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폰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동향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 The Analysis of Trends in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d Educational 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3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applications in smartphones with some criteria seeking to apply online learning characteristics to smartphones. For the analysis, 85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s, and the combin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drill-and-practice and tool types of contents ranked high, and there found to be few simulation and problem solving types. In regard to interaction types, almost all of the applications had interactions only between contents and learners, which meant little active communications when using applications. Therefore, enhanced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learner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were required in order to u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a more effective way.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applications in smartphones with some criteria seeking to apply online learning characteristics to smartphones. For the analysis, 85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ypes of educationa...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applications in smartphones with some criteria seeking to apply online learning characteristics to smartphones. For the analysis, 85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s, and the combin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drill-and-practice and tool types of contents ranked high, and there found to be few simulation and problem solving types. In regard to interaction types, almost all of the applications had interactions only between contents and learners, which meant little active communications when using applications. Therefore, enhanced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learner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were required in order to u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a more effective w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정선, "협력적 지식창출 과정의 규명 : 활동이론을 통한 e-learning 설계안 작성 활동의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9-62, 2005

      2 강창동, "학교교육 지원을 위한 사이버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I)"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2001

      3 이홍석, "인포뱅크, 메시징서비스 전문... 스마트폰 시장 공략" 디지털 타임즈

      4 이지연, "웹기반 게시판을 활용한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유형과 지식형성 과정"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9-58, 2005

      5 조귀동, "울산과기대의 스마트폰 강의 실험...효율성 더 높아요" 한국경제

      6 "아이폰"

      7 조세경, "스마트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2 (12): 211-228, 2009

      8 "스마트폰"

      9 임걸, "마이크로블로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5 (5): 113-122, 2010

      10 한정훈, "대학가, 책 대신 스마트폰. 매일경제TV"

      1 한정선, "협력적 지식창출 과정의 규명 : 활동이론을 통한 e-learning 설계안 작성 활동의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9-62, 2005

      2 강창동, "학교교육 지원을 위한 사이버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I)"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2001

      3 이홍석, "인포뱅크, 메시징서비스 전문... 스마트폰 시장 공략" 디지털 타임즈

      4 이지연, "웹기반 게시판을 활용한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유형과 지식형성 과정"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9-58, 2005

      5 조귀동, "울산과기대의 스마트폰 강의 실험...효율성 더 높아요" 한국경제

      6 "아이폰"

      7 조세경, "스마트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2 (12): 211-228, 2009

      8 "스마트폰"

      9 임걸, "마이크로블로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5 (5): 113-122, 2010

      10 한정훈, "대학가, 책 대신 스마트폰. 매일경제TV"

      11 채주연, "국내 아이폰 판매 50만대 돌파 세계 최단기간, 한국경제TV"

      12 최세헌, "교실은 휴대폰 청정지대"

      13 임지선, "교실마다 '휴대폰 분쟁'" 경향신문

      14 박국희, "강의실에 책 대신 아이폰" 조선일보

      15 "iTtunes. Rewind 2009 : APPs. iTunes"

      16 "WhatsApp SmartPhone Messenger"

      17 Crum, C, "Twitter tweet frequency on the rise"

      18 "Twitter"

      19 Fletcher, D, "Top 10 back-to-school iPhone applications. Time"

      20 Taylor R, "The computer in the school: tutor, tool, tutee" Teachers College Press 1980

      21 Colman, D, "The Top Educational iPhone Apps. Open Culture"

      22 Christ, L, "Teachers' class promotes cell phones as next great learning tools"

      23 Borau, K, "Microblogging for language learning: Using twitter to train communicative and cultural competence" 2009

      24 Ingram, A. L, "Methods for analyzing collaboration in online communications.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2004

      25 Smith, P. L., "Instructional Design, 2nd ed" John Wiley & Sons 1999

      26 IBM Simon, "In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27 Nankani, S, "Going mobile: Debating and using cellphones in school" New York Times

      28 Moore, M. G, "Distance education: A System view"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6

      29 Reed, N, "Counting the number of twitter messages"

      30 Alessi, S, "Computer-based instruction"

      31 Gilbert, N. J,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A case study" 50 (50): 59-79, 2002

      32 Application Software, "Application Software"

      33 9 App Store Metrics, "App Store Metrics. App Store stats summary"

      34 "App Store"

      35 Stahl, G, "A model of collaborative knowledge-building" Erlbaum 2000

      36 Kang, M, "A conceptual framework for a Web-based knowledge construction support system" 41 (41): 48-53, 2001

      37 Young, J. R, "10 high fliers on twitter" 55 (55): A10-1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지털컨텐츠학회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컨텐츠학회논문지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7 0.636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