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R&E 참여 과정에서 드러내는 과학적 실행 및 인식 변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ift in Scientific Practice and Perception Through the R&E Participation: o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4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자 바로 곁에서 경험하는 진정한 연구에의 참여는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 실행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접근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

      과학자 바로 곁에서 경험하는 진정한 연구에의 참여는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 실행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접근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R&E 활동 참여를 통해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과연 무엇을 얻을 수 있으며, 어떠한 인식 및 과학적 실행의 변화를 겪게 되는지에 대해 R&E 팀이라고 하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E 활동에 참여한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8개월에 걸친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고, 관련된 요인들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R&E 연구팀이라고 하는 실행 공동체의 초심자로 출발하여 이행기의 참여를 거쳐 점차 완전한 참여자로 이행하는 가운데 과학에 대한, 과학자 및 과학자 공동체에 대한, 그리고 자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연구 역량을 증진시키며, 과학자의 그것에 근접한 실행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특히 장기간에 걸친 진정한 연구 참여를 통해 연구 활동의 본성, 과학자 및 과학자 사회의 실질적인 모습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보다 진지한 진로에의 탐색, 역량있는 과학 학생 및 초보적이지만 연구자로서의 정체성 발달을 보였다. R&E 공동체 내에서의 학습자 참여를 통해 학생의 과학적 실행, 인식 변화 및 정체성 발달의 동적인 과정을 심층 적으로 조명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연구 중심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에 실질적인 단초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arning at the elbow of scientist is a well-known educational approach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tific practice. This study, i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a community of practice, explores h...

      Learning at the elbow of scientist is a well-known educational approach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tific practice. This study, i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a community of practice, explores how students` scientific practice and perception could be shifted through R&E program with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for 18 month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extract comm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articipation and major shifts in their scientific practices and perceptions. Students`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was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legitimate, peripheral, and full participation. In the stage of peripheral participation,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as mere students and showed passive engagement. They just followed the directions of researchers and didn`t know what they should be doing. But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students showed enhanced engagement like voluntary article reading, role assignments, and establishing norms in a community of practice with the reference of scientists`. In this stage of transitional participation, students also showed a deepened perception on everyday life of scientist and the community of scientist. And finally in the stage of full participation, students showed responsibility and ownership on research and continuous efforts to refine their research. They recognized themselves as beginning scientists. With these findings, this paper highlighted the dynamic processes of students` development of scientific practices and identity through R&E participation. It also suggests implications for research programs for education, especially for students who have already articulated a science-related career but still have only foggy notions about sc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순경, "온라인 학교 학생들의 합법적인 주변참여에서 완전한 참여로의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2 (22): 57-93, 2006

      2 정현철,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2 (22): 243-264, 2012

      3 정현철,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수행과정 및 운영환경 분석: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139-1156, 2012

      4 이민주, "과학 잡지 프로젝트를 통한 중학생의 학습 변화 탐색: 참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256-270, 2011

      5 이민주, "과학 수업의 혼성공간에서 드러나는 중학생의 지식자본 및 교수학습 특성: 7학년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31-744, 2014

      6 O’Neill, D. K., "Why educate ‘little scientist?’ Examining the potential of practice-based scientific literacy" 41 (41): 234-266, 2004

      7 Carlone, H. B., "Understanding the science experiences of successful women of color : Science identity as an analytic lens" 44 (44): 1187-1218, 2007

      8 Wormstead, S. J., "Tools for successful student-teacher-scientist partnership" 11 (11): 277-284, 2002

      9 Glaser, B. 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12 (12): 436-445, 1965

      10 Sfard, A, "Telling identities : In search of an analytic tools for investigating learning as a culturally shaped activity" 34 (34): 14-22, 2005

      1 윤순경, "온라인 학교 학생들의 합법적인 주변참여에서 완전한 참여로의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2 (22): 57-93, 2006

      2 정현철,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2 (22): 243-264, 2012

      3 정현철,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수행과정 및 운영환경 분석: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139-1156, 2012

      4 이민주, "과학 잡지 프로젝트를 통한 중학생의 학습 변화 탐색: 참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256-270, 2011

      5 이민주, "과학 수업의 혼성공간에서 드러나는 중학생의 지식자본 및 교수학습 특성: 7학년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31-744, 2014

      6 O’Neill, D. K., "Why educate ‘little scientist?’ Examining the potential of practice-based scientific literacy" 41 (41): 234-266, 2004

      7 Carlone, H. B., "Understanding the science experiences of successful women of color : Science identity as an analytic lens" 44 (44): 1187-1218, 2007

      8 Wormstead, S. J., "Tools for successful student-teacher-scientist partnership" 11 (11): 277-284, 2002

      9 Glaser, B. 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12 (12): 436-445, 1965

      10 Sfard, A, "Telling identities : In search of an analytic tools for investigating learning as a culturally shaped activity" 34 (34): 14-22, 2005

      11 Hsu, P. L., "Students’ representations of scientific practice during a science internship : Reflections from an activity-theoretic perspective" 32 (32): 1243-1266, 2010

      12 Comeaux, p., "Students as scientists : Using interactive technologies and collaborative inquiry in an environmental science project for teachers and their students" 12 (12): 235-252, 2001

      13 Lave, J., "Situated learning :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4 김경대,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282-290, 2008

      15 강성주,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626-638, 2009

      16 오필석, "Participation Metaphor for Learning and Its Implication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한국지구과학회 27 (27): 140-148, 2006

      17 Sfard, A., "On two metaphor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 27 (27): 14-11, 1998

      18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19 Malone, K. R., "Narrations of race in STEM research setting : Identity formation and its discontents" 93 (93): 485-510, 2009

      20 Sadler, T. D., "Learning science through research apprenticeships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47 (47): 235-256, 2010

      21 Bell, R. L., "Just do it? Impact of a scientific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40 (40): 487-509, 2003

      22 Houseal, A. K., "Impact of a student-teacher-scientist partnership on students’ and teachers’ content knowledg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edagogical practices" 51 (51): 84-115, 2014

      23 Gee, J. P., "Identity as an analytic lens for research in education" 25 (25): 99-125, 2000

      24 Holland, D., "Identity and agency in cultural world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25 Seymour, E., "Establishing the benefits of research experiences for undergraduates in the science : First findings from a three year study" 88 (88): 493-534, 2004

      26 Goulart, M. I., "Engaging young children in collective curriculum design" 5 (5): 533-562, 2010

      27 Barab, S. A., "Doing science at the elbow of experts : Issues related to the science apprenticeship camp" 38 (38): 70-102, 2001

      28 Tan, E., "Desiring a career in STEM-related fields : How middle school girls articulate and negotiate identities-in-practice in science" 50 (50): 1143-1179, 2013

      29 Wenger, E.,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30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e Publications 2006

      31 Hazari, Z., "Connecting high school physics experiences, outcome expectations, physics identity, and physics career choice : A gender study" 47 (47): 978-1003, 2010

      32 Wenger, E., "Communities of practice :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3 Moss, D. M., "Can we be scientists too?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research from a project-based classroom" 7 : 149-161, 1998

      34 Donahue, T. P., "Bringing science to life through community-based watershed education" 7 (7): 15-23, 1998

      35 Gazley, J. L., "Beyond preparation : Identity, cultural capital, and readiness for graduate school in the biomedical sciences" 51 (51): 1021-1048, 2014

      36 Hunter, A., "Becoming a scientist : The role of undergraduate research in students’ cognitiv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91 (91): 36-74, 2007

      37 Johnson, A., "Authoring identity amidst treacherous terrain of science : A multiracial feminist examination of the journeys of the three women of color in science" 48 (48): 339-366, 2011

      38 Park, J., "An analysis of the actual processes of physicists’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scientific inquiry in school" 39 (39): 111-129,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