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의 방향성 탐색을 위해 교과서 수록 근대국어 자료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의 방향성 탐색을 위해 교과서 수록 근대국어 자료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
본고에서는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의 방향성 탐색을 위해 교과서 수록 근대국어 자료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실적으로 교과서 안 음운, 형태, 어휘 등의 국어사적 교육 내용은, 수록될 자료가 결정되는 순간 그 자료에 종속되어 결정되는 ‘자료종속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서 수록이 가능한 자료의 종류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바탕으로 그 국어생활사적 가치를 최대한 교육 내용 범위에 반영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우리말의 역사이기 때문에 배워야 하고 가르쳐야 한다는 논리로부터 시작하기보다는 우리말 역사를 드러내는 문헌 속 한글의 의의가 현재 우리 삶 속 한글이 가지는 의의와 먼 지점에 있지 않다는 ‘공감’과 ‘흥미’를 배경으로 음운, 형태, 어휘 등 우리말 역사에 대한 교수학습이 시작되는 것이 보다 더 교육의 수요자를 배려한 바람직한 방식임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시각 에 입각해 국어사 교육의 내용을 적절하게 선정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가지는 정전성, 시기․장르․간행 주체의 다양성 및 균형성, 교육적 가치와 학습자 흥미의 조화성, 교수학습의 위계성 등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what kinds of contents have been selected and arrang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and illuminates w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eloping the proper curriculum of it. The success in developing good content...
This paper studies what kinds of contents have been selected and arrang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and illuminates w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eloping the proper curriculum of it. The success in developing good contents critically depends on whether we are able to choose the Hangeul texts which are pedagogically valuable among the numerous Hangeul texts(i.e. text-dependency). Therefore, I analyze modern Hangeul texts, take several examples as Hangeul archives suitable for the pedagogy, and set up the criteria for how to select the cours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y are canonization of archives, balance between learner’s interest and pedagogical value, variety & balance of publisher․genre․period, hierarchy of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세형,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방향" 국어교육학회 22 (22): 325-354, 2005
2 이승희,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활용한 국어사 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19-246, 2011
3 석주연, "조선시대 한글 문헌의 간행 경위와 배포 양상 연구-'소통'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57) : 43-70, 2010
4 이호권, "조선시대 한글 문헌 간행의 시기별 경향과 특징" 한국어학회 41 : 83-114, 2008
5 석주연, "조선 시대 의학서 언해류에 나타난 분류사의 종류와 기능" 우리말글학회 51 : 29-49, 2011
6 황문환, "조선 시대 언간과 국어생활" 12 (12): 133-145, 2002
7 정재영 외, "정조대의 한글 문헌" 문헌과해석사 2002
8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正典)" 역락 2010
9 이호형, "언간을 통한 국어생활사 교육 연구 -교재화 방안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0 (40): 503-536, 2011
10 홍윤표, "어사문헌자료연구 : 근대편 1" 태학사 1993
1 주세형,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방향" 국어교육학회 22 (22): 325-354, 2005
2 이승희,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활용한 국어사 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19-246, 2011
3 석주연, "조선시대 한글 문헌의 간행 경위와 배포 양상 연구-'소통'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57) : 43-70, 2010
4 이호권, "조선시대 한글 문헌 간행의 시기별 경향과 특징" 한국어학회 41 : 83-114, 2008
5 석주연, "조선 시대 의학서 언해류에 나타난 분류사의 종류와 기능" 우리말글학회 51 : 29-49, 2011
6 황문환, "조선 시대 언간과 국어생활" 12 (12): 133-145, 2002
7 정재영 외, "정조대의 한글 문헌" 문헌과해석사 2002
8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正典)" 역락 2010
9 이호형, "언간을 통한 국어생활사 교육 연구 -교재화 방안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0 (40): 503-536, 2011
10 홍윤표, "어사문헌자료연구 : 근대편 1" 태학사 1993
11 석주연, "백련초해의 이본에 관한 비교 연구" 규장각 1999
12 정재영, "다산 정약용의 아학편" 태학사 2002
13 고규진, "다문화시대의 문학 정전(正典)"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3 (23): 83-99, 2004
14 석주연,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어" 태학사 2003
15 이상호, "국어생활사의 관점에서 본 언간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6 장윤희, "국어생활사의 관점에서 본 문학 작품의 가치" 국어국문학회 141 : 107-132, 2005
17 박형우, "국어생활사 교육의 평가 방법에 대한 시고"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145-173, 2009
18 김유범, "국어생활사 교육의 방법과 교재"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49-64, 2009
19 구본관, "국어생활사 교육 내용"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1-48, 2009
20 김영욱, "국어사교육은 필요한가" 26 : 85-110, 1998
21 장윤희, "국어사 지식과 고전문학 교육의 상관성" 한국어교육학회 108 (108): 13-400, 2002
22 안병희,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2
23 이관규, "국어사 교수 학습 내용의 체계성과 위계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20) : 407-432, 2004
24 閔賢植, "국어문화사의 내용 체계화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0 (110): 9-268, 2003
25 이도영,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국어사" 27 : 303-326, 1999
26 김은성, "국어 어문생활사 기술을 위한 시론- 자료 수집 및 분류 체계화 방안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19 (19): 439-470, 2007
27 김광해, "국어 발전의 양상" 24 : 123-146, 1996
28 구본관, "교육 내용으로서의 어휘사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1) : 77-127, 2008
29 조희정, "고전문학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2011
30 이승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국어사 단원 내용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8 (138): 147-168, 2012
『대명률직해』의 정본 확정을 위한 기초 연구 (1) - 고려대 도서관과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4-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2 | 1.345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