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意味構造>の観点からみた味覚形容詞の意味拡張 - 「甘い」を中心に - = The Process of Meaning Extension of Taste Adj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 Structure of Meaning > - Focusing on ‘amai’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0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amai」를 대상으로 의미확장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존의 미각형용사의 많은 연구들이 대조언어학적 관점과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논의되는데 반해 본 연구는 <의미구...

      본고는 「amai」를 대상으로 의미확장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존의 미각형용사의 많은 연구들이 대조언어학적 관점과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논의되는데 반해 본 연구는 <의미구조>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다의어를 연구하였다. 「amai」를 구조화 하면, ‘전제가 되는 기준’, ‘事態내용’, ‘반응’으로 구조화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하에서 대상의 의미·성질에 따라서 크게는 네 개의 용법으로 나뉠 수 있다. 「amai」의 경우는 ‘미각의 형용’, ‘태도의 형용’, ‘사물의 움직임ㆍ상태’, ‘樣態에 대한 평가’의 용법으로 분류되어 다양하게 轉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mai」는 ‘기준에 달하지 않음’과 ‘기분 좋음’이라는 의미항목에서 출발해 형용(평가)하는 대상의 성질에 의해서 그 의미가 변화하는 구조를 가진 다의어라는 것을 확인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meaning extension of 「amai」. While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of taste adjectives discussed from the contrasting linguistic perspective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this study studied polysemy from...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meaning extension of 「amai」. While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of taste adjectives discussed from the contrasting linguistic perspective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this study studied polysemy from a new perspective called < Structure of Meaning >. 「amai」 can be structured into “criteria as presumption”, “content of events”, and “response”. In addition, under this structure, it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usages, depending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object. In the case of 「amai」,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usages of “description of taste,” “description of attitude,” “movement and state of things,” and “evaluation of aspects,” and seem to make various transitions. Looking at the structure of 「amai」 specifically, it is found to be a polysemy that start with the semantic items of “not up to the standard” and “feel good” and changes its meaning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object that it describes(evaluat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朝日新聞社データベース, "聞蔵Ⅱ"

      2 国広哲弥, "現代日本語講座4語彙" 明治書院 152-171, 2002

      3 国立国語研究所, "現代日本語書葉均衡コーパス․中納言"

      4 山梨正明, "比喩と理解" 東京大学出版 1-180, 1988

      5 毎日新聞社データベース, "毎索"

      6 森田良行, "日本語質問箱" 角川学芸出版 172-185, 2007

      7 Jantima Jantra, "日本語形容詞「あまい」の意味拡張と広告における多義的使用の分析ー英語及びタイ語と対照しながら" 3 : 142-193, 1999

      8 国広哲弥, "日本語の多義動詞ー理想の国語辞典Ⅱ" 大修舘書店 1-311, 2006

      9 武藤彩加, "日本語の共感覚的比喩" ひつじ書房 1-413, 2015

      10 池上嘉彦, "意味論" 大修舘書店 3-482, 1975

      1 朝日新聞社データベース, "聞蔵Ⅱ"

      2 国広哲弥, "現代日本語講座4語彙" 明治書院 152-171, 2002

      3 国立国語研究所, "現代日本語書葉均衡コーパス․中納言"

      4 山梨正明, "比喩と理解" 東京大学出版 1-180, 1988

      5 毎日新聞社データベース, "毎索"

      6 森田良行, "日本語質問箱" 角川学芸出版 172-185, 2007

      7 Jantima Jantra, "日本語形容詞「あまい」の意味拡張と広告における多義的使用の分析ー英語及びタイ語と対照しながら" 3 : 142-193, 1999

      8 国広哲弥, "日本語の多義動詞ー理想の国語辞典Ⅱ" 大修舘書店 1-311, 2006

      9 武藤彩加, "日本語の共感覚的比喩" ひつじ書房 1-413, 2015

      10 池上嘉彦, "意味論" 大修舘書店 3-482, 1975

      11 国立国語研究所, "形容しの意味用法の記述的研究" 秀英出版 1-354, 1972

      12 近安理, "多義語「甘い」の構造的考察ー英語sweetとの比較を通じてー" 25 : 53-66, 1997

      13 武藤彩加, "味覚形容詞「甘い」と「辛い」の多義構造" 日本語教育学会 110 : 42-51, 2001

      14 楠見孝, "共感覚的メタファの心理․語彙論的分析" 東海大学出版会 8 : 237-248, 1995

      15 国広哲弥, "五感をあらわす語彙ー共感覚比喩的体系" 大修舘書店 18 (18): 28-31, 1989

      16 長尾勇, "五味考ー味覚用語の変遷と分布ー" 日本大学文学会 55 : 34-46, 1982

      17 読売新聞社データベース, "ヨミダス歴史館"

      18 小田希望, "ことばは味を越える" 海鳴社 186-214, 2003

      19 日本大辞典, "『日本国語大辞典第二版』小学館オンライン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panese Studies ->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4-0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일본연구소 -> 일본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UFS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