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예비교사 대학생 맞춤형 여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70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행복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맞춤형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55명의 예비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행복 관련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세가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활동과 가장 행복한 활동은 다르다.
      둘째, 학생들은 다른 시간에 비하여 저녁 시간에 가장 행복하다.
      셋째, 학생들은 주중보다는 주말에 가장 행복하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활동 중심의 여가활동을 통하여 주 1회 2시간의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영역은 크게 의미부여 영역, 몰입체험 영역, 여가활동 영역, 행복 체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예비교사의 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예비교사 자신의 행복 뿐 만 아니라 행복의 교육적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주 대상으로 실시될 본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면 학문적 연구 측면 뿐 만 아니라 교육적인 효과도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학문적, 교육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대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 관련 연구를 위한 학문적 인프라 구축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여가 교육에 대한 방향 제시
      ○ 예비교사를 위한 여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여가 교육을 통한 예비 교사에 대한 인식, 태도 검증


      2) 교육적 기대효과


      ○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여가 교육 콘텐츠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
      ○ 초등학교 교육 현실에 맞는 여가 교육의 지향점 제시
      ○ 예비 교사의 여가 교육관 확립
      ○ 한국형 여가 교육의 새로운 모델 제시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행복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맞춤형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본 연구는 예비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행복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맞춤형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55명의 예비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행복 관련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세가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활동과 가장 행복한 활동은 다르다.
      둘째, 학생들은 다른 시간에 비하여 저녁 시간에 가장 행복하다.
      셋째, 학생들은 주중보다는 주말에 가장 행복하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활동 중심의 여가활동을 통하여 주 1회 2시간의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영역은 크게 의미부여 영역, 몰입체험 영역, 여가활동 영역, 행복 체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예비교사의 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예비교사 자신의 행복 뿐 만 아니라 행복의 교육적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주 대상으로 실시될 본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면 학문적 연구 측면 뿐 만 아니라 교육적인 효과도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학문적, 교육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대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 관련 연구를 위한 학문적 인프라 구축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여가 교육에 대한 방향 제시
      ○ 예비교사를 위한 여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여가 교육을 통한 예비 교사에 대한 인식, 태도 검증


      2) 교육적 기대효과


      ○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여가 교육 콘텐츠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
      ○ 초등학교 교육 현실에 맞는 여가 교육의 지향점 제시
      ○ 예비 교사의 여가 교육관 확립
      ○ 한국형 여가 교육의 새로운 모델 제시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stomized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by exploring their daily life happines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daily life happiness among 155 pre-service teachers and identified three following features: 1)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ivity that students most participate and the activity that students felt happiness most; 2) students were happier in evening compared to other temporal index; and 3) students were happier on weekend compared to week days.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ent study developed a leisure activity program held twice a week. The program specifically focused on four domains including meaning category, immersion category, leisure activity category, and happiness experience category. The pre-service teachers are expected to experience happiness as well as the educative value of happiness through the current program.

      The current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cholars and practitioners in several ways. Academic and educational expected effectiveness are as follows:
      1) Academic expected effectiveness
      A. Building a firm base for research related to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stomized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by exploring their daily life happines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daily life happiness among 155 pre-serv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stomized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by exploring their daily life happines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daily life happiness among 155 pre-service teachers and identified three following features: 1)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ivity that students most participate and the activity that students felt happiness most; 2) students were happier in evening compared to other temporal index; and 3) students were happier on weekend compared to week days.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ent study developed a leisure activity program held twice a week. The program specifically focused on four domains including meaning category, immersion category, leisure activity category, and happiness experience category. The pre-service teachers are expected to experience happiness as well as the educative value of happiness through the current program.

      The current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cholars and practitioners in several ways. Academic and educational expected effectiveness are as follows:
      1) Academic expected effectiveness
      A. Building a firm base for research related to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