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서 필요한 팬데믹 상황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 = Development of Pandemic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in AAC Syste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4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andemic situational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needed in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validate them. Methods: FGI(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amil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fessionals working wit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explore the need for developing AAC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A vocabulary list was develop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The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were evaluated for validity by 20 family memb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pecial educat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0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The FGI results indicated a need to develop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for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participation in telepractice activities and self-care, as well as home, time, date, weather, work life, and emotional expression. Design guidelines for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through a council of illustrators, and some vocabulary for movement and motion was developed as graphics interchange format (GIF) symbols. The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graphic symbols was validated.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AAC graphic symbols representing infection-specific prevention, telepractice activities, and social networking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the pandemic era.
      번역하기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andemic situational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needed in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valida...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andemic situational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needed in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validate them. Methods: FGI(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amil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fessionals working wit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explore the need for developing AAC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A vocabulary list was develop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The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were evaluated for validity by 20 family memb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pecial educat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0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The FGI results indicated a need to develop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for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participation in telepractice activities and self-care, as well as home, time, date, weather, work life, and emotional expression. Design guidelines for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through a council of illustrators, and some vocabulary for movement and motion was developed as graphics interchange format (GIF) symbols. The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graphic symbols was validated.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AAC graphic symbols representing infection-specific prevention, telepractice activities, and social networking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the pandemic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서 필요한팬데믹 상황어휘와 그림상징을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발달장애인 가족, 발달장애 관련 종사자, 언어재활사 및 특수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FGI 실시하여 AAC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았고, 내용분석 통해 어휘목록 도출 후 그림상징을 개발하였다. 이후 발달장애인 가족, 언어재활사, 및 특수교사 20 명, 발달장애인 당사자 10 명을 대상으로 어휘타당도와 그림상징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FGI 결과 감염병 예방, 비대면 활동 참여, 자기관리와 주거환경, 시간, 날짜와날씨, 직장생활과 감정표현의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의 요구가 나타났다. 그림상징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일러스트 디자이너 협의회를 통해 그림상징을 개발하였으며, 동작 표현, 움직임을 나타내는 일부 어휘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형식의 그림상징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그림상징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적합성을 평가받았다. 논의 및 결론: 전 세계적인 팬데믹 시대에 감염병 예방, 비대면 활동, SNS 등을표상하는 AAC 그림상징 개발은 활용의 기대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서 필요한팬데믹 상황어휘와 그림상징을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발달장애인 가족, 발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서 필요한팬데믹 상황어휘와 그림상징을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발달장애인 가족, 발달장애 관련 종사자, 언어재활사 및 특수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FGI 실시하여 AAC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았고, 내용분석 통해 어휘목록 도출 후 그림상징을 개발하였다. 이후 발달장애인 가족, 언어재활사, 및 특수교사 20 명, 발달장애인 당사자 10 명을 대상으로 어휘타당도와 그림상징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FGI 결과 감염병 예방, 비대면 활동 참여, 자기관리와 주거환경, 시간, 날짜와날씨, 직장생활과 감정표현의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의 요구가 나타났다. 그림상징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일러스트 디자이너 협의회를 통해 그림상징을 개발하였으며, 동작 표현, 움직임을 나타내는 일부 어휘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형식의 그림상징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그림상징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적합성을 평가받았다. 논의 및 결론: 전 세계적인 팬데믹 시대에 감염병 예방, 비대면 활동, SNS 등을표상하는 AAC 그림상징 개발은 활용의 기대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선영 ; 홍기형, "한국형 AAC 기본상징 검색 시스템- 로우테크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제작을 위한 웹 서비스 개발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29-50, 2020

      2 채수정 ; 연석정 ; 박경옥 ; 김경양, "중도 비구어장애인을 위한 AAC 어휘 및 그림상징 개발: 인권, 피해, 지역사회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19-140, 2020

      3 연석정 ; 김영태 ; 박은혜,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4 박은혜 ; 김영태 ; 홍기형 ; 연석정 ; 김경양 ; 임장현,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9-40, 2016

      5 최다영 ; 한경임,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가 헌터증후군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155-184, 2021

      6 채수정 ; 박경옥, "비구어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지원에 대한 평생교육기관 교강사의 인식"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7 (7): 51-73, 2019

      7 김난영 ; 박성지,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의 질적 평가지표에 따른 국내연구 동향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29 (29): 145-156, 2020

      8 박정애 ; 박은혜, "그림상징을 활용한 이야기 읽기 활동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발달장애학생의 철자지식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1-28, 2020

      9 Beukelman, D. R., "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20

      10 Worah, S., "A comparison of two approaches for representing AAC vocabulary for young children" 17 (17): 460-469, 2015

      1 권선영 ; 홍기형, "한국형 AAC 기본상징 검색 시스템- 로우테크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제작을 위한 웹 서비스 개발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29-50, 2020

      2 채수정 ; 연석정 ; 박경옥 ; 김경양, "중도 비구어장애인을 위한 AAC 어휘 및 그림상징 개발: 인권, 피해, 지역사회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19-140, 2020

      3 연석정 ; 김영태 ; 박은혜,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4 박은혜 ; 김영태 ; 홍기형 ; 연석정 ; 김경양 ; 임장현,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9-40, 2016

      5 최다영 ; 한경임,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가 헌터증후군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155-184, 2021

      6 채수정 ; 박경옥, "비구어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지원에 대한 평생교육기관 교강사의 인식"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7 (7): 51-73, 2019

      7 김난영 ; 박성지,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의 질적 평가지표에 따른 국내연구 동향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29 (29): 145-156, 2020

      8 박정애 ; 박은혜, "그림상징을 활용한 이야기 읽기 활동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발달장애학생의 철자지식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1-28, 2020

      9 Beukelman, D. R., "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20

      10 Worah, S., "A comparison of two approaches for representing AAC vocabulary for young children" 17 (17): 460-469,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