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수과제는 일반 리더십 이론을 중간관리자로 대상만 변경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아닌, 중간관리자의 조직 내 위치와 역할을 고려한 자질적 특성 및 수평적 리더십을 구체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3769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수과제는 일반 리더십 이론을 중간관리자로 대상만 변경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아닌, 중간관리자의 조직 내 위치와 역할을 고려한 자질적 특성 및 수평적 리더십을 구체적으...
본 연수과제는 일반 리더십 이론을 중간관리자로 대상만 변경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아닌, 중간관리자의 조직 내 위치와 역할을 고려한 자질적 특성 및 수평적 리더십을 구체적으로 개념화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최근 중간관리자의 특성 및 역할의 차별성과 중요성에 대해서 진행된 몇몇 연구들에 의하면 중간관리자들은 최고경영자들과 구성원 사이에서 서로의 의견을 전달하거나, 정보를 분산 및 통합하는 역할이 중시되며(Floyd & Wooldridge, 1997; 2000), 최고경영자와 비교하여 전문적인 업무능력을 갖추거나 구성원들과의 인간관계(윤종설, 2006),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지원적 리더십이나 목표 지향적 리더십(송윤현, 2011), 수평적 리더십 행태뿐만 아니라 구성원들과 직접적으로 대면하기 때문에 품성 등과 같은 자질적 특성이 중요하다는 연구(심형인․유민봉, 2012) 등이 있다. 특히 중간관리자의 자질적 특성은 중간관리자가 최고경영자와 달리 조직생활에서 공간적·시간적으로 구성원들과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Hatfield, Cacioppo & Rapson, 1992; 심형인․유민봉, 2012).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리더의 자질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지만, 공기업 고성과 팀장들을 심층면접하여 질적으로 분석한 연수지원자의 박사학위논문에 의하면 목표의식, 자기동기화, 자신과 타인의 이해, 주의의식, 긍정적 태도 등과 같은 자질적 특성이 무척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원자의 학위논문은 한국 공기업 고성과 팀장들의 자질적 특성을 질적연구를 통해 새롭게 발견 했다는 것에서는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이를 양적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이론성 있는 개념과 변수로 조작화하는 과정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수과제에서는 발견된 개념을 보편적인 변수들로 구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고성과 팀장들이 아닌 일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한 면접 내용도 포함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조직행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 중, 중간관리자의 자질적 특성과 가장 유사한 개념이라 볼 수 있는 것은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과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이다. 중간관리자의 자질적 특성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과 같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리더의 리더십 행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한 개인의 자질적 특성이 그의 행동과 행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국외의 여러 연구들에 의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Watson & Tellegen, 1985; Meyer & Shack, 1989; Elliot et al., 1995; George & Brief, 1996; Williams & Shiaw, 1999; Lee & Allen, 2002; Kaplan et al., 2009).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간관리자의 자질적 특성이 중간관리자의 구체적인 리더십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자질적 특성을 리더십 행태의 선행적 요인으로 보고자 한다.
한편, 중간관리자라의 지위와 역할을 고려할 때, 이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 행태는 연구자들에 의해 다른 용어들로 표현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리더-구성원의 관계를 수평적으로 보고, 동등한 입장에서 구성원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수평적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Spears, 1995; Covey, 2006; Wong & Davey, 2007; Liden et al., 2008; Van Dieredonck & Nuijten, 2011). 구체적인 하위요인은 추후 과제를 진행하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지만,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들에 의하면 솔선수범, 권한위임, 구성원 성장을 위한 노력, 개인차원의 관계형성 등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Pearce & Sims, 2002; Wong & Davey, 2007; 윤종설, 2006; 이춘우․안명희, 2011; 심형인․유민봉, 2012).
따라서 본 연수과제는 Organ(1990)에 의해 처음 개념화 된 후, 민간조직보다 공공조직에서는 더욱 주목하고 있는(유민봉․심형인 외, 2010)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을 종속변수로 보고, 이에 대한 중간관리자의 자질적 특성과 수평적 리더십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에서 구성원들에게 징계나 공식적인 보상시스템에 의해 요구되거나 부담되어지는 역할이 아닌 그 제공과 철회에 스스로 재량성을 갖는 행동으로(Organ, 1990), 민간조직에 비해 조직의 효과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보상이 어려운 공공조직에서 더욱 요구되는 행동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간관리자의 자질적 특성은 중간관리자의 구체적 행태인 수평적 리더십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자질적 특성을 선행변수로 보고, 수평적 리더십을 매개변수로 하여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