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공동체 기반 문화예술교육에서 지역 간 협력 사례의 의미* = Meaning of inter-regional collaborations in local community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vised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that went out into effect since June 2021 has been providing a new impetus for the movement of local governments to create regional support sys- tems for art and culture. Now, many people working in this field agree that it is time to look back on what has been done since the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enacted and enforced in 2006 and work toward setting direction for future.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recent voices that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op-down and service provider-centered arts education policy enforcement and stresses the need for changing direction to a bottom-up and consumer-centered approach. I will discuss local communities’ potential power in invigorating arts education practices by highlighting the extended role of local arts education agents and its meaning as reflected in a recent collaborative project initiated among local cultural organizations. First, I will review the process and the outcomes of a collaborative project initiated by three local organizations in the Southeast region. Then I will dis- cuss the implications for more sustainable arts education development in local communities and for strengthening the social foundations for a consumer-centered arts education policy.
      번역하기

      The revised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that went out into effect since June 2021 has been providing a new impetus for the movement of local governments to create regional support sys- tems for art and culture. Now, many people working in thi...

      The revised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that went out into effect since June 2021 has been providing a new impetus for the movement of local governments to create regional support sys- tems for art and culture. Now, many people working in this field agree that it is time to look back on what has been done since the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enacted and enforced in 2006 and work toward setting direction for future.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recent voices that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op-down and service provider-centered arts education policy enforcement and stresses the need for changing direction to a bottom-up and consumer-centered approach. I will discuss local communities’ potential power in invigorating arts education practices by highlighting the extended role of local arts education agents and its meaning as reflected in a recent collaborative project initiated among local cultural organizations. First, I will review the process and the outcomes of a collaborative project initiated by three local organizations in the Southeast region. Then I will dis- cuss the implications for more sustainable arts education development in local communities and for strengthening the social foundations for a consumer-centered arts education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21년 6월부터 시행된 개정 <지역문화진흥법>은 지역의 문화예술생태계 조성을 위한 각 지자체의 움직임 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2006년에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시행된 이후 첫 십년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던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은 2014년에 <지역문화진흥법>의 제정으로 전반적인 정책 시행구조와 현장에 변화를 모색하는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 글에서는 당시에 논의되었던 중앙정부 주도의 공급자 중심 문화예술교육사업의 한계와 지역의 요구에 부응하는 수요자 중심으로의 정책적 전환에 대한 필요성에 주목하 면서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 참여실행연구의 형태로 진행된 동남권의 세 개 주요 지역 간 협력으로 추진된 지역공동브랜드 사업개발연 구를 검토하면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동주체들의 역할과 그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먼저 지속가능한 지역 공동체기반 문화예술교육사업 개발을 목적으로, 부산, 울산, 경남 세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센터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지역 공동브랜드 사업의 개발과정과 결과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지역의 활동주체들의 주도적 인 실천노력이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요자 중심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와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 반 강화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2021년 6월부터 시행된 개정 <지역문화진흥법>은 지역의 문화예술생태계 조성을 위한 각 지자체의 움직임 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2006년에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시행된 ...

      2021년 6월부터 시행된 개정 <지역문화진흥법>은 지역의 문화예술생태계 조성을 위한 각 지자체의 움직임 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2006년에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시행된 이후 첫 십년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던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은 2014년에 <지역문화진흥법>의 제정으로 전반적인 정책 시행구조와 현장에 변화를 모색하는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 글에서는 당시에 논의되었던 중앙정부 주도의 공급자 중심 문화예술교육사업의 한계와 지역의 요구에 부응하는 수요자 중심으로의 정책적 전환에 대한 필요성에 주목하 면서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 참여실행연구의 형태로 진행된 동남권의 세 개 주요 지역 간 협력으로 추진된 지역공동브랜드 사업개발연 구를 검토하면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동주체들의 역할과 그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먼저 지속가능한 지역 공동체기반 문화예술교육사업 개발을 목적으로, 부산, 울산, 경남 세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센터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지역 공동브랜드 사업의 개발과정과 결과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지역의 활동주체들의 주도적 인 실천노력이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요자 중심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와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 반 강화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민선, "학교자치 실현을 위한 교육 거버넌스 혁신의 과제: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여름) : 56-65, 2017

      2 박신자,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199-208, 2010

      3 최성희, "학교 미술교육과 지역연계: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37-70, 2018

      4 임학순, "프로그램을 넘어 시스템으로, 2016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 기고문"

      5 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코로나19 이후 국내외 비대면 문화예술 동향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2021년도 정책연구센터 상반기 동향리포트"

      6 조정윤, "지역에서 해답을 찾는 전환의 시기, 문화예술교육포럼 ʻ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현재와 미래ʼ"

      7 손동혁,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제 시작이다! 지역문화진흥법-지역재단의 역할과 가능성"

      8 라도삼, "지역문화진흥법 쟁점과 개선점, 예술경영 vol.486"

      9 임학순, "지역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7-19, 2015

      10 이춘하, "지역문화예술교육 실행을 위한 구체적 검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1-31, 2015

      1 최민선, "학교자치 실현을 위한 교육 거버넌스 혁신의 과제: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여름) : 56-65, 2017

      2 박신자,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199-208, 2010

      3 최성희, "학교 미술교육과 지역연계: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37-70, 2018

      4 임학순, "프로그램을 넘어 시스템으로, 2016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 기고문"

      5 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코로나19 이후 국내외 비대면 문화예술 동향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2021년도 정책연구센터 상반기 동향리포트"

      6 조정윤, "지역에서 해답을 찾는 전환의 시기, 문화예술교육포럼 ʻ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현재와 미래ʼ"

      7 손동혁,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제 시작이다! 지역문화진흥법-지역재단의 역할과 가능성"

      8 라도삼, "지역문화진흥법 쟁점과 개선점, 예술경영 vol.486"

      9 임학순, "지역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7-19, 2015

      10 이춘하, "지역문화예술교육 실행을 위한 구체적 검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1-31, 2015

      11 류윤호, "지역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태조사 연구 추진"

      12 행정안전부, "자치분권 로드맵(안). 정책자료"

      13 송호영, "예술교육 관련 법령의 비교·분석: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6 (16): 1-17, 2018

      14 박수아, "시대적 요구를 담은 문화예술교육 정책: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흐름과 동향"

      15 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부울경 광역문화재단 협의회 출범: 지역문화 혁신 포럼, 2021년도정책연구센터 제 2차 열린포럼 자료집"

      16 백경미, "부산·울산·경남 지역 공동브랜드 사업개발 성과" 울산과학기술원 2015

      17 지식정보R&D센터, "문화자치,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움직임: 2021년 7월 문화예술교육 정책 동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8 이선옥, "모색과 시도는 계속되어야 한다, 2016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 기고문"

      1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20 문화체육관광부,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 등 3개 제정안 및「국민체육진흥법」등 3개 개정안 오늘 국회 본회의 통과"

      21 백경미, "‘예술이음’ 정책에 의한 학교예술교육의 변화"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14, 2020

      22 김수재, "ʻ지역 문화예술교육과 문화복지 발전 방향"

      23 김진경, "2030 미래교육체제의 방향과 주요정책의제" 26-55, 2019

      24 교육부, "2019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계획"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