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교사들의 소프트웨어 교육의 학습 요소 정의 및 효과 분석 = The Analysis and Definition of Software Education Learning Elements for pre_service elementary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software education must be conducted for 17 hours in elementary school fifth or sixth grade. Therefore, pre_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uld be able to teach software. In this study, learning facto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software education will be defined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were taught by learning elements. This is done by students in the third class,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by t-test. As a result, the pre -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create teach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aterials for each learning elem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e - service teachers improved their ability to teach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se materials.
      번역하기

      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software education must be conducted for 17 hours in elementary school fifth or sixth grade. Therefore, pre_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uld be able to teach software. In this study, learning factors according to the ...

      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software education must be conducted for 17 hours in elementary school fifth or sixth grade. Therefore, pre_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uld be able to teach software. In this study, learning facto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software education will be defined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were taught by learning elements. This is done by students in the third class,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by t-test. As a result, the pre -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create teach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aterials for each learning elem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e - service teachers improved their ability to teach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se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5학년 또는 6학년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17시간 필수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는 성취기준별로 학습 요소들을 정의한다. 학습 요소별로 예비교사들에서 수업을 실시하였다. 3반의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그 결과를 t-검증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 예비 교사들이 학습 요소별로 교수 학습 자료를 만들고, 평가 자료를 만들 수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이들 자료를 기반으로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지도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5학년 또는 6학년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17시간 필수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5학년 또는 6학년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17시간 필수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는 성취기준별로 학습 요소들을 정의한다. 학습 요소별로 예비교사들에서 수업을 실시하였다. 3반의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그 결과를 t-검증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 예비 교사들이 학습 요소별로 교수 학습 자료를 만들고, 평가 자료를 만들 수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이들 자료를 기반으로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지도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갑수, "정보과학 교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161-171, 2014

      2 OECD, "PISA2015 Results"

      3 OECD, "PISA2012 Results"

      4 OECD, "PISA data analysis manual"

      5 OECD, "PISA 2009 Results: Students On Line Digital Technologies and Performance (Volume IV)"

      6 MOE, "Manual of I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7 MOE, "Manual of I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8 OECD, "Feasibility study for the PISA ICT literacy assessment: report to network A" OECD 2003

      9 CAS,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A guide for secondary teachers"

      10 CAS,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A guide for primary teachers"

      1 김갑수, "정보과학 교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161-171, 2014

      2 OECD, "PISA2015 Results"

      3 OECD, "PISA2012 Results"

      4 OECD, "PISA data analysis manual"

      5 OECD, "PISA 2009 Results: Students On Line Digital Technologies and Performance (Volume IV)"

      6 MOE, "Manual of I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7 MOE, "Manual of I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8 OECD, "Feasibility study for the PISA ICT literacy assessment: report to network A" OECD 2003

      9 CAS,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A guide for secondary teachers"

      10 CAS,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A guide for primary teachers"

      11 CAS, "Computer science : A curriculum for schools"

      12 Deborah Seehorn,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6 CSTA STANDARDS TASK FORCE"

      13 Deborah Seehorn,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14 Tucker, A.,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ACM K-12 Education Task Forc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Committee 2002

      15 MO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74(Attached issue 10)"

      16 MO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74 [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25 1.991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