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개발은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자 생존과 번영의 조건이며, 사업구조의 다각화 방안으로 전제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기업의 신제품개발 활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신제품개발은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자 생존과 번영의 조건이며, 사업구조의 다각화 방안으로 전제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기업의 신제품개발 활성...
신제품개발은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자 생존과 번영의 조건이며, 사업구조의 다각화 방안으로 전제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기업의 신제품개발 활성화를 높이는데 있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신제품개발절차, 신제품개발수준 및 부서 간 협력의 선행변수와 공급사의 관계특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이들이 신제품성과와의 통합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제조기업 245개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제조기업의 신제품개발 내부활동 요인 중 신제품개발절차, 신제품개발수준이 신제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서 간 협력은 신제품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조절변수인 공급사의 관계특성에 따라 신제품개발 내부활동이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강조하였던 신제품 개발정책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신제품개발절차, 개발수준, 공급사와의 관계특성 강화에 더 적극적인 관심을 두고 설계되고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s a means to maintain a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a condition for survival and prosperity, and is also a premise for diversification of business structure. In order to enhance the activation of new...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s a means to maintain a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a condition for survival and prosperity, and is also a premise for diversification of business structure. In order to enhance the activation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level of new product development, the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the supplier’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245 manufacturers, we found that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the level of new product developme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new product performance. Second,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Third, it was prov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ternal activities on new produc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upplie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s by manufacturers, new product development policies need to be redesigned and approached to support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dures, development leve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with partner companies in the long term.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승하, "우리나라 수출⋅입 제조기업의 파트너십 수준 및 파트너십 프로세스와 공급체인 성과 간의 관계 연구" 한국물류학회 24 (24): 27-52, 2014
2 신기철,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업의 내부활동 및 고객사와 거래관계가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생산성학회 28 (28): 53-76, 2014
3 이창기, "기업 내부 부서간의 협력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적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품질경영학회 42 (42): 617-632, 2014
4 박정수, "기능부서간 통합과 다기능팀이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와 신상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44 (44): 397-428, 2015
5 황선일, "공급자의 협업역량이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와 구매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5 (25): 133-153, 2017
6 서창수, "공급사-고객사의 관계가 협업타임과 고객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SCM학회 7 (7): 77-89, 2007
7 R. Calantone, "When Should R&D and Marketing Collaborate? The Moderating Role of Exploration-Exploitation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29 (29): 144-157, 2012
8 S. K. Shin,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department for new product development success" (1) : 63-73, 2018
9 I. Geyskens, "The Effects of Trust and Interdependence on Relationship Commitment: A Trans-Atlantic Study" 13 (13): 303-318, 1996
10 S. Fliess, "Supplier integration—Controlling of Co-Development Processes" 35 (35): 28-44, 2006
1 권승하, "우리나라 수출⋅입 제조기업의 파트너십 수준 및 파트너십 프로세스와 공급체인 성과 간의 관계 연구" 한국물류학회 24 (24): 27-52, 2014
2 신기철,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업의 내부활동 및 고객사와 거래관계가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생산성학회 28 (28): 53-76, 2014
3 이창기, "기업 내부 부서간의 협력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적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품질경영학회 42 (42): 617-632, 2014
4 박정수, "기능부서간 통합과 다기능팀이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와 신상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44 (44): 397-428, 2015
5 황선일, "공급자의 협업역량이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와 구매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5 (25): 133-153, 2017
6 서창수, "공급사-고객사의 관계가 협업타임과 고객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SCM학회 7 (7): 77-89, 2007
7 R. Calantone, "When Should R&D and Marketing Collaborate? The Moderating Role of Exploration-Exploitation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29 (29): 144-157, 2012
8 S. K. Shin,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department for new product development success" (1) : 63-73, 2018
9 I. Geyskens, "The Effects of Trust and Interdependence on Relationship Commitment: A Trans-Atlantic Study" 13 (13): 303-318, 1996
10 S. Fliess, "Supplier integration—Controlling of Co-Development Processes" 35 (35): 28-44, 2006
11 T. E. Johnsen, "Supplier Involvement i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Innovation: Taking Stock and Looking to The Future" 15 (15): 187-197, 2009
12 R. M. Monczka, "Success Factors of Strategic Supplier Alliences: The Buying Company Perspective" 29 (29): 553-573, 1998
13 P. J. Holahan, "Product Development as Core Competence: How Formal Product Development Practices Differ for Radical, More Innovative, and Incremental Product Innovations" 31 (31): 329-345, 2014
14 I. M. Bodas-Freitas, "Formalized Problem-Solving Practices and the Effects of Collaboration with Suppliers on a Firm's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35 (35): 565-587, 2018
15 D. Johnston, "Effects of Supplier Trust on Performance of Cooperative Supplier Relationships" 22 (22): 23-38, 2004
16 M. Pemartn, "Effects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on NPD Collaboration Results: Two Routes of Influence" 35 (35): 184-208, 2018
17 D. A. Johnston, "Effect of Supplier Trust on Performance of Cooperative Supplier Relationships" 22 (22): 23-38, 2004
18 A. Engelen,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he Impact of National and Corporate Culture" 18 (18): 52-65, 2012
19 M. Brettel, "Cross-Functional Integraion of R&D, Marketing, and Manufacturing in Radical and Incremental Product Innovations and Its Effects on Project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28 (28): 251-269, 2011
20 R. M. Gran, "A Knowledge Aaccessing Theory of Strategic Alliances" 41 (41): 61-84, 2004
수술이동경로 동영상이 이비인후과 수술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중년기 기혼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가족갈등대처의 매개효과 -소득수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TradeB: 신뢰성있는 중개인을 통한 블록체인 기반 재화 계약 서비스
청년창업 기업 대표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 탈락 (기타)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407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