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필영, "통사적 구성에서의 축약에 대하여 : ‘-다, -이라, -더라, -려, -노라’형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26 : 1-32, 1995
2 임동훈, "통사론과 통사 단위" 한국언어학회 31 : 87-138, 1995
3 김선효, "인용 구문 '-다고 하는'과 '-다는'의 특성" 언어교육원 40 (40): 161-176, 2004
4 허 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75
5 임홍빈, "사이시옷 問題의 解決을 위하여" 국어학회 10 : 1-35, 1981
6 이홍식, "명사구 보문" 국어학회 33 : 367-398, 1999
7 이지양, "국어의 융합현상" 국어학회 1996
8 이광호, "국어문법의 이해 1" 태학사 2001
9 남기심, "국어 완형보문법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73
10 이관규, "관형사 어미 ‘다는’에 대한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489-504, 2007
1 이필영, "통사적 구성에서의 축약에 대하여 : ‘-다, -이라, -더라, -려, -노라’형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26 : 1-32, 1995
2 임동훈, "통사론과 통사 단위" 한국언어학회 31 : 87-138, 1995
3 김선효, "인용 구문 '-다고 하는'과 '-다는'의 특성" 언어교육원 40 (40): 161-176, 2004
4 허 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75
5 임홍빈, "사이시옷 問題의 解決을 위하여" 국어학회 10 : 1-35, 1981
6 이홍식, "명사구 보문" 국어학회 33 : 367-398, 1999
7 이지양, "국어의 융합현상" 국어학회 1996
8 이광호, "국어문법의 이해 1" 태학사 2001
9 남기심, "국어 완형보문법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73
10 이관규, "관형사 어미 ‘다는’에 대한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489-504, 2007
11 홍윤표, "十五世紀 國語의 格硏究" 서울대 국어연구회 21 : 1969
12 안병희, "中世國語 屬格語尾 ‘-ㅅ’에 대하여" 李崇寧博士頌壽紀念論叢 1968
13 이현희, "中世國語 內的 話法의 性格" 한신대학교 3 : 191-227, 1986
14 남신혜, "{-다는}의 유형과 문법화" 언어정보연구원 32 : 289-314, 2013
15 Bybee, J, "Frequency of Use and the Organization of Language. Papers in Laboratory Phonology V: Acquisition and the Lexicon" 250-268, 2000
16 이현희, "19세기 국어의 문법사적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소 15 : 57-81,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