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혜영, "항쟁의 기억 혹은 기억의 항쟁 - 518의 영화적 재현과 매개로서의 여성" 한국여성문학학회 (17) : 139-174, 2007
2 주디스 허먼, "트라우미" 열린책들 2012
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전쟁의 기억, 역사와 문학 하" 월인 2005
4 고봉준, "반대자의 윤리" 실천문학사 2006
5 문영민, "모더니티와 기억의 정치" 현실문화연구 2006
6 나간채, "기억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 역사비평사 2004
7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1
8 이광수, "기억에 대한 담론을 통한 '5·18’의 사진 재현: 사진가 노순택의『망각기계』를 중심으로" 문화사학회 (28) : 117-141, 2014
9 최문규, "기억과 망각" 책세상 2003
10 한순미, "고통, 말할 수 없는 것 :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 호남학연구원 1 (1): 91-131, 2009
1 조혜영, "항쟁의 기억 혹은 기억의 항쟁 - 518의 영화적 재현과 매개로서의 여성" 한국여성문학학회 (17) : 139-174, 2007
2 주디스 허먼, "트라우미" 열린책들 2012
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전쟁의 기억, 역사와 문학 하" 월인 2005
4 고봉준, "반대자의 윤리" 실천문학사 2006
5 문영민, "모더니티와 기억의 정치" 현실문화연구 2006
6 나간채, "기억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 역사비평사 2004
7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1
8 이광수, "기억에 대한 담론을 통한 '5·18’의 사진 재현: 사진가 노순택의『망각기계』를 중심으로" 문화사학회 (28) : 117-141, 2014
9 최문규, "기억과 망각" 책세상 2003
10 한순미, "고통, 말할 수 없는 것 :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 호남학연구원 1 (1): 91-131, 2009
11 김정숙, "5·18 민중항쟁과 기억의 서사화 -8·90년대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7 (7): 177-204, 2007
12 심영의, "518 민중항쟁 소설 연구" 전남대학교 2008
13 채희숙, "518 광주 소재 영화들에 드러나는 활력이미지의 계보와 대항 담론 형성의 과제" 1 (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