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치원 교실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39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실에서 유아들이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무엇을 경험하며, 유아들이 경험한 도덕 교육이 유아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만5세 유아들의 일과를 관찰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학급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양보하기, 정직하기, 규칙 지키기, 공평하기를 기술하였으며,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의미를 도덕적 판단을 경험하기, 도덕적 행동을 경험하기, 도덕적 정서를 경험하기로 해석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실에서 유아들이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무엇을 경험하며, 유아들이 경험한 도덕 교육이 유아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만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실에서 유아들이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무엇을 경험하며, 유아들이 경험한 도덕 교육이 유아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만5세 유아들의 일과를 관찰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학급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양보하기, 정직하기, 규칙 지키기, 공평하기를 기술하였으며,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의미를 도덕적 판단을 경험하기, 도덕적 행동을 경험하기, 도덕적 정서를 경험하기로 해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nd finds what is the meaning of moral experience in kindergarten classroom.
      The children's behavior is observed in kindergarten schedule. The research is perform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are described in the aspect of concession, honesty, conform to the rule, and equity. The meanings of experience of moral education are interpreted in the three topics such as judgement in moral, behavior in moral, and experience of moral emo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nd finds what is the meaning of moral experience in kindergarten classroom. The children's behavior is observed in kindergarten schedule. The research is performed by participan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nd finds what is the meaning of moral experience in kindergarten classroom.
      The children's behavior is observed in kindergarten schedule. The research is perform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are described in the aspect of concession, honesty, conform to the rule, and equity. The meanings of experience of moral education are interpreted in the three topics such as judgement in moral, behavior in moral, and experience of moral emo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Ⅲ.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유형
      • Ⅳ.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의미
      • Ⅴ. 논의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Ⅲ.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유형
      • Ⅳ.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의미
      • Ⅴ.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민경, "형제자매의 구성변인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연구" 2000

      2 오세화, "친사회적 행동 증진활동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도덕추론"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213-237, 2002

      3 신인숙,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10 (10): 269-296, 2003

      4 정경숙, "전래놀이동요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친사회적 도덕추론에 미치는 영향" 2004

      5 박병기, "윤리학과 도덕교육 1" 2004

      6 고미경, "유치원에서 ‘착한 아이’ 되어 가기" 2003

      7 McCadden, "유치원도덕교육의 현실과 과제" 창지사0 2000

      8 김규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그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 2 (2): 229-252, 2000

      9 이원영, "유치원 기본생활교육에 관한 연구" 12 : 71-89, 1991

      10 안기숙, "유아의 정서지능과 도덕적 판단력의 상관관계:교수학습 방법의 차이를 중심으로" 2002

      1 송민경, "형제자매의 구성변인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연구" 2000

      2 오세화, "친사회적 행동 증진활동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도덕추론"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213-237, 2002

      3 신인숙,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10 (10): 269-296, 2003

      4 정경숙, "전래놀이동요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친사회적 도덕추론에 미치는 영향" 2004

      5 박병기, "윤리학과 도덕교육 1" 2004

      6 고미경, "유치원에서 ‘착한 아이’ 되어 가기" 2003

      7 McCadden, "유치원도덕교육의 현실과 과제" 창지사0 2000

      8 김규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그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 2 (2): 229-252, 2000

      9 이원영, "유치원 기본생활교육에 관한 연구" 12 : 71-89, 1991

      10 안기숙, "유아의 정서지능과 도덕적 판단력의 상관관계:교수학습 방법의 차이를 중심으로" 2002

      11 염춘자, "유아의 사회적 조망수용 능력과 도덕 판단 능력간의 관계 연구" 2000

      12 이영애, "유아교육기관의 도덕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18 (18): 157-178, 1998

      13 조선희, "어린이를 위한 철학 프로그램을 통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철학적 탐구에 미치는 영향" 18 (18): 239-261, 2000

      14 김연숙, "아버지의 양육태도와유아의 도덕개념과의 관계" 2000

      15 신미양, "부모의 훈육방식과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유형에 관한 연구" 2003

      16 선재순, "메타윤리와 도덕적 인격교육의 만남 - 윌슨의 살아 숨 쉬는 합리적인 도덕능력 기르기-" 4 : 97-138, 2003

      17 안연경, "동화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 활동이 유아의 도덕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2002

      18 이경우, "도서를 이용한 어린이 도덕교육" 다음세대 2000

      19 남궁달화, "도덕성 요소와 도덕교육" 학지사 2003

      20 박찬옥, "도덕성 기초 확립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역할 1994년도연차학술대회 도덕성 기초 확립을 위한유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유아교육학회 57-79, 1994

      21 추병완, "도덕교육의 이해" 백의 2004

      22 심성보, "도덕교육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4

      23 심성보, "도덕교육의 담론" 학지사 2000

      24 이은화, "기본생활습관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연구" 16 (16): 161-177, 1996

      25 정재순, "기본생활습관 교육을 위한 토의 교수전략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1997

      26 박준성, "교육의 의미와 도덕적 인간" 4 : 39-56, 2003

      27 서기남, "교사와 부모의 유아도덕교육 실태 비교 연구" 2003

      28 Wilson, "교사를 위한 도덕교육 입문서" 2002

      29 이옥경, "과제의 특성에 따른 유아와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추론과 친사회적 의사결정 및 어머니의 친사회적 도덕추론의 관계" 2002

      30 Dunn, "The beginnings of moral understanding Development in the second year The Emergence of Morality in Young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1-110, 1987

      31 Smetana,J.G,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moral and social rules" 52 : 1333-1336, 1981

      32 Spradley,J.P, "Participant observa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0

      33 DeVries, "Creating constructivist atmosphere in early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4

      34 Lamb, "Aspects of contributors to a beginning morality in the second year of life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Lawrence Erbaum Associates 171-189, 1991

      35 DeVries,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on the role of the sociomoral atmosphere in promoting children's development" In C Teachers College Press fos (fos): 103-119,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