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철/망간산화물 다층박막들을 펄스 레이저 증착기법으로 성장시켰다. 소각 입사 X-선 반사율 측정결과 뚜렷한 다층박막 Bragg peak들이 보임으로써 시료가 좋은 층상구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27420
1999
Korean
KCI우수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213-217(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철/망간산화물 다층박막들을 펄스 레이저 증착기법으로 성장시켰다. 소각 입사 X-선 반사율 측정결과 뚜렷한 다층박막 Bragg peak들이 보임으로써 시료가 좋은 층상구조...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철/망간산화물 다층박막들을 펄스 레이저 증착기법으로 성장시켰다. 소각 입사 X-선 반사율 측정결과 뚜렷한 다층박막 Bragg peak들이 보임으로써 시료가 좋은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분석하여 정량적인 구조변수를 얻었다. 또한 MnO의 (111)면에 해당하는 X-선 회절 peak를 통해 망간산화물은 대부분 MnO 형태로 존재함을 알았다. 이러한 Mn+²의 자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XMCD를 측정하였으며, 계면근처에서 MnO의 자기모멘트는 Fe과는 반대방향으로 정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e/MnO multilayers with different bilayer thicknesses were grown by pulsed laser deposition method. Grazing incidence X-ray reflectivity results showed obvious multilayer Bragg peaks implying highly layered samples and, through their analysis, some st...
Fe/MnO multilayers with different bilayer thicknesses were grown by pulsed laser deposition method. Grazing incidence X-ray reflectivity results showed obvious multilayer Bragg peaks implying highly layered samples and, through their analysis, some structural parameters were quantitatively estimated. From the X-ray diffraction peak corresponding to MnO(111), Mn-oxide turned out to be dominantly MnO. To characterize the magnetic properties of Mn+², XMCD were carried out. Magnetic moments of MnO near interfaces were orde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ose of Fe.
목차 (Table of Contents)
Oxygen diffusion on W(110) : Comparison of experiment and theory
진공증착법에 의해 제조된 PVDF 박막의 전기전도현상과 열자격전류에 관한 연구
진공증착법을 이용한 최적의 압전성 유기 박막의 제조와 스위치 특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