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육영공원 입원생의 사회적 배경을 통해 전통사회에서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새로운 학교에 진학한 인물들을 유형화하여 이들의 입학동기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육영공원 입원생의 사회적 배경을 통해 전통사회에서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새로운 학교에 진학한 인물들을 유형화하여 이들의 입학동기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내...
이 글에서는 육영공원 입원생의 사회적 배경을 통해 전통사회에서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새로운 학교에 진학한 인물들을 유형화하여 이들의 입학동기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육영공원 좌원생은 대체로 문과에 합격하여 육영공원 입원 전후에 전형적인 문관에 해당하는 관직을 수행하는 한편 육영공원 우원생은 문과, 소과, 잡과 등에 합격하였고, 육영공원 입원 이후에 문관 및 신제관료로 진출하는 등 다양한 이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육영공원 좌원생은 문과 출신 문관의 자제가 전체 인원의 70%로 대체로 동질한 집단이었다. 육영공원 우원생은 비교적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졌으나 문과 출신 문관의 자제와 신제관료의 자제가 각각 전체 인원의 9.4%로 가장 많은 인원이 해당되었다. 세 번째, 육영공원 입원생의 개인정보와 부친정보 등을 고려하여 ‘1유형: 좌원생으로 입원하여 좌원으로 감하한 인물들’, ‘2유형: 우원생으로 입원한 이후 좌원생으로 승원한 인물들’, ‘3유형: 우원생으로 문과에 합격하였으나 좌원생으로 승원하지 않은 인물들’, ‘4유형: 우원생 중 기술관 가계 출신 인물들’ 등 4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1유형부터 3유형까지 해당하는 인물들은 새로운 교육기관을 통해 대체로 고위 관료로의 진출 가능성을 선점하고자 하였고, 4유형의 인물들은 가계의 가업과 재능을 활용하여 기술관 이외에 더 다양한 범주의 진로를 모색하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역대인물 홈페이지"
2 구희진, "한국 근대개혁기의 교육론과 교육개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경미, "육영공원의 운영방식과 학원의 학습 실태" 21 : 571-593, 1999
4 류방란, "육영공원소고" 4 : 121-136, 1992
5 오성철,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2000
6 "승정원일기"
7 전상숙 ; 노상균, "병합 이전 한국 정부의 근대적 교육체제 개혁과 관학"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2 (12): 87-112, 2013
8 우현정, "고종 대(1863-1907)관립 외국어교육기관 출신자 연구" 충남대학교 2020
9 이광숙, "개화기의 외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10 김경용, "갑오경장 이후 성균관경학과와 經義問對 연구" 교육사학회 21 (21): 1-37, 2011
1 "한국역대인물 홈페이지"
2 구희진, "한국 근대개혁기의 교육론과 교육개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경미, "육영공원의 운영방식과 학원의 학습 실태" 21 : 571-593, 1999
4 류방란, "육영공원소고" 4 : 121-136, 1992
5 오성철,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2000
6 "승정원일기"
7 전상숙 ; 노상균, "병합 이전 한국 정부의 근대적 교육체제 개혁과 관학"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2 (12): 87-112, 2013
8 우현정, "고종 대(1863-1907)관립 외국어교육기관 출신자 연구" 충남대학교 2020
9 이광숙, "개화기의 외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10 김경용, "갑오경장 이후 성균관경학과와 經義問對 연구" 교육사학회 21 (21): 1-37, 2011
11 구희진, "갑오개혁 전후 전통교육제도에 대한 정책" 역사교육연구회 (100) : 195-233, 2006
12 金京美, "갑오개혁 전후 교육정책 전개과정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13 "育英公院謄錄"
14 "育英公院日錄"
15 김경용, "更張期 朝鮮, 관리등용제도 개혁과 成均館經學科" 한국교육사학회 31 (31): 7-30, 2009
16 "完薦記"
17 김경용, "『育英公院日錄』 연구" 교육사학회 20 (20): 25-82, 2010
18 김경용, "19세기말 更張期 朝鮮의 교육개혁과 『官學院錄』" 교육사학회 18 (18): 1-38, 2008
19 유정화, "19세기 한·중·일 근대 통번역 교육제도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2011
20 이선미, "1880년대 조선의 영어통역관 양성" 7 : 71-125, 2003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특성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이 지각한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 및 학업 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
Q 방법론을 활용한 청소년 비대면 상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