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엔터테인먼트분야의 새로운 법적 과제 -게임물, 퍼블리시티권 그리고 표현의 자유-미국의 판례가 주는 교훈들 = Current Issues in Entertainment Law: Video games, Publicity Rights and Freedom of Speech -What U.S. Cases Teach 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7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me industry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industry with its huge population of users. However, the study with respect to legal issues in this area to date is clearly insufficient in Korea.
      Thus, it is imminent that we examine regulative issues that could arise in the game industry, as a current task at hand in Entertainment law. To complete this mission, it is necessary that we study U.S. common law and statutes, and the purpose and reasons behind such relating to the game industry.
      In this article, we will first explore Freedom of Speech under First Amendment and publicity rights. Then, the article will review U.S. cases with respect to such rights that involve games.
      Based upon such study, I would like to find the lesson that U.S. law teaches us in shaping the law and solving legal issues in relation to the game industry.
      번역하기

      Game industry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industry with its huge population of users. However, the study with respect to legal issues in this area to date is clearly insufficient in Korea. Thus, it is imminent that we examine regulative issues that ...

      Game industry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industry with its huge population of users. However, the study with respect to legal issues in this area to date is clearly insufficient in Korea.
      Thus, it is imminent that we examine regulative issues that could arise in the game industry, as a current task at hand in Entertainment law. To complete this mission, it is necessary that we study U.S. common law and statutes, and the purpose and reasons behind such relating to the game industry.
      In this article, we will first explore Freedom of Speech under First Amendment and publicity rights. Then, the article will review U.S. cases with respect to such rights that involve games.
      Based upon such study, I would like to find the lesson that U.S. law teaches us in shaping the law and solving legal issues in relation to the game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게임 산업은 디지털 문화 콘텐츠 중 최고의 규모와 사용자를 자랑하는 산업이다. 그 산업의 성장 속도나 시장 규모를 보더라도 게임물은 문화산업 중 큰 축을 이루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이지만, 이 분야에 대한 규범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법적 과제로서 게임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규범적인 문제들을 고찰해보아 향후 바람직한 법적 틀을 고안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보다 먼저 게임물에 적용될 수 있는 보통법(common law)과 법 규정(statutes)을 만들어 낸 미국의 입법례와 그 법의 의미, 관련법을 만든 과정 등을 반드시 살펴보는 것이 불가피하다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게임과 관련된 주요 법적 개념인 미국 수정헌법 제1조 상의 표현의 자유와 미국에서 발생된 퍼블리시티권에 대하여 알아본 다음, 현재 미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표현의 자유와 퍼블리시티권 관련 주요 판례들을 차례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법에 있어서도 좀 더 균형적이고 공익적인 해결의 틀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게임 산업은 디지털 문화 콘텐츠 중 최고의 규모와 사용자를 자랑하는 산업이다. 그 산업의 성장 속도나 시장 규모를 보더라도 게임물은 문화산업 중 큰 축을 이루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분...

      게임 산업은 디지털 문화 콘텐츠 중 최고의 규모와 사용자를 자랑하는 산업이다. 그 산업의 성장 속도나 시장 규모를 보더라도 게임물은 문화산업 중 큰 축을 이루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이지만, 이 분야에 대한 규범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법적 과제로서 게임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규범적인 문제들을 고찰해보아 향후 바람직한 법적 틀을 고안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보다 먼저 게임물에 적용될 수 있는 보통법(common law)과 법 규정(statutes)을 만들어 낸 미국의 입법례와 그 법의 의미, 관련법을 만든 과정 등을 반드시 살펴보는 것이 불가피하다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게임과 관련된 주요 법적 개념인 미국 수정헌법 제1조 상의 표현의 자유와 미국에서 발생된 퍼블리시티권에 대하여 알아본 다음, 현재 미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표현의 자유와 퍼블리시티권 관련 주요 판례들을 차례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법에 있어서도 좀 더 균형적이고 공익적인 해결의 틀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시아 투데이, "아시아 투데이, 3월 19일자 기사."

      2 아시아 투데이, "아시아 투데이 3월 19일자 기사."

      3 디지털 타임즈, "디지털 타임즈 2009년 2월 10일자 기사."

      4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1/17/2009011700167.html"

      5 "http://en.wikipedia.org/wiki/Fantasy_baseball"

      6 "http://en.wikipedia.org/wiki/Fantasy_baseball"

      7 Gregory Kenyota, "Thinking of the Children: The Failure of Violent Video Game Laws, Fordam Intellectual Proeprty, Media and Entertainment Law, 18 Fordam Intell" 18 : 785-, 2008

      8 Richard T. Karcher, "The Use of players' Identities in Fantasy Sports Leagues: Developing Workable Standards for Right of Publici쇼 Claims" 111 : 557-, 2007

      9 McCarthy, "The Rights of Publicity and Privacy"

      10 Johnson, "The Right of Publicity Gets Left Out in C.B.C. Distribution & Marketing v. Major League Baseball Advanced Media, L.P." 14 : 77-, 2007

      1 아시아 투데이, "아시아 투데이, 3월 19일자 기사."

      2 아시아 투데이, "아시아 투데이 3월 19일자 기사."

      3 디지털 타임즈, "디지털 타임즈 2009년 2월 10일자 기사."

      4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1/17/2009011700167.html"

      5 "http://en.wikipedia.org/wiki/Fantasy_baseball"

      6 "http://en.wikipedia.org/wiki/Fantasy_baseball"

      7 Gregory Kenyota, "Thinking of the Children: The Failure of Violent Video Game Laws, Fordam Intellectual Proeprty, Media and Entertainment Law, 18 Fordam Intell" 18 : 785-, 2008

      8 Richard T. Karcher, "The Use of players' Identities in Fantasy Sports Leagues: Developing Workable Standards for Right of Publici쇼 Claims" 111 : 557-, 2007

      9 McCarthy, "The Rights of Publicity and Privacy"

      10 Johnson, "The Right of Publicity Gets Left Out in C.B.C. Distribution & Marketing v. Major League Baseball Advanced Media, L.P." 14 : 77-, 2007

      11 Business Week, "The Power of Gaming"

      12 Mark G. Tratos, "The Impact of the Internet Media and Digital Media on the Entertainment Industry" PLI Counseling Client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176-, 2007

      13 Ryan T. Holte, "The Freedom to Imagine Fantasy Sports: Applying New Ideas in Copyright Law to Professional Athletes' Right of Publicity" 54 : 771-, 2007

      14 Daniel Farber, "The First Amendment" The Foundation Press 1-, 2008

      15 Maureen C. Weston, "The Fantasy of Athlete Publicity Rights: Public Fascination and Fantasy Sports' Assertion of Free Use Place Athlete Publicity Rights on an Uncertain playing Field" 11 : 581-, 2008

      16 Maureen C. Weston, "The Fantasy of Athlete Publicity Rights: Public Fascination and Fantasy Sports' Assertion of Free Use Place Athlete Publicity Rights on an Uncertain playing Field" 11 : 571-586,

      17 T. Barton Cater, "Mass Communications Law" Thomson West 4-, 2007

      18 Claudia Isler, "Individual Rights and Civic Responsibility, The Right to Free Speech" Rosen Publishing Group 11-, 2001

      19 "Harvard Law review"

      20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2007-2011."

      21 A.L.R, "First Amendment Protection Afforded to Commercial and Home Video Games"

      22 Robert Freeman, "Fantasy Meets reality : Examining ownership Rights in Player Statistics, entertainment and Sports Lawyer" 23 : 7-, 2006

      23 Epstein, Torts, "Aspen Law and Business"

      24 Nibroski, "Are Computer-generated Movie Stars a Possibility?" 24 : 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