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AAC for parents over the past 10 years. Method: A total of 11 studies on AAC parental education conducted between 2014 and 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34644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5-107(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AAC for parents over the past 10 years. Method: A total of 11 studies on AAC parental education conducted between 2014 and 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AAC for parents over the past 10 years.
Method: A total of 11 studies on AAC parental education conducted between 2014 and 2023 were selected, 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and the parental education intervention and chil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Results: Research on AAC parental education has recently increased, with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not only the improvement in children's communication abilities and parental communication-prompting strategies but also parenting stress. The most commonly used strategies in parental education were oral explanations, guidance on intervention strategies, and role-playing and rehearsal. Printed materials were also used in many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e intervention fidelity of parents in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was assessed in almost all studies and mainly focused on topics related to daily life in a home setting.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AC parental education needs to first expand the verification of AAC educational effects not only for parents but also for their children, and secondly, studies using vari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AC parental education research need to be expanded. Thir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ontent of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hild.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 년간의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AAC 부모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 목적에 따라 2014 년부터 2023 년 사이에 이루어진 국내외 AAC 부...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 년간의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AAC 부모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 목적에 따라 2014 년부터 2023 년 사이에 이루어진 국내외 AAC 부모교육 연구 총 11 편을 선정하였고, 연구의 전반적 특성과 부모교육의 중재 특성, 이를 적용한 아동 중재에 관한 특성이 분석되었다. 결과: 국내외 AAC 부모교육 연구는 최근 들어 실험연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부모의 의사소통 촉진 전략뿐 아니라 양육 스트레스까지 아동 변인과 부모 변인을 종속변수로 진행되었다. 부모교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전략은 구어적 설명, 중재 전략 안내, 역할극과 연습 등이었다. 부모교육에 관한 중재 충실도는 소수의 연구에서만 평가되었지만, 부모의 아동에 대한 직접적 중재는 거의 모든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가 측정되었고, 중재 내용은 주로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관련 내용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에 따라, AAC 부모교육은 첫째, AAC 교육 효과를 부모뿐 아니라 이들의 자녀를 대상으로 검증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둘째, AAC 부모교육 연구에 양적, 질적으로 다양한연구방법을 사용하는 연구들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자녀의 개별 특성 및 요구에 기반한 부모교육 내용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아라 ; 이설희 ; 최진희 ; 박은혜, "지체중복장애인을 위한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 및 지원요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99-132, 2020
2 김경양 ; 박경옥, "지체·중복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에 참여한 부모의 경험과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207-229, 2019
3 김정연 ; 박은혜,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연구소 2 (2): 37-58, 2003
4 김민선, "주 양육자가 촉진자로 참여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요구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2018
5 고희선 ; 최진희 ; 박은경 ; 박은혜,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의 뇌성마비 자녀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한 AAC 부모교육 효과"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10 (10): 55-90, 2022
6 김정연 ; 이금진 ; 김은숙 ; 김주혜 ; 박지연, "의사소통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58-81, 2005
7 나지영,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부모교육에 관한 문헌 고찰: AAC 사용 초기 상징단계의 중도중복장애 아동 대상으로"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49-66, 2016
8 김정연,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209-231, 2008
9 이현승 ; 허은정 ; 김현수,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56 (56): 307-335, 2022
10 박한빛 ; 이주연 ; 박현주,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AAC 포기 경험과 지원 요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51-76, 2020
1 조아라 ; 이설희 ; 최진희 ; 박은혜, "지체중복장애인을 위한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 및 지원요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99-132, 2020
2 김경양 ; 박경옥, "지체·중복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에 참여한 부모의 경험과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207-229, 2019
3 김정연 ; 박은혜,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연구소 2 (2): 37-58, 2003
4 김민선, "주 양육자가 촉진자로 참여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요구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2018
5 고희선 ; 최진희 ; 박은경 ; 박은혜,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의 뇌성마비 자녀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한 AAC 부모교육 효과"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10 (10): 55-90, 2022
6 김정연 ; 이금진 ; 김은숙 ; 김주혜 ; 박지연, "의사소통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58-81, 2005
7 나지영,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부모교육에 관한 문헌 고찰: AAC 사용 초기 상징단계의 중도중복장애 아동 대상으로"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49-66, 2016
8 김정연,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209-231, 2008
9 이현승 ; 허은정 ; 김현수,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56 (56): 307-335, 2022
10 박한빛 ; 이주연 ; 박현주,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AAC 포기 경험과 지원 요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51-76, 2020
11 신정미 ; 이수향,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인식 조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18, 2016
12 김경양 ; 박은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가족 참여연구 동향 분석 통한 중재 요소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0 (10): 219-243, 2011
13 조경현 ; 강혜경 ; 박은혜, "국내외 보완대체의사소통 가족참여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2008년~2018년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119-139, 2020
14 김경양 ; 박은혜,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2 (12): 51-72, 2012
15 이주영 ; 박은혜, "가정에서의 보완대체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레트 증후군 아동의 요구하기 행동 교수"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45-266, 2005
16 민미영 ; 지경미 ; 배수진, "가정과 연계한 AAC 말하기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친 효과 - 특수학교에서 실시한 일상 경험 말하기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5 (5): 125-155, 2017
17 김상민 ; 박현주 ; 신상은,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on Perception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6 (26): 834-846, 2021
18 Dodge-Chin, C., "Teaching parents read, ask, answer, prompt strategies via telepractice: Effects on parent strategy use and child communication" 53 (53): 237-255, 2022
19 Snell, M., "Teach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o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 review of intervention research 1997-2003" 31 : 203-214, 2006
20 Biggs, E. E.,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Involving Aided AAC Modeling for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123 (123): 443-473, 2018
21 Walters, C., "Spoken Vocabulary Outcomes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elay After Parent-Implemented Augmented Language Intervention" 30 (30): 1023-1037, 2021
22 Light, J., "Instructing facilitators to support the communication of people who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35 : 865-875, 1992
23 Senner, J. E., "Effects of parent instruction in partner-augmented input on parent and child speech generating device use" 31 : 27-38, 2019
24 Romski, M. A., "Augmentative commun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18 (18): 174-185, 2005
25 Gevarter, C., "A parent-implemented embedded AAC intervention for teaching navigational requests and other communicative functions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37 (37): 180-193, 2021
AAC 사용 경험에 기반한 당사자 및 주변 관련인의 위치 및 상황 기반 AAC에 대한 요구 분석
마음이론이 있는 ChatGPT: Level-1 자폐성장애인을 지원할 수 있을까?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서 필요한 팬데믹 상황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놀이 기반 AAC 어휘 및 그림상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