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수업에서 자기서사로서 내방가사 작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과거 내방가사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수업에서 자기서사로서 내방가사 작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과거 내방가사의...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수업에서 자기서사로서 내방가사 작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과거 내방가사의 저자들과 비슷한 상황이므로 내방가사의 언어적 한계를 제외하면 작품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첫 차시는 작품 이해를 통해 거리감을 좁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다음 서사적 맥락이 드러나도록 자기서사를 작성한 뒤 내방가사 형식에 맞추어 쓰기를 하였으며, 내방가사 향유 방식을 따라 낭송하기 순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서적 순화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내방가사 향유 방식인 낭독을 통해서는 언어적 유희뿐만 아니라 비슷한 상황을 겪어 온 이들과의 유대와 정서적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이민자 대상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작품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문학작품은 언어적 교육 제재 외 정서 교육의 긍정적 측면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로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한국에 정주하며 살아갈 다양한 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학작품을 활용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of utilizing Naebanggasa as an autobiography in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inc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in similar situations to the authors of Na...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of utilizing Naebanggasa as an autobiography in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inc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in similar situations to the authors of Naebanggasa in the past, there is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work except for the linguistic limitations of Naebanggasa. The first period aimed to narrow the distance through understanding the work. Next, the autobiography was written so that the narrative context could be revealed, and then it was written in the format of Naebanggasa, and then recited in the order of Naebanggasa enjoyment. Through this process, the learners experienced emotional purification, and through the recitation method of Naebanggasa enjoyment, they were able to feel not only linguistic play but also a sense of connection and emotional joy with those who have experienced similar situ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various methods of utilizing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and that literary works can confirm the positive aspects of emotional education in addition to linguistic educational materials. I hope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utilize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various immigrants who will settle down and live in Korea in the future.
인공지능 활용 글쓰기의 윤리적 쟁점 탐색 - 표절 문제를 중심으로 -
고경력의 중등 국어과 교사는 수업을 어떻게 기획하고 실천하는가? - ‘교사 교육과정’ 개발 관점에서 바라본 국어 교사 5인의 수업 이야기 -
중학생 대상 말하기 평가 도구의 개발 및 시행 결과 분석 - 평가 타당도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