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지도성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39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을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였고 하위요인들 중 ‘성과 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유치원의 조직효과성도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직무성과’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조직헌신성’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유치원의 조직효과성간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직무성과, 조직헌신성 등 유치원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이 변혁적 지도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을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을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였고 하위요인들 중 ‘성과 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유치원의 조직효과성도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직무성과’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조직헌신성’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유치원의 조직효과성간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직무성과, 조직헌신성 등 유치원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이 변혁적 지도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the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ive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formational leader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also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institution'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y show high perception about 'job performance' among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the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the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ive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formational leader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also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institution'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y show high perception about 'job performance' among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남두, "학교조직의 환경 문화 효과성간의 연구" 1992

      2 권동택, "학교조직의 질 관리를 위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연구" 21 (21): 145-167, 2003

      3 김창걸, "학교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 22 : 555-601, 1995

      4 김두성, "학교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1993

      5 문용주, "학교장의 변화지향적 지도성과 조직문화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2003

      6 조평호, "학교장의 리더십,의사결정 및 조직효과성간의 관계 연구" 17 (17): 233-243, 1999

      7 박현숙, "조직의 행정과정 및 관료성 변인이 학교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1992

      8 정연국,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제적 연구-유치원 원장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1996

      9 이윤경, "유치원교사의 직무 만족도 및 물리적 근무환경과 조직 헌신성과의 관계연구" 18 (18): 223-241, 1998

      10 김우식,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성과와의 관계 연구" 2002

      1 조남두, "학교조직의 환경 문화 효과성간의 연구" 1992

      2 권동택, "학교조직의 질 관리를 위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연구" 21 (21): 145-167, 2003

      3 김창걸, "학교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 22 : 555-601, 1995

      4 김두성, "학교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1993

      5 문용주, "학교장의 변화지향적 지도성과 조직문화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2003

      6 조평호, "학교장의 리더십,의사결정 및 조직효과성간의 관계 연구" 17 (17): 233-243, 1999

      7 박현숙, "조직의 행정과정 및 관료성 변인이 학교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1992

      8 정연국,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제적 연구-유치원 원장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1996

      9 이윤경, "유치원교사의 직무 만족도 및 물리적 근무환경과 조직 헌신성과의 관계연구" 18 (18): 223-241, 1998

      10 김우식,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성과와의 관계 연구" 2002

      11 황보영란,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기회와 관련된 사회조직적 변인 연구" 23 (23): 153-168, 2003

      12 김창걸, "교장의 지도성 행위 상황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연구" 1983

      13 김정호, "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원사기와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1998

      14 신재흡,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 조직 문화 및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한국교육행정학회 20 (20): 91-116, 2002

      15 김동춘,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1998

      16 이명주,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변화촉진 행동 교사의 변화 관심 학교효과성과의 관계" 1994

      17 황명원, "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1999

      18 송민재, "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지도성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1999

      19 이연승,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의 관계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8 (8): 1-27, 2004

      20 Hsu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their perceptions of leadership practices in Taiwanese kindergarten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ton : 1997

      21 Porter,L,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mitment" 14 : 224-247, 1979

      22 Mott,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ness Organization" 1972

      23 Mitchell, "Reflection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development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85-94, 1997

      24 Steers,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551-557, 1975

      25 Porter,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4

      26 Jorde Bloom,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1989

      27 Cameron,K.S, "Measur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23 : 604-632, 1978

      28 Bass,B.M,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Free Press 1985

      29 Bass,B.M,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Learning to share the vision" 18 (18): 19-31, 1990

      30 Hoy, "A Theory Framework and Exploration of Original Effetiveness in Schools" 117-134,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