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헌법상 스포츠권과 스포츠가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Right of Sports in the Constitution and The Effect of Sports on International Re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7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orts,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re closely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politics. Especially since sports organization forms an anarchic political structur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is in charge of representing the nation, governmental approach and solution may solve difficult tasks in terms of sports interchange. Therefore, sports within international relations are means of communication as the universal language in contacting among the people, and has a positive effect of promoting friendly relations of the people, which reduces war and plays the role of an exit from offen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ports affect international relations. The specific goals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concept and history of sports and second, how sports were us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ird, it was to examine how sports affect international relations in negative and positive sides.
      As a result, sports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generally have following effects: first, they affect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peace; second, they enhance the national glory; and third, they act as a diplomatic protest and tool.
      However, negative effects of sports o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they cause unevennes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ster negative image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are used as the means of enhancing colonization.
      On the other hand, positive effects of ports on international relations are the following: they induce dispute prevention and democratic peace, produce the environment to improve international relations, are significant means of foreign policy, and act as a channel for mutual interchange among nations.
      In order for sports to correspond more effectively in international relations, sports interchange of international sports such as international tournaments and sports science academic contests must be actively induced. Also, relative policy makers, leaders and scholars must direct all their strengths in gathering necessary information that affects international relations due to sports and in learning international sense by constantly participating.
      번역하기

      Sports,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re closely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politics. Especially since sports organization forms an anarchic political structur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is in charge of representing the nation, gover...

      Sports,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re closely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politics. Especially since sports organization forms an anarchic political structur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is in charge of representing the nation, governmental approach and solution may solve difficult tasks in terms of sports interchange. Therefore, sports within international relations are means of communication as the universal language in contacting among the people, and has a positive effect of promoting friendly relations of the people, which reduces war and plays the role of an exit from offen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ports affect international relations. The specific goals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concept and history of sports and second, how sports were us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ird, it was to examine how sports affect international relations in negative and positive sides.
      As a result, sports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generally have following effects: first, they affect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peace; second, they enhance the national glory; and third, they act as a diplomatic protest and tool.
      However, negative effects of sports o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they cause unevennes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ster negative image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are used as the means of enhancing colonization.
      On the other hand, positive effects of ports on international relations are the following: they induce dispute prevention and democratic peace, produce the environment to improve international relations, are significant means of foreign policy, and act as a channel for mutual interchange among nations.
      In order for sports to correspond more effectively in international relations, sports interchange of international sports such as international tournaments and sports science academic contests must be actively induced. Also, relative policy makers, leaders and scholars must direct all their strengths in gathering necessary information that affects international relations due to sports and in learning international sense by constantly participa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제관계하에서의 스포츠는 국제정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스포츠 조직이 국제사회에서 하나의 무정부적 정치체제를 이루고 국가를 대표하는 기능을 담당함에 따라 정부차원의 접근과 해결이 어려운 과제를 스포츠 교류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제관계에서 스포츠는 국민들 간의 접촉과정에서 만국공통어로써 의사전달의 수단이 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효과로서 국민들의 우호적인 관계를 증진시켜 전쟁을 줄이고 공격성에 대한 출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가 국제관계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스포츠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스포츠가 국제관계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스포츠가 국제관계에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측면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스포츠는 국제관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첫째, 국제적인 이해 및 평화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국위선양도 하며, 셋째, 외교적 항의와 외교적 도구로서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스포츠의 국제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국제관계의 불균등을 초래하고, 국가간의 이해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조장하며, 식민지배의 강화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것이다.
      반면 스포츠의 국제관계에 대한 긍정적 영향으로는 분쟁방지와 민주적 평화를 유도하며, 국제관계의 개선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외교정책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국가 간의 상호교류를 위한 채널로서의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스포츠가 국제관계에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각종 국제 대회 및 스포츠 과학 학술대회 등과 같은 국제적 스포츠의 스포츠 교류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도록 하며, 관련 정책 입안가나 지도자, 학자 도한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스포츠로 인한 국제관계에 영향을 주는 필요한 정보수집 및 국제적 감각의 체득에 총력을 기울려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국제관계하에서의 스포츠는 국제정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스포츠 조직이 국제사회에서 하나의 무정부적 정치체제를 이루고 국가를 대표하는 기능을 담당함에 따라 정부차원...

      국제관계하에서의 스포츠는 국제정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스포츠 조직이 국제사회에서 하나의 무정부적 정치체제를 이루고 국가를 대표하는 기능을 담당함에 따라 정부차원의 접근과 해결이 어려운 과제를 스포츠 교류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제관계에서 스포츠는 국민들 간의 접촉과정에서 만국공통어로써 의사전달의 수단이 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효과로서 국민들의 우호적인 관계를 증진시켜 전쟁을 줄이고 공격성에 대한 출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가 국제관계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스포츠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스포츠가 국제관계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스포츠가 국제관계에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측면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스포츠는 국제관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첫째, 국제적인 이해 및 평화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국위선양도 하며, 셋째, 외교적 항의와 외교적 도구로서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스포츠의 국제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국제관계의 불균등을 초래하고, 국가간의 이해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조장하며, 식민지배의 강화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것이다.
      반면 스포츠의 국제관계에 대한 긍정적 영향으로는 분쟁방지와 민주적 평화를 유도하며, 국제관계의 개선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외교정책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국가 간의 상호교류를 위한 채널로서의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스포츠가 국제관계에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각종 국제 대회 및 스포츠 과학 학술대회 등과 같은 국제적 스포츠의 스포츠 교류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도록 하며, 관련 정책 입안가나 지도자, 학자 도한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스포츠로 인한 국제관계에 영향을 주는 필요한 정보수집 및 국제적 감각의 체득에 총력을 기울려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병길, "현대체육의 이해" 건국대학교출판부 52-, 1999

      2 구창모, "현대스포츠와 환경-환경사회학적인 변인을 중심으로-" 36 (36): 105-109, 1997

      3 박병철, "평화에 대한 국제관계이론: 신자유제도주의적 접근" 16 : 56-, 2004

      4 김선동, "우리나라 통일과정에서 스포츠교류의 역할-독일 통일과정의 함의-" 40 (40): 3-18, 2001

      5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문고 60-, 2003

      6 홍남기, "스포츠와 태권도를 통한 선교"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7 박진경, "스포츠와 법" 관동대학교 432-467, 1997

      8 김상구, "스포츠와 노동시장에 관한 고찰-운동선수를 중심으로-" 31 (31): 255-265, 1986

      9 서울대학교, "스포츠와 국제관계"

      10 김동건, "스포츠교류의 국제관계와 남북한 관계의 비교연구" 13 (13): 8-15, 1995

      1 강병길, "현대체육의 이해" 건국대학교출판부 52-, 1999

      2 구창모, "현대스포츠와 환경-환경사회학적인 변인을 중심으로-" 36 (36): 105-109, 1997

      3 박병철, "평화에 대한 국제관계이론: 신자유제도주의적 접근" 16 : 56-, 2004

      4 김선동, "우리나라 통일과정에서 스포츠교류의 역할-독일 통일과정의 함의-" 40 (40): 3-18, 2001

      5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문고 60-, 2003

      6 홍남기, "스포츠와 태권도를 통한 선교"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7 박진경, "스포츠와 법" 관동대학교 432-467, 1997

      8 김상구, "스포츠와 노동시장에 관한 고찰-운동선수를 중심으로-" 31 (31): 255-265, 1986

      9 서울대학교, "스포츠와 국제관계"

      10 김동건, "스포츠교류의 국제관계와 남북한 관계의 비교연구" 13 (13): 8-15, 1995

      11 김융길, "스포츠관의 변천에 관하여" 13 : 238-, 1995

      12 정성범, "스포츠가 지방자치단체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227-247, 2007

      13 한왕택, "스포츠 산업학 개론" 도서출판 태근 23-, 1997

      14 정희준, "세계화 과정 속의 한국프로스포츠: 그 현실과 미래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39 (39): 242-253, 2000

      15 이상철, "북한 선수단의 국제종합경기 참가와 국가발전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499-510, 2004

      16 조규상, "미디어 스포츠와 국제스포츠관계를 통한 국가주의의 조망"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235-246, 2004

      17 Hebert, M. Fischer, "동서독 체육교류가 독일통일에 미친 영향" 남북체육교류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1992

      18 "대한체육회"

      19 박영철, "국제활동과 스포츠와의 관계" 1 (1): 108-112, 2002

      20 김학준, "국제평화를 위한 스포츠 역할" 75 : 14-18, 2002

      21 정주섭, "국제관계이론의 고전적 전통과 변화양상" (1) : 87-94, 1989

      22 이근모, "국제경기를 통한 스포츠 산업의 활성화방안" (14) : 175-182, 1998

      23 박영옥, "경제산업환경 변화와 스포츠 산업정책의 과제" 체육과학연구원 21-27, 2008

      24 "http://www.sports.or.kr/kskoc.sport."

      25 "http://korean.trex2008.co.kr/"

      26 "http://daemisoda.blogspot.com/"

      27 Gets, D. Trends, "Strategies, and Issues in Sports-Event Tourism" 7 (7): 8-13, 1998

      28 Wanger, E, "Sports in Asia and Africa : Americanization or Mundialization?" 7 : 399-402, 1990

      29 Guttman, A, "Sports diffusion : A Response to Maguire and the Americanization commentaries" 8 : 185-190, 1991

      30 Sie, S. C, "Sports and Politics ; The Case of the Asian Games and the GANEFO, in Sport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tipes Pub, co. 279-296, 1991

      31 Luschen, G, "Sports Culture and Society" Macmillian 1969

      32 Nixon, Frey, J, "Sociology of Spor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6

      33 Boyle, R, "Power Play-Sports, the Media &Popular Culture" Longman 2-18, 2000

      34 Houlihan, B, "Homogenization, Americanization, and Creolizatin of Sports : Varieties of Globalization" 11 : 356-375, 1994

      35 Leonard, W. M, "A Sociological Perspective of Sports" Macmillian 1988

      36 이흥석, "21세기 스포츠 산업의 전망과 우리의 과제-스포츠 산업의 육성방안" 3-32,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