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is a review of nobelman’s Sijo (traditional three verse Korean poem) in the 16th century of Joseon dynasty based on <DosanSibigok> by Twegye Yihwang, <GosanGugokga> by Yulgok Yiyi and Sijo by Myunangjung Songsoon. To look in...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review of nobelman’s Sijo (traditional three verse Korean poem) in the 16th century of Joseon dynasty based on <DosanSibigok> by Twegye Yihwang, <GosanGugokga> by Yulgok Yiyi and Sijo by Myunangjung Songsoon. To look in...
This article is a review of nobelman’s Sijo (traditional three verse Korean poem) in the 16th century of Joseon dynasty based on <DosanSibigok> by Twegye Yihwang, <GosanGugokga> by Yulgok Yiyi and Sijo by Myunangjung Songsoon. To look into the traditional of ‘SangJaYeon’ and ‘PoongRyu’, it especially needs to discuss the relevance of between the two in advance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literacy and history in ‘SangJaYeon’ and ‘PoongRyu’.
In result, historically PoongRyu in Korea each suggested its superiority in Religious PoongRyu during Shila dynasty, Entertaining PoongRyu in Goryu dynasty and Confucian PoongRyu in Joseon dynasty. However, this trend has reached its peak in the 17th century and has lost any further literacy and historical momentum. Therefore, ‘SangJaYeon’ was gradually pushed out of the realm of ‘PoongRyu’ and replaced by the peripheral consciousness and interest in desire of the official world.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전기 16세기의 사대부 시조에 나타난 ‘賞自然’의 구체적인 양상을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 율곡 이이의 <고산구곡가>, 면앙정 송순의 시조 등을 중심으로 검토한 ...
이 글은 조선전기 16세기의 사대부 시조에 나타난 ‘賞自然’의 구체적인 양상을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 율곡 이이의 <고산구곡가>, 면앙정 송순의 시조 등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賞自然’을 風流의 전통에서 살피기 위해 먼저 역사적 관점에서 風流와 ‘賞自然’의 관련성을 논의하였고, 이어 이들의 시조에서 두드러진 ‘賞自然’으로서의 風流가 갖는 문학사적 의의를 조명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서 풍류는 역사적으로 신라시대에는 종교적 풍류, 고려시대에는 향락적 풍류, 조선전기에는 ‘賞自然’의 규범적 자연관에 입각한 儒學的 풍류가 각각 우세했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른바 ‘江湖歌道’로 일컬어지는 이러한 경향은 17세기 孤山에 이르러 정점을 찍은 이후, 더 이상의 문학사적 추동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자연에서 儒家的인 道를 발견하고 성정을 기른다’는 ‘賞自然’은 사대부 風流의 영역에서 점차 밀려나게 되고, 조선 후기에는 대신 그 자리를 ‘官人的 세계의 주변부 의식’과 ‘세속적 삶/욕망에 대한 관심’으로 대체되어 간다고 정리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召雍, "「觀物篇內篇10」, 「觀物篇內篇12」, 『皇極經世全書解』"
2 권상우, "한류의 정체성과 풍류정신" 한국동서철학회 (43) : 327-345, 2007
3 조지훈, "한국인과 문학사상" 일조각 1968
4 조동일, "한국사상대계, 1" 성대대동문화연구원 1973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83
6 최진원, "한국고전시가의 형상성" 성대출판부 1988
7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출판국 1980
8 신은경, "풍류-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보고사 1999
9 鈴木修次, "중국문학과 일본문학" 동경서적주식회사
10 이민홍, "조선중기 시가의 이념과 미의식" 성대출판부 1993
1 召雍, "「觀物篇內篇10」, 「觀物篇內篇12」, 『皇極經世全書解』"
2 권상우, "한류의 정체성과 풍류정신" 한국동서철학회 (43) : 327-345, 2007
3 조지훈, "한국인과 문학사상" 일조각 1968
4 조동일, "한국사상대계, 1" 성대대동문화연구원 1973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83
6 최진원, "한국고전시가의 형상성" 성대출판부 1988
7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출판국 1980
8 신은경, "풍류-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보고사 1999
9 鈴木修次, "중국문학과 일본문학" 동경서적주식회사
10 이민홍, "조선중기 시가의 이념과 미의식" 성대출판부 1993
11 윤영옥, "시조의 이해" 영남대 출판부 1986
12 정익섭, "시조론" 일조각 1978
13 손오규, "산수문학에서의 인물기흥" 반교어문학회 11 : 2000
14 이민홍, "사림파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6
15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대출판부 1977
16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대출판부 1977
17 조윤제, "국문학개설" 동국문화사 1959
18 여기현, "고전시가의 표상성" 월인 1999
19 윤영옥, "고전시가의 이념과 표상" 최진원박사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1
20 이우성, "고려말·이조초의 어부가" 성균관대학교 9 : 1964
21 이병찬, "고려가요의 자연 표상" 반교어문학회 (26) : 159-198, 2009
22 여기현, "강호인식의 한 양상" 반교어문학회 1 : 1988
23 李秉讚, "高麗歌謠의 作品構造와 自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5
24 조윤제, "韓國文學史" 동국문화사 1963
25 "退溪集"
26 洪萬宗, "詩評補遺"
27 黃俊良, "與周景游書"
28 李亨大, "漁父形象의 詩歌史的 展開와 世界認識"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29 尹昕, "溪陰漫筆"
30 李珥, "栗谷集"
31 조윤제, "朝鮮詩歌史綱" 동광당서점 1937
32 宋純, "俛仰亭集"
33 中文大辭典編纂委員會, "中文大辭典"
34 이상원, "『高山九曲詩畵屛』의 구성상 특징과 所載 詩文에 대한 검토" 국제어문학회 (31) : 87-114, 2004
35 김흥규, "16·17세기 江湖時調의 變貌와 田家時調의 形成" 안암어문학회 35 : 1996
36 김흥규, "16-19세기 양반층 시조와 그 心象空間의 변모" 한국시가학회 26 : 243-277, 2009
斗峯 李志完의 詩世界 考察 -<黃驪世稿> 소재 시를 중심으로-
와카세계를 통해 본 일본 헤이안시대 연애풍류 -헤이안시대 중기작품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9 | 0.686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