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육성 팝콘 옥수수 품종별 영양성분 분석 연구 = Study of Nutrient Analysis by Specie of Domestically Cultivated Popcor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5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nutrients of a total of 4 species of popcorn, Oryun Popcorn, Oryun Popcorn 2, GPopcorn and Gichan Popcorn, cultivated in Gangwon-do,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ntents of these products, including their general ingredients, in...

      In this study, the nutrients of a total of 4 species of popcorn, Oryun Popcorn, Oryun Popcorn 2, GPopcorn and Gichan Popcorn, cultivated in Gangwon-do,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ntents of these products, including their general ingredients, inorganic substances, fatty acids, reducing sugar and starch, were analyzed. The moisture, crude ash and crude fat content of the dried popcorn species were 11.54-12.54%, 0.97-1.45% and 2.48-2.62%,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9.68-11.75%. As for inorganic substances, the potassium and phosphorus content were the highest. Potassium was 228.25-310.46 mg/100g and was the highest in Oryun Popcorn, and the content of phosphorus was 276.04-310.00 mg/100g. As for fatty acids, 11 types were detected.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accounted for 52.89-55.76% of the total fatty acid content showing the highest amount followed by oleic acid (24.31-26.65%) and palmitic acid (14.20-15.92%). As for amino acids, total 16 type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by specie, with glutamic acid making up 17.70-18.52% of total amino acids, the highest, followed by leucine (12.30-12.54%) and proline (10.34-10.92%) in that order. The creducing sugar content by specie was 4.68-5.13% and starch content was 42.14-46.1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진선, "튀김용 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유전적 변이성" 한국육종학회 43 (43): 405-412, 2011

      2 장은하, "튀김옥수수 자식계통을 이용한 '오륜팝콘' 품종육성"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3 장은하,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특성" 한국작물학회 58 (58): 267-273, 2013

      4 송범석,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아미노산 조성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81-687, 2010

      5 유명화, "옥수수의 품종별 및 가공별 Hydroxycinnamic Acid 유도체 및 Anthocyanin 색소의 함량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843-852, 2010

      6 이기연,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일반성분, 유리당, 지방산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1 (31): 335-341, 2016

      7 이상훈,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전분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573-579, 2010

      8 이상훈,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719-724, 2010

      9 최재근, "내도복 및 다수성 팝콘용 옥수수 신품종 ‘지팝콘’" 한국육종학회 49 (49): 285-288, 2017

      10 손범영, "국내 육성 주요 옥수수 자식계통 및 교잡종의 종실 성분 특성" 한국작물학회 57 (57): 188-194, 2012

      1 장진선, "튀김용 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유전적 변이성" 한국육종학회 43 (43): 405-412, 2011

      2 장은하, "튀김옥수수 자식계통을 이용한 '오륜팝콘' 품종육성"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3 장은하,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특성" 한국작물학회 58 (58): 267-273, 2013

      4 송범석,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아미노산 조성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81-687, 2010

      5 유명화, "옥수수의 품종별 및 가공별 Hydroxycinnamic Acid 유도체 및 Anthocyanin 색소의 함량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843-852, 2010

      6 이기연,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일반성분, 유리당, 지방산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1 (31): 335-341, 2016

      7 이상훈,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전분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573-579, 2010

      8 이상훈,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719-724, 2010

      9 최재근, "내도복 및 다수성 팝콘용 옥수수 신품종 ‘지팝콘’" 한국육종학회 49 (49): 285-288, 2017

      10 손범영, "국내 육성 주요 옥수수 자식계통 및 교잡종의 종실 성분 특성" 한국작물학회 57 (57): 188-194, 2012

      11 정건호, "국내 육성 옥수수 품종의 곡실 성분 특성" 한국육종학회 48 (48): 450-459, 2016

      12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Using domestic corn economic analysis of Popcorn" 2016

      13 Miller, G. 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14 Plate, A.Y.A.,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corn components and products" 50 : 305-314, 2005

      15 김선림, "Quality Protein Maize 육성계통의 지방산 및 아미노산 특성" 한국작물학회 51 (51): 458-465, 2006

      16 Eldredge, J.C., "Popcorn : It’s production, processing and utilization" Iowa Stat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mes, IABull 127-, 1959

      17 Jang, J.S., "Molecular Genetic Study on Genetic Variation of Popcorn Inbred Lines using SSR Mark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5

      18 Kim, S. L., "Major Characteristics Affecting Popping Volume of Popcorn" 40 : 167-174, 1995

      19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9th version"

      20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9th version"

      21 Jess, C. Sweley, "Hybrid and environment effects on popcorn kernel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microwave popping performance" 55 : 188-194,

      22 "Food standards codex"

      23 "Food standards codex"

      24 "Food standards codex"

      25 Hyun, Y.H., "Food material" Hyungseul Publishing Co 55-57, 2008

      26 Wassef, W.N., "Food chemistry" Marcel Dekker, Inc. 140-244, 1985

      27 KFDA, "Food Code" Munyoung sa 3-29, 2002

      28 Jellum, M. D., "Factors affecting oil contentoil composition of corn grain" 6 : 41-42, 1966

      29 Miller, D.F., "Composition of ceredal grains and forag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 National Reserch Council

      30 Park, D. K., "Chemical CompositionPhysical Characteristics of Unpopped Popcorn Hybrids" 13 : 921-934, 2000

      31 Cho, S.H., "Change of Corn Proteins and Lipids induced by Thermal Processing" 18 : 287-299,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r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72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