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과 기업의 재무보고 품질: 이익의 질을 중심으로 = Adoption of the Stewardship Code by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 Focusing on Earnings 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1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on of the stewardship code by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rm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Using data for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we analyze whether earnings quality has changed after the adoption of stewardship code by institutional investors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For empirical analyses, we use the sample of 5,142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17 to 2019. We utilize the following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whether the stewardship code is adopted by institutional blockholders, the ratio of the number of institutional blockholders adopted the stewardship code to the number of total institutional blockholders, institutional blockholders’ ownership adopted the stewardship code, and the ratio of institutional blockholders’ ownership adopted the stewardship code to total institutional blockholders’ ownership.
      And we use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 a proxy of earnings quality as a dependent variable.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we find that the adoption of the stewardship cod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earnings quality. However, in the regression analysis we cannot fi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on of the stewardship code and earnings quality. The results are consistent even after controlling firm size and market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could be attributed to the time lag because it will take a while for shareholders’ activism driven by stewardship code to be effective over corporate governance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 Therefore, market participants should carefully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the stewardship cod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on of the stewardship code by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rm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Using data for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we analyze whether 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on of the stewardship code by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rm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Using data for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we analyze whether earnings quality has changed after the adoption of stewardship code by institutional investors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For empirical analyses, we use the sample of 5,142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17 to 2019. We utilize the following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whether the stewardship code is adopted by institutional blockholders, the ratio of the number of institutional blockholders adopted the stewardship code to the number of total institutional blockholders, institutional blockholders’ ownership adopted the stewardship code, and the ratio of institutional blockholders’ ownership adopted the stewardship code to total institutional blockholders’ ownership.
      And we use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 a proxy of earnings quality as a dependent variable.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we find that the adoption of the stewardship cod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earnings quality. However, in the regression analysis we cannot fi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on of the stewardship code and earnings quality. The results are consistent even after controlling firm size and market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could be attributed to the time lag because it will take a while for shareholders’ activism driven by stewardship code to be effective over corporate governance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 Therefore, market participants should carefully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the stewardship cod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코드(이하, 코드) 도입과 투자대상 기업의 재무보고 품질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국내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국민연금을 포함한 기관투자자의 코드 도입 이후에 이익의 질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검토한다. 본 연구는 2017 년부터 2019년까지 5,142개의 기업-연도 표본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주요주주인기관투자자의 코드 도입 여부, 코드 참여 주요주주 수 비율, 코드 참여 주요주주 지분율, 전체 주요주주 지분 대비 코드 참여 주요주주 지분 비율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이익의 질 대용치로재량적발생액의 절댓값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기관투자자의 코드 참여 변수들과 이익의 질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회귀분석에서는 주요주주의 코드 참여 변수들과 이익의 질 간의 유의한 관련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 규모와 시장별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새로운 제도인 코드를 도입한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가 기업의 지배구조와 재무보고 품질에 반영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므로 시장참여자들은 지배구조 및 경영자 특성변화의 경직성을 고려하여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히 관찰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코드(이하, 코드) 도입과 투자대상 기업의 재무보고 품질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국내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국민연금을 ...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코드(이하, 코드) 도입과 투자대상 기업의 재무보고 품질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국내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국민연금을 포함한 기관투자자의 코드 도입 이후에 이익의 질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검토한다. 본 연구는 2017 년부터 2019년까지 5,142개의 기업-연도 표본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주요주주인기관투자자의 코드 도입 여부, 코드 참여 주요주주 수 비율, 코드 참여 주요주주 지분율, 전체 주요주주 지분 대비 코드 참여 주요주주 지분 비율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이익의 질 대용치로재량적발생액의 절댓값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기관투자자의 코드 참여 변수들과 이익의 질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회귀분석에서는 주요주주의 코드 참여 변수들과 이익의 질 간의 유의한 관련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 규모와 시장별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새로운 제도인 코드를 도입한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가 기업의 지배구조와 재무보고 품질에 반영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므로 시장참여자들은 지배구조 및 경영자 특성변화의 경직성을 고려하여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히 관찰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아영, "최고경영자의 교체이유와 내부승진 및 외부영입 최고경영자의 이익조정 수준의 차이" 한국회계학회 34 (34): 45-78, 2009

      2 강평경, "주요주주의 스튜어드십 코드 참여와 기업의 배당 의사결정" 한국경영교육학회 35 (35): 159-179, 2020

      3 박종일, "전기 비적정 감사의견이 감사인 교체방향과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 비상장기업의 의견구매" 한국회계학회 39 (39): 1-56, 2014

      4 고광진, "재벌협력사의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학회 26 (26): 131-159, 2017

      5 노미리, "일본 기업지배구조의 특징과 헤지펀드 행동주의의 성과" 법학연구소 (17) : 29-51, 2016

      6 김한나, "이사회의 독립성 개선여부에 따른 기관투자자의 반대 의결권 행사의 실효성" 한국증권학회 46 (46): 61-96, 2017

      7 장정애, "우리나라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소고" 한국경영법률학회 23 (23): 71-103, 2013

      8 이상철, "외부대주주로서의 기관투자자와 기업가치" 한국관리회계학회 16 (16): 51-81, 2016

      9 이선화, "외국인투자자의 배당압박과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책학회 23 (23): 35-56, 2018

      10 전영순, "외국인투자자 및 국내 기관투자가의 투자의사결정과 회계이익의 질(Quality)" 한국경영학회 32 (32): 1001-1032, 2003

      1 이아영, "최고경영자의 교체이유와 내부승진 및 외부영입 최고경영자의 이익조정 수준의 차이" 한국회계학회 34 (34): 45-78, 2009

      2 강평경, "주요주주의 스튜어드십 코드 참여와 기업의 배당 의사결정" 한국경영교육학회 35 (35): 159-179, 2020

      3 박종일, "전기 비적정 감사의견이 감사인 교체방향과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 비상장기업의 의견구매" 한국회계학회 39 (39): 1-56, 2014

      4 고광진, "재벌협력사의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학회 26 (26): 131-159, 2017

      5 노미리, "일본 기업지배구조의 특징과 헤지펀드 행동주의의 성과" 법학연구소 (17) : 29-51, 2016

      6 김한나, "이사회의 독립성 개선여부에 따른 기관투자자의 반대 의결권 행사의 실효성" 한국증권학회 46 (46): 61-96, 2017

      7 장정애, "우리나라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소고" 한국경영법률학회 23 (23): 71-103, 2013

      8 이상철, "외부대주주로서의 기관투자자와 기업가치" 한국관리회계학회 16 (16): 51-81, 2016

      9 이선화, "외국인투자자의 배당압박과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책학회 23 (23): 35-56, 2018

      10 전영순, "외국인투자자 및 국내 기관투자가의 투자의사결정과 회계이익의 질(Quality)" 한국경영학회 32 (32): 1001-1032, 2003

      11 정찬식, "스튜어드십 코드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학회 49 (49): 515-543, 2020

      12 이상혁,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과 국민연금의 적극적 주주 활동" 한국경영학회 49 (49): 477-497, 2020

      13 김지홍, "상이한 이익조정 수단이 재무분석가 예측의 불확실성과 재무분석가 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39 (39): 213-249, 2014

      14 박종일, "비상장기업에 대한 외부감사가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영학회 43 (43): 1257-1285, 2014

      15 박종일, "대주주 및 외국인 주주의 이익조정과 대형 감사인의 역할" 한국회계정보학회 27 (27): 201-229, 2009

      16 이성욱,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과 이사회 특성이 자산횡령에 미치는 효과" 한국회계학회 19 (19): 89-123, 2010

      17 김유찬, "내부회계관리자 교체와 신임 경영자의 이익조정" 대한경영학회 25 (25): 345-367, 2012

      18 기현희, "기업특성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책학회 15 (15): 197-217, 2010

      19 박종일, "기업지배구조와 이익조정: 최대주주 지분율을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28 (28): 135-172, 2003

      20 최효순, "기업의 이익조정 유인에 대한 부채계약가설 재검증" 한국회계학회 33 (33): 69-96, 2008

      21 조신, "기업 소유구조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25 (25): 53-80, 2018

      22 손성규, "기관투자자의 주주행동주의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신용평점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학회 47 (47): 1515-1540, 2018

      23 이상철, "기관투자자의 이사회 참여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리회계학회 17 (17): 1-34, 2017

      24 최문희,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의 개선과 의결권 자문회사의 활용" 한국경제법학회 7 (7): 135-170, 2008

      25 강윤식, "기관투자자의 역할과 영향: 한라그룹 유상증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28-52, 2014

      26 이윤근, "기관투자자의 감시와 경영자 이익조정" 한국회계정보학회 35 (35): 1-30, 2017

      27 김한나, "기관투자자 의결권 반대행사의 경영진 견제효과" 한국증권학회 43 (43): 1-22, 2014

      28 정용기, "국민연금 주주행동주의의 투자기업 이익조정 통제효과 분석" 대한경영학회 28 (28): 2205-2239, 2015

      29 정진성, "구조개혁과 일본형 경제시스템의 변화" 일본연구소 8 (8): 260-295, 2016

      30 김영화, "거래소 및 코스닥 상장 기업의 이익조정과 가치관련성" 한국회계정보학회 27 (27): 255-272, 2009

      31 전규안, "감사위원회의 설치와 이익조정사이의 관계" 한국회계학회 29 (29): 143-178, 2004

      32 권수영, "감사시간과 감사보수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31 (31): 175-202, 2006

      33 Demsetz, H., "The structure of corporate ownership : Causes and consequences" 93 (93): 1155-1177, 1985

      34 Yon, K.,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hareholders, directors, and auditors, everything about corporate governance"

      35 Institutional Shareholders Committee, "The responsibilities of institutional shareholders and agents: Statement of principles"

      36 Dechow, P. M., "The quality of accruals and earnings : The role of accrual estimation errors" 77 (77): 35-59, 2002

      37 Gen, G., "The logic and limits of stewardship codes: The case of Japan" 2018

      38 Bushee, B,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investors on myopic R&D investment behavior" 73 : 305-333, 1998

      39 Kim, H. J.,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earnings management in Korea" 7 (7): 43-59, 2008

      40 Lee, Y., "The check effect of institutional investors’ shareholder activism -Focusing on executive compensation and low dividend targets" 1-94, 2018

      41 FRC, "The UK Stewardship Code 2020"

      42 FRC, "Strategy 2020/21 -Budget and levies 2020/21-"

      43 Routledge, J., "Stewardship regulation and earnings quality: evidence from Japan" Emerald Group Publishing 33 (33): 543-559, 2020

      44 Lee, S., "Shareholder Engagement activity status of stewardship code participated asset management companies (2017-2019.7)" 1-10, 2019

      45 FRC, "Revisions to the UK Stewardship Code"

      46 Becht, M., "Returns to shareholder activism: Evidence from a clinical study of the Hermes UK focus fund" 22 (22): 3093-3129, 2009

      47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Principles on the stewardship responsibilities of institutional investors"

      48 The Council of Experts on the Stewardship Code,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stitutional investors "

      49 Black, B. S., "Predicting firms' corporate governance choices: Evidence from Korea" 12 (12): 660-691, 2006

      50 Kothari, S. P., "Performance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 measures" 39 (39): 163-197, 2005

      51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Partial revision of the UK corporate governance code and stewardship code" 19 : 17-, 2012

      52 UK Company Act, "Part 10. Chapter 2, 171-177. General duties of directors"

      53 Kim, J. B., "Ownership structure, business group affiliation, listing status, and earnings management: Evidence from Korea" 23 (23): 427-464, 2006

      54 Jung, K., "Ownership structure and earnings informativeness: Evidence from Korea" 37 (37): 301-325, 2002

      55 Koh, P. S, "On the association between institutional ownership and aggressive corporate earnings management in Australia" 35 (35): 105-128, 2003

      56 Kothari, S. P., "Managing for the moment: The role of real activity versus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in SEO valuation" 2012

      57 Kim, S,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UK stewardship code (2020)" 1-4, 2019

      58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orea stewardship code guide book ver.1"

      59 Yu, M., "Japanese shareholder activism and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of listed firms" 1-5, 2020

      60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Technology(KIAT), "Japan is back" 2013

      61 Takahashi, Y., "Japan M&A market status and outlook after Covid-19"

      62 Mitra, S., "Institutional stock ownership, accrual management, and information environment" 20 (20): 257-286, 2005

      63 Velury, U., "Institutional ownership and the quality of earnings" 59 (59): 1043-1051, 2006

      64 Chung, R., "Institutional monitoring and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8 (8): 29-48, 2002

      65 Korea Sustainability Investing Forum(KOSIF), "Institutional investors’ stewardship code participation status and implications in major countries" 2018

      66 Kang, Y, "Institutional investors voting rights exercise and analyzation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genda" 1 : 2-5, 2011

      67 Pucheta-Martínez, M. C., "Institutional investors on boards and audit committees and their effects on financial reporting quality" 22 (22): 347-363, 2014

      68 BCBS, "Guidelines: Corporate governance principles for banks"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BCBS) 2015

      69 Kim, H. J., "Firm characteristics and earnings management of different types of security issuers"

      70 Bhojraj, S.,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bond ratings and yields : The role of institutional investors and outside directors" 76 (76): 455-475, 2003

      71 Lu, C, "Does compliance with the UK stewardship code by institutional investors enhance investee earnings quality" Bond University 2016

      72 Lim, U., "Determinants of ownership structure: An empirical study of the Korean conglomerates" 13 (13): 1-28, 2005

      73 Mulcahy, M., "Corporate governance, stickiness and losses" 15 (15): 391-408, 2015

      74 Hamada, O., "Corporate governance reform in Japan: the second revision of Stewardship Code"

      75 Man, C. K., "Corporate governance and earnings management: A survey of literature" 29 (29): 391-418, 2013

      76 Ito, K., "Competitiveness and incentives for sustainable growth: Building favorable relationships between companies and investors"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METI) 2014

      77 Yoon, S. S., "Cash from operations and earnings management in Korea" 37 (37): 395-412, 2002

      78 Jiraporn, P., "Capital structure, shareholder rights, and corporate governance" 30 (30): 21-33, 2007

      79 Porter, M, "Capital choices:Changing the way America invests in industry" 5 : 4-16, 1992

      80 Ahn, S, "Board structure legislation for listed companies in major countries" 4 (4): 17-22, 2014

      81 Peasnell, K. V., "Board monitoring and earnings management: Do outside directors influence abnormal accruals?" 32 (32): 1311-1346, 2005

      82 O'Brien, P. C., "Analyst following and institutional ownership" 28 : 55-76, 1990

      83 Yu, F. F, "Analyst coverage and earnings management" 88 (88): 245-271, 2008

      84 Kim, S, "Analysis and implic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voting rights exercised in Korea's three major pension funds: Focusing on the 2016-2019 regular shareholders' meeting" 10 (10): 1-8, 2020

      85 Beasley, M. 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board of director composition and financial statement fraud" 71 (71): 443-465, 1996

      86 Dimson, E., "Active ownership" 28 (28): 3225-3268, 2015

      87 Kim, H., "A study on the effects of Public Pension Fund's stewardship code introduction -Analysis of National Pension Services’ introduction case-" 1-44, 2018

      88 Walker, D., "A review of corporate governance in UK banks and other financial industry entities-Final recommendation"

      89 Walker, D., "A review of corporate governance in UK bank and other financial industry entities, Final recommend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43 2.629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