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年代の小說というものはそのジャンルとしての性格を指示するより近代的文學そのものを意味したのである。ところが1920年代に入って小說の批評が本格化されながら芸術性あるいは文...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92827
2010
-
800
KCI등재
학술저널
341-364(2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910年代の小說というものはそのジャンルとしての性格を指示するより近代的文學そのものを意味したのである。ところが1920年代に入って小說の批評が本格化されながら芸術性あるいは文...
1910年代の小說というものはそのジャンルとしての性格を指示するより近代的文學そのものを意味したのである。ところが1920年代に入って小說の批評が本格化されながら芸術性あるいは文學性ではなく"小說らしい小說"、"ちゃんとした小說"というものが問題になったのである。それはすでに理想的小說という一種のモデルが想定されているのを意味するともいえる。この時期の批評はプロの評論家ではなく小說家によってなしたもので、實際のところ、評論家と小說家とはほぼ一致していたのである。それゆえに小說についての批評はそのまま小說を書くに準據になったのである。小說字體の眞實性の根據を作家の體驗の反映から探した1910年代の小說と違ってこの時期の小說は作家と小說の人物を分離し、自分の領域をもっと普遍的に擴張して行くことになったのである。そして作家の想像上に構築された小說は自分の眞實性の證明のため、また小說の內外の融合のため"自然さ"を要求されることになったのである。この"自然さ"というものは小說の內外を系ぐ一種の媒介になる共通の感覺といえるもので,それは先驗的ものではなくこの時期の小說批評によって初めて規定され、構成されたものである。これによって小說は前代の小說と違ってもっと普遍的領域まで進入することになれ、當代日本の私小說とも弁別され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한별, "한국근대소설양식론" 태학사 2010
2 박상준, "한국 근대소설 장르 형성과정 논의의 제 문제" 한국현대소설학회 (42) : 67-99, 2009
3 中村光夫, "일본메이지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4 鈴木登美, "이야기된 자기-일본 근대성의 형성과 사소설담론"
5 박헌호, "식민지 시기 '자기의 서사'의 성격과 위상" 대동문화연구원 (48) : 145-178, 2004
6 차혜영, "소설 개념 형성과 식민지 근대 부르주아의 정치학" 민족문학사학회 (28) : 10-40, 2005
7 Anderson, Benedict, "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출판 2002
8 권보드래, "번역어의 성립과 근대-‘국가’ᆞ‘민주주의’ᆞ‘자연’ᆞ‘예술’을 중심으로-" 1 (1): 380-396, 2001
9 박헌호, "매체로서의 근대소설과 내면의 서사 in: 근대어ᆞ근대매체ᆞ근대문학- 근대 매체와 근대 언어질서의 상관성"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63-495, 2006
10 김현실, "근대 지식인의 고백체 내면지향 소설에 관한 연구" (2) : 101-122, 1995
1 문한별, "한국근대소설양식론" 태학사 2010
2 박상준, "한국 근대소설 장르 형성과정 논의의 제 문제" 한국현대소설학회 (42) : 67-99, 2009
3 中村光夫, "일본메이지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4 鈴木登美, "이야기된 자기-일본 근대성의 형성과 사소설담론"
5 박헌호, "식민지 시기 '자기의 서사'의 성격과 위상" 대동문화연구원 (48) : 145-178, 2004
6 차혜영, "소설 개념 형성과 식민지 근대 부르주아의 정치학" 민족문학사학회 (28) : 10-40, 2005
7 Anderson, Benedict, "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출판 2002
8 권보드래, "번역어의 성립과 근대-‘국가’ᆞ‘민주주의’ᆞ‘자연’ᆞ‘예술’을 중심으로-" 1 (1): 380-396, 2001
9 박헌호, "매체로서의 근대소설과 내면의 서사 in: 근대어ᆞ근대매체ᆞ근대문학- 근대 매체와 근대 언어질서의 상관성"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63-495, 2006
10 김현실, "근대 지식인의 고백체 내면지향 소설에 관한 연구" (2) : 101-122, 1995
11 "개벽, 조선문단, 이광수전집1"
12 吉田精一, "近代文學評論大系" 角川書店 1908
자유주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욕망에 대한 연구 -욕망의 억압과 분리를 중심으로-
자유주제 : 시대에 대응하는 전략적 방식으로써 되받아 쓰기(writing back) 고찰 -고정희 『초혼제』(1983) 장시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3 | 0.82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