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발아현미의 이화학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25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벼 품종들 중 일부 품종들에 대하여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품질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조사되어진 품종들의 발아율은 96.0% 이상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현미...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벼 품종들 중 일부 품종들에 대하여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품질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조사되어진 품종들의 발아율은 96.0% 이상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현미 청해진미가 9.48%로서 가장 높았으며 조사되어진 현미와 발아현미 품종들의 식이섬유 함량은 각각 6.67∼7.82%와 7.15∼9.91% 수준이었다. 아밀로스 함량은 해오르미를 제외하고는 현미보다 발아현미에서 높았다. RVA 측정 결과, 호화온도는 거의 비슷한 온도(67.97∼68.03 ℃)이었으며 최고점도는 현미 세계진미로서 204.92 RVU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강하점도의 경우 발아현미 영호진미로서 9.36 RVU로 가장 낮게 측정되어 가공시 안정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반점도는 현미 영호진미로서 15.80 RVU로서 조사되어진 품종들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식감변화를 보면 세계진미와 청해진미는 현미와 발아현미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영호진미와 해오르미는 발아현미밥에서 찰기와 부착성이 증대되어 전반적으로 부드러워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영호진미는 경도와 끈기가 감소하여 부드러워지고 찰기와 부착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되어 식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어 발아현미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BR) and germinated brown rice (GBR) in Korea. The protein content of B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BR. The amylose content of BR and GBR ranged from 17.42 to 18.48% and fro...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BR) and germinated brown rice (GBR) in Korea. The protein content of B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BR. The amylose content of BR and GBR ranged from 17.42 to 18.48% and from 17.50 to 19.69%, respectively. The GBR contained higher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than that of BR. In an RVA examination, pasting temperatures of BR and GBR were 67.97∼68.03℃. Texture analysis test showed that GBR Yeonghojinmihad the lowest hardness and highest stick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compared to BR, GBR has a much softer texture, improved eating quality and increased GABA cont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숙, "현미와 백미의 품종별 무기질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443-446, 2004

      2 김미숙, "현미와 백미의 품종간 아미노산 조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385-1389, 2003

      3 이화, "키토산을 처리한 발아현미의 기능성분 증대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985-991, 2008

      4 송영은, "전라북도 브랜드 쌀과 국내 및 수입 유통쌀의 품질 특성 비교" 한국작물학회 53 (53): 347-352, 2008

      5 박찬은, "유통중인 쌀의 호화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401-406, 2011

      6 전건욱, "열처리와 한약재 추출물이 발아현미의 G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54-158, 2010

      7 서선정,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9-135, 2008

      8 최인덕,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 쌀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13-1319, 2010

      9 최인덕,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 쌀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13-1319, 2010

      10 김완수, "쌀의 저장기간에 따른 쌀가루와 생전분의 특성" 한국생활과학회 14 (14): 1037-1046, 2005

      1 김미숙, "현미와 백미의 품종별 무기질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443-446, 2004

      2 김미숙, "현미와 백미의 품종간 아미노산 조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385-1389, 2003

      3 이화, "키토산을 처리한 발아현미의 기능성분 증대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985-991, 2008

      4 송영은, "전라북도 브랜드 쌀과 국내 및 수입 유통쌀의 품질 특성 비교" 한국작물학회 53 (53): 347-352, 2008

      5 박찬은, "유통중인 쌀의 호화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401-406, 2011

      6 전건욱, "열처리와 한약재 추출물이 발아현미의 G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54-158, 2010

      7 서선정,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9-135, 2008

      8 최인덕,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 쌀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13-1319, 2010

      9 최인덕,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 쌀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13-1319, 2010

      10 김완수, "쌀의 저장기간에 따른 쌀가루와 생전분의 특성" 한국생활과학회 14 (14): 1037-1046, 2005

      11 최정숙, "쌀 품종별 백미와 현미의 영양성분 조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1 (31): 885-892, 2002

      12 김혜련, "쌀 가공제품을 위한 다양한 쌀의 품질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3 (43): 142-148, 2011

      13 우관식, "수원 511호와 일품쌀의 항산화성분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23-1230, 2008

      14 박종대, "발아시킨 현미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182-188, 2004

      15 오석흥, "글루탐산 용액 처리에 따른 발아현미 중의 감마-아미노낙산 및 일부 아미노산 함량변화" 한국생물공학회 17 (17): 49-53, 2002

      16 Won JG, "Yearly variation of rice quality in Gyeongbuk province" 50 : 69-76, 2005

      17 Son JR, "Trend and further research of rice quality evaluation" 47 : 33-54, 2002

      18 Mo KH, "The change of some compounds in brown rice germinated by filtrate of loess suspension" 40 : 41-48, 2006

      19 Oh YS, "Study on nutritional properties of sprouting brown rice" Kongju Nation University 2002

      20 Lee MH, "Rice quality and eating quality evalu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75-102, 2002

      21 Suzuki K, "Relation between chain-length distributions of waxy rice amylopectins and physical properties of rice grains" 53 : 227-232, 2006

      22 Juliano BO,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AACC 1985

      23 Kim SS,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brown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enzyme food" 30 : 1107-1113, 1998

      24 Kumar S, "Metabolic fate of glutamate and evaluation of flux through the 4-aminobutyrate (GABA) shunt in Aspergillus niger" 67 : 575-584, 2000

      25 Cho DH, "Health functions and utilization products of germinated brown rice" 44 : 76-86, 2011

      26 Kim SL,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46 : 221-228, 2001

      27 Kim SL,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46 : 221-228, 2001

      28 Heon Sang Jeong,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한국식품과학회 16 (16): 1006-1010, 2007

      29 Ohtsubo K, "Bio-functional components in the processed per-germinated brown rice by a twin-screw extruder" 18 : 303-316, 2005

      30 Heu MH,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se IV. Effect of short-day and high-temperature treatment on the amylos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rice" 14 : 129-133, 1974

      31 "Applications Manual for the Rapid Visco TM Analyser" Newport Scientific Pty., Ltd. 13-15, 1998

      32 Ham XZ, "Amylopectin fine structure and rice starch paste breakdown" 34 : 279-284, 2001

      33 Zhout Z, "Aging of stored rice: changes in chemical and physical attributes" 35 : 65-78, 2002

      34 Kinefuchi M, "Accumulation of GABA in brown rice by high pressure treatment" 46 : 323-328, 1999

      35 Liu HJ, "A study on the effect of storage condition upon rice quality (Part 1)" 64 : 52-6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