidence and task-challenge preference increased. Fourthly, the sports group children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elf-confidence and task-challenge preference, indicating that the mor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in a month, their self-confidence and task-challenge preference increa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남욱, "회복탄력성, 스트레스요인,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상관성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추병완, "회복탄력성" 도서출판 하우 2017

      3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2011

      4 김병준,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 12 (12): 69-90, 2001

      5 김종호, "한국 아동들의 체육수업과 신체활동 수준이 정신건강 및 학업성적과의 관련성" 21 (21): 553-570, 2012

      6 민하영, "학령기 일상적 생활스트레스개발" 19 (19): 77-96, 1998

      7 김수안, "프로야구 선수의 회복탄력성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경식, "청소년의 캠핑참가가 회복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14 (14): 48-59, 2014

      9 이신숙,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10 한정규,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63-75, 2013

      1 강남욱, "회복탄력성, 스트레스요인,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상관성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추병완, "회복탄력성" 도서출판 하우 2017

      3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2011

      4 김병준,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 12 (12): 69-90, 2001

      5 김종호, "한국 아동들의 체육수업과 신체활동 수준이 정신건강 및 학업성적과의 관련성" 21 (21): 553-570, 2012

      6 민하영, "학령기 일상적 생활스트레스개발" 19 (19): 77-96, 1998

      7 김수안, "프로야구 선수의 회복탄력성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경식, "청소년의 캠핑참가가 회복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14 (14): 48-59, 2014

      9 이신숙,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10 한정규,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63-75, 2013

      11 이주송,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참여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잠재비행의 차이"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2 양종훈, "중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9 (19): 261-271, 2010

      13 권순관, "줄넘기 운동이 아동의 건강체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4 김아영, "일반적 자기효능감 측정 설문지"

      15 신선영, "음악줄넘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6 허공숙, "음악줄넘기 운동이 중학교 여학생의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7 전현수, "엘리트스포츠 지도자들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탈진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5 (15): 33-42, 2013

      18 정용각, "에어로빅 참가자의 참여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모형 분석" 16 (16): 47-62, 2005

      19 이인화, "신체활동 참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101-111, 2012

      20 유진,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의 타당과 검정" 9 (9): 45-62, 1998

      21 임번장, "스포츠와 사회화" 2005

      22 박진성,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비만중학생의 체지방율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4 (44): 431-442, 2005

      23 김경원, "규칙적인 운동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12, 2003

      24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015-4호 별권11"

      25 Reivich, K., "The resilience factor" Broadway Books. 2003

      26 Gibbs, S., "Teachers resilience and well-being : A role for educational psychology" 20 (20): 609-621, 2014

      27 Gruber, J. J., "Physical activity and self-esteem development in children. A meta-analysis" Human Kinetics. 1986

      28 Martin, K. A., "Fitness enchancement and body image change" Guiford Press. 2012

      29 Sonsetroem, R. J., "Exercise and esteem : rationale and model" 21 : 329-337, 1998

      30 Garmezy., "Children in poverty : Resilience despite risk" 56 (56): 127-136, 1993

      31 Dunn, L. B., "A conceptual model of medical student well-being : Promoting resilience and preventing burnout" 32 (32): 44-5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12-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댄스스포츠학회 -> 한국리듬운동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DanceSport -> Korean Society for Rhythmic Exercis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