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자는 미용업 종사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난 현재, 미용사면허 발급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미용사 면허증 발급을 위한 조건들을 비교했다. 조건 분석을 위해 미용교과과정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자는 미용업 종사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난 현재, 미용사면허 발급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미용사 면허증 발급을 위한 조건들을 비교했다. 조건 분석을 위해 미용교과과정 이...
본 연구자는 미용업 종사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난 현재, 미용사면허 발급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미용사 면허증 발급을 위한 조건들을 비교했다. 조건 분석을 위해 미용교과과정 이수를 통한 면허발급과 자격증 취득을 통한 면허발급 두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미용사 면허 제도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용교과과정 이수를 통한 면허발급, 자격증 취득을 통한 면허발급 두 방법의 타당성을 비교하기 위해 세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4년제, 2년제 대학과 학원의 교과과정과 시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미용교과과정 이수를 통한 면허발급과 자격증 취득을 통한 면허발급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차이점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크게 두 가지로 이론교육 이수시간에 크게 차이를 보이는데, 미용학원 자격증 과정의 경우 실기시험에 비중을 더 두기 때문에 이론은 별도의 교육 없이 수강생 스스로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용 관련학과는 교육과정에서도 이론을 중시하기 때문에 이론 이수시간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또 다른 차이점은 교과과정이 다르다. 대부분의 미용관련 학과의 경우 미용에 해당하는 과목들을 폭넓게 배운다면, 미용학원의 경우 수강생이 취득을 원하는 자격증 과목 한 가지에 집중하여 교육하게 된다.
둘째, 학교 교과목만으로도 종합면허 발급이 타당한지를 알아본 결과는 전체 교육이수시간으로 비교했을 때, 미용학원에 비해 이수시간이 부족하다고 보일 수 있으나, 단일 자격 과정에서는 배울 수 없는 여러 종목과 실무과정 등을 폭넓게 배울 수 있고, 또한 교과과정 이수 시 컬러리스트 산업기사․기사 등 미용사를 제외한 미용 관련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권한을 얻게 된다.
셋째, 면허 발급에 따라 면허의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는 분명하게 구분된다. 자격을 통해 발급받는 면허 종류는 미용사(일반, 피부, 네일아트, 메이크업 등)은 각 면허에 해당하는 미용 시술만 가능하다. 학교졸업을 통해 발급받는 면허 종류는 미용사(종합) 면허로, 모든 미용업의 시술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경우 학업의 성과가 좋지 못해 자격이 부족한 이들에게도 무시험으로 면허가 발급되고 있으며, 학교 측에서 전공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네 가지 종목을 모두 이수하지 못해도 종합면허를 발급해주고 있어 합리적인 발급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미용업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시술을 하며, 대부분 화학제품 또는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제품사용의 미숙, 잘못된 시술 등으로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건․의료 계열과 마찬가지로 무시험 면허부여제도보다는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에 한해서 면허 시험응시의 기회를 부여하고, 시․군․구청장이 아닌 보건복지부장관이 시행하는 국가면허시험제도로 바뀌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여러 제도와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점점 발전해나가는 한국의 뷰티산업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미용업 종사자들의 능력을 인정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강화하여 미용사가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발전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