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제조업 생태계는 4차 산업혁명 등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라 대변혁이 급진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의 경우 제품, 설비 및 인간이 연결되는 사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482539
시흥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 스마트팩토리융합학과 , 2020. 2
2020
한국어
국내 중소 제조기업 기술혁신 ; 스마트 팩토리 ; 전문인력 양성 전략 연구 ; CPS ; IIot
621.39 판사항(21)
경기도
iv, 73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정두희
참고문헌: p. 69-71
I804:41069-20000028813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제조업 생태계는 4차 산업혁명 등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라 대변혁이 급진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의 경우 제품, 설비 및 인간이 연결되는 사물...
오늘날 제조업 생태계는 4차 산업혁명 등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라 대변혁이 급진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의 경우 제품, 설비 및 인간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AI 및 가상현실 등 혁신적인 ICT 융합기술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플랫폼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이러한 융합기술의 혁신을 통한 신산업 출현이 지연되고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시도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의 실현 수준은 대부분 고도화 단계에 오르지 못한 채 설비 제어 자동화나 실시간 공정 제어 기술의 접목에 머물러 있어 향후 글로벌 기술 경쟁력의 심각한 약화가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 중견 기업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스마트 팩토리 구축 및 고도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문 인력 양성 전략 가이드라인 수립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 제조 기업 혁신에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구현을 위해 선진국의 다양한 성공 사례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현 국내 중소 중견 기업에 근무하는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Cyber physical system, 산업용 IoT, 스마트 소재 기반의 4D printing 교육 등 국내의 제조 산업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전략을 위한 핵심 가이드라인과 , 나아가 1인 기업 창출 활성화를 위한 최신 최적설계 기법 및 유연한 제조 및 생산이 가능한 3차원 적층 제조 기술 교육 프로그램 등을 설계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와 중소/중견 제조업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민간, 정부 및 학연 협동으로 4차 산업 혁명 대응 글로벌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재 양성 전략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연구는 아래와 같이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국내 제조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과, 대상 직무자 설문에 의한 프로그램 수요 반영 및 전략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두 번째,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단기 및 중장기 전략으로 분류하고 이에 맞춰 프로그램 로드맵을 설계한다. 세 번째, 설계된 로드맵을 토대로 구체적인 교육 과정 설계를 진행한다. 네 번째, 시범 교육 수행을 통해 교육 대상자 만족도 설문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최종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신 기술 시험, 평가 및 검증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관련 분야 실무자 설문을 통해 수요 파악과 현장 요구도를 기반으로 관련 유망 기술 교육 선호도 조사를 통해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